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여성들의 성 고정 관념적 갈등재조정과 내적 전환의 행위성 연구

Title
여성들의 성 고정 관념적 갈등재조정과 내적 전환의 행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omen's Agency of Internal and External Transformation in the Conflicts based on Gender Stereotypes
Authors
정수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들이 남성 중심적 공적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지만, 일상적 관계에서 여전한 성 고정 관념 때문에 갈등을 겪는 비균질적 현실에 문제제기하며, 내면과 관계 양자 속에서 작동하는 성 고정 관념을 주체적으로 전환하는 행위성을 드러내고, 의사소통 개선으로 실질적 변화를 일으키는 영향력에 대한 여성주의적 의의를 부여하고자 했다. 여성주의는 가부장제의 해체작업을 넘어 인간과 세계를 다시 보는 새로운 인식론이며, 대안적 사회구조와 일상을 재창조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사상이다. 여성주의에 입각할 때, 본 논문은 ‘안과 밖’에서 여성의 관점과 욕구를 반영하도록 삶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조명하는 시도는 일상적 변혁주체로서의 여성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개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의사소통은 의식과 행위를 통합하는 담화이므로, 여성들의 의사소통개선은 내면에만 국한하지 않고 내외를 함께 바꾸는 의사소통의 행위성과 실천성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구조에 대한 비판과 내면적 변화에 대한 여성주의 연구들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일면을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런 연구목적으로 비폭력대화 여성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갈등관계는 가족관계와 성별관계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가족관계와 성별관계가 전통적 가치를 대체할 만한 새로운 관계 윤리로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들의 갈등이 더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타 일상적 관계들까지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갈등은 외부적 관계에서 벌어지는 현상만이 아니라 내면적이고 심리적인 역동까지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 고정관념으로 야기되는 갈등 양상은 두 가지이다. 하나, 여성들은 전통적인 성역할과 성차별을 겪을 때 갈등하였고, 둘, 비주체성 여성성을 내면화해 자신보다 타자를 중시하고 자신의 욕구를 양보하고 의사를 개진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으로 규정된 여성성과 유사한 자신의 기질을 거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성 고정 관념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갈등에 대응하였다. 종교, 상담, 명상, 독서 등 정신활동으로 자기 세계를 찾으려 하였고, 심리적, 공간적, 경제적으로 독립하였다. 의사소통 면에서 불완전한 묵종, 대리폭발, 반항, 강렬한 표출 등 직간접적으로 대응하였다. 둘째, 여성들은 다양한 경로로 의사소통기법을 접한 후, 갈등의 원인을 선명하게 인식하였다. 여성들은 자신의 욕구가 존중되지 않았기 때문에 갈등했음을 깨달았다. 이들은 힘을 갖추고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면서 타자와 협력적인 관계를 맺고자 새로운 의사소통기법을 진지하게 습득하였다. 셋째, 여성들은 의사소통기법을 접하는 과정에서 내적 전환을 맞이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느낌과 욕구를 공감해주면서 자신이 바라는 바를 명료하게 발견하였다. 또한 우선순위를 바꿔 타자보다 자기를 먼저 돌보았다. 자기 돌봄은 타자를 돌보는 원천이 되었다. 넷째, 여성들은 자신의 욕구가 반영되도록 갈등관계를 재조정하고자 하였다. 자기희생을 거절하고, 자신의 욕구를 주장하고 관철하였다. 자기의 욕구와 타자의 욕구를 동시에 존중하기 위해 타자를 공감하고 경청해줌으로써 제 3의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여성들은 자신과 갈등관계를 총체적으로 전환한 이후에도 일상적 관계에서의 갈등을 계속 마주하며, 내부의 폭력성을 성찰하였다. 이들은 나에 대한 폭력과 타자에 대한 폭력을 모두 고려하였다. 이들이 이해하는 폭력은 자기희생, 판단, 강요이다. 내면화한 폭력에 대한 대응방식은 내면화한 폭력성을 알아차리고, 그것을 배움의 기회로 맞이하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불완벽함을 용서하고, 자신의 전체성을 사랑하고 수용한다. 이런 용서와 전체적 존재 수용은 타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자신감과 힘을 준다. 이러한 총체적 전환 프로세스는 성 고정 관념적 갈등이 마음에서부터 사라지고, 상호적인 관계변화를 이끌어내는 여정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순차적이지 않고 나선형적이며, 일상 속 갈등은 새롭게 일어나 도전거리가 된다. 그러나 갈등을 대하는 여성들의 태도는 의연하고 달라져있다. 여성들은 자기중심을 지키고, 타자와 소통하고자 하며, 각자가 갈망하는 관계를 형성하려는 욕구로 끊임없이 이 전환 과정에 재참여한다. 갈등은 가부장적 규범을 완전히 승낙하지 않는 여성들의 역설적 주체성의 증표이며, 이들의 전환은 갈등의 성질 또한 변성시킨다. 갈등은 더 이상 여성들을 억누르는 장벽이 아니라 주체와 협력을 향해 나아가는 통로이다.;This research focuses on women's conflicts with gender stereotypes, which women continue to routinely grapple with in the private space although they have gained greater recognition and credibility in the public space. This study intends to manifest the transformative agency of women both internally and in terms of their external relations. Women’s transformative agency has been overshadowed by patriarchy, and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feminism as the power that facilitates actual change by improving women’s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I define feminism as an ideology that epistemologically reconsiders humans and the world and a methodology that creates an alternative and social structure. Therefore, by showing that women transform realities to maintain their standpoints and fulfill their needs, this study supports the promotion of women's potentiality as subjects of everyday revolution. Communication involves a discourse wherein consciousness and actions are expressed in simultaneity;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women's communication will reveal a new praxis and the power of women's voices, which will integrate their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connect the criticism of structure and inner change in feminist studies with outer.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few women studying nonviolent communication. The more dominant conflicts that women were involved in were limited to the family and women’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ex; that is, private relations were included in these conflicts. Korean families had not attuned traditional values to the new ethics of relationships. Conflicts indicated inner and psychological dynamics as well as external phenomena. The results of thess interviews are as followings. First, women encountered conflicts owing to the traditionally assigned gender roles and sexism in the family and other gendered relations. The ideology of dependent femininity had led them to value others more than themselves, and they felt that their needs were unmet since they compromised on their own happiness without speaking their minds, and this led to the origin of social femininity. However, the women did not accept these conflicts as they were; they tried to resolve their inner conflicts through religion, meditation and healing; by becoming independent psychologically, physically, and economically; or by engaging in in/direct communication. Second, after the women were exposed to new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ways, they realized that the root of their conflicts was a lack of respect for their needs. They sincerely came to learn and practice new communication to find means to express themselves and enter into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while achieving their needs. Third, the women transformed themselves. They discovered their wants with clarity while emphasizing their feelings and needs. They started prioritizing themselves and caring for themselves more than they did for others. For these women, self-caring became the source of caring for others. Fourth, women tried to change their relations and conflicts in order to achieve their needs. They rejected self-sacrifices and emphasized and fulfilled their needs. At the same time, they empathized with and listened to others, not losing respect for their needs, and searched alternative ways to support themselves and others equally. Fifth, after internal and external transformation, women experienced conflicts. In them, women reflected upon inner violence. They believed that inner violence comprised self-sacrifice, judgements and demands to others. The solution to inner violence was generating an awareness of the violence and welcoming it as an opportunity to learn. They forgave themselves for their imperfections and embraced themselves wholeheartedly. This gave them the confidence and power to propose the same approach to others. The entire transformative process shows that the women overcame the conflicts arising from gender stereotypes internally and also transformed their conflicting relations into mutual relations. However, this process is not orderly. New conflicts emerge every day and challenge women, but the women's attitudes toward conflicts have changed drastically. Women have become more self-centered; they try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hey continually participate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 Therefore, conflicts are signals of paradoxical subjectivity whereby women resist patriarchal norms, and this transforms the quality of the conflicts. To women, conflicts are no longer barriers but passageways toward Sub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