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하은희-
dc.contributor.author서주희-
dc.creator서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8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8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모체(MOther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Study; MOCEH) 코호트 연구를 통해 일부 산모에게서 측정된 실내외 PM10 노출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전체 산모의 노출에 적용해 보고, 임신 기간 중 실내외 PM10 노출과 태아 성장, 임신 주수 및 출생 시 체중의 관련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통계적 분석모형은 다중선형회귀모형과 일반화부가모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전체 지역과 울산 지역에서 임신 3분기 동안의 실외 PM10 농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임신 주수가 각각 0.1주, 0.3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내 PM10 농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임신 주수가 각각 0.2주, 0.3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천안 지역과 울산 지역에서 임신 3분기 동안의 실내외 PM10 농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출생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서울 지역에서 임신 3분기의 실외 PM10 농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태아의 대퇴 길이가 0.1cm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내 PM10 농도가 10㎍/㎥ 증가함에 따라 태아의 대퇴 길이가 0.1cm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외 PM10 노출이 태아 성장과 임신 주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지역별, 분기별로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임신 중 산모들에게 예방 교육의 지침을 만드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내외 PM10 노출과 태아 성장 및 임신 주수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PM10 노출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relationship between air pollution and adverse birth outcomes. However, most of researches did not deal with birth outcome research for indoor PM10 exposure. And a few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fetal growth by ultrasound measurement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effects from ma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gnancy outcomes and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natal PM10 exposure and fetal growth assessed by ultrasound measurements. We collected the eligible data of 1,558 pregnant women from three collaborating centers metropolitan area(Seoul), industrial area(Ulsan), and medium-sized urban area(Cheona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residential factors, environmental exposu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 measured indoor/outdoor PM10 for 331 houses. We applie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namely, inverse distance weighted averaging (IDW) for outdoor PM10 of 657 houses. Also, we estimated mass-balance model for indoor PM10 of 658 houses. Then, PM10 were adjusted to correspond to relevant pregnancy periods (i.e., whole pregnancy and trimesters) for each woma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and fetal growth assessed by ultrasound measurements among 164 pregnant women in Seoul. We perform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concentration and pregnancy outcomes. Also, we analyzed by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adjustment for time trend as confounders in a nonparametric approach.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fter adjusting for maternal age, maternal education, baby sex, BMI, house age, and factory, gestational age during third trimester period was decreased by outdoor PM10 in Ulsan and all areas. Gestational age during third trimester period after adjusting for maternal age, maternal education, baby sex, BMI, number of family, and number of room was decreased by indoor PM10 in Ulsan and all areas. Femur length during third trimester after adjusting for maternal age, maternal education, gestational age at measurement, fetal sex, and parity number was decreased by outdoor/indoor PM10 in Seoul. Prenatal exposure to PM10 may affect fetal growth and gestational 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strategies to reduce PM10 exposure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risks for fetal heal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배경 1 B.연구목적 5 Ⅱ.이론적 배경 6 A.PM10의 특성과 건강영향 6 1.PM10의 특성 6 2.역학 연구 7 B.태아 성장 지연과 조산 및 저체중아 연구의 중요성 7 C.대기오염이 태아 성장과 조산 및 저체중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8 Ⅲ.연구 내용 및 방법 11 A.코호트 구축 11 1.연구 대상 11 2.연구 내용 12 B.연구 방법 15 1.실내외 PM10 노출 추정 15 2.분석 방법 25 Ⅳ.연구결과 27 A.연구 자료의 일반적 특성 27 1.실내외 PM10 농도 27 2.산모와 출생아의 일반적 특성 29 B.실내외 PM10과 임신 결과의 관련성 분석 32 1.실외 PM10과 임신 주수 및 출생시 체중 32 2.실내 PM10과 임신 주수 및 출생시 체중 36 C.실내외 PM10과 태아 성장의 관련성 분석 40 1.실외 PM10과 태아 성장 40 2.실내 PM10과 태아 성장 42 Ⅴ.고찰 44 A.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44 1.PM10과 태아 성장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44 2.PM10과 임신 주수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45 3.PM10과 출생시 체중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48 B.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고찰 51 C.본 연구의 제한점 52 D.본 연구의 의의 53 Ⅵ.결론 55 참고문헌 57 영문초록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43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산모의 실내외 미세먼지 노출이 태아 성장과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renatal PM10 exposure on fetal growth and pregnancy outcome-
dc.creator.othernameSeo, Ju Hee-
dc.format.pagei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과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