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텍스트로 한 무용창작작품 의 연구

Title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텍스트로 한 무용창작작품 의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about creative dance work through 「Status Anxiety」by Alain de Botton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Today we all live in anxiety. The reason we feel anxious is because that we always desire more fortune and higher social statute in being conscious of others. Because of worries that we may not succeed or not be respected, or even lose current position, people continuously feel anxious. Eventually more anxieties are created in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excessive obsession on success only presents us a barren life. Therefore we should live with easy, composure attitude appreciating our small happiness in daily life. When we value small happiness in daily life, the quality of life will be increased, naturally leading to reach the happy life. And such feeling of happiness will bring us closer to the way of success. As the anxiety is hard to completely exclude from our life, so we should consider it as an companion of life and need the wisdom to make it into a chance to advance our lives further. This paper analyzed the dance work created around the text of 『Status Anxiety』 written by Alain de Botton. This creative dance work is composed of the contents that we reflect lives becoming exhausted by anxiety feeling and recognize the values of true happiness. In this work consisted with 3 chapters, three(3) dancers represented anxious modern people's appearances. Also the thread, a prop was utilized as a symbol of anxiety to make dramatic effects in the work's image and atmosphere. Chapter IV in this study divided the work as the 3 chapters and reviewed the each chapter's theme and contents, its stage configuration and scenes, the dancers' routes and movements, the used props and images. The result analyzing each chapter is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part in Chapter 1, two dancers appeared and showed dances reminding skyscrapers which represent modern people who pursue for higher status in endless nervousness. Dancers of A and B with raising two threads over their heads go out into the stage. And they express the human being and the society with concise props. And they plays balls. After dancer C appeared on the stage and dances around low motions, which are contrary to those of dancers of A and B. At this time, the straight line flowing from fresh water to waste water, or from wastewater to fresh water was set as the only movement route. Such spatial limit was to remind people to the cramped and stereo-typed modern appearance. Chapter 2 in the work describ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modern people who absolutely desire higher status and gradually become anxious because of the desire. The threads, which was fixed in straight line, was transformed into lines to make configurational effects. The spatial limit still remained. In the limited space, the dancers moved fast and their movements were expanded and various to strongly express anxious mentality contrary to their movements in Chapter 1. Chapter 3 is composed of contents that the 3 dancers, who had suffered from anxieties, gradually started to have doubts about unconditional desires for social status, and finally discovered small happiness not having been seen before then. Also the configuration shape of lines broke down, and that means the characters' complex, tangled mind with stereo-typed thoughts gradually open. The investigator set small happiness as the motive power to improve the social statue and the life quality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investigator tried to delivery the meaning of true happiness which the investigator wanted to express through this work showing the course that characters discovered small happiness and got insights about the happiness. Like that, the work created using the text 『Status Anxiety』 written by Alain de Botton was created under the intention to discuss the values of true happiness from the start of desires for higher social status and the anxiety caused from them.;오늘날 우리는 모두 불안감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가 불안한 이유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항상 더 많은 부와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갈망하기 때문이다.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 타인에게 존중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걱정, 현재의 자리마저 잃을 수 있다는 걱정 등으로 인해 사람들은 끝없이 불안해한다. 결국 불안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공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메마른 삶을 선사할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의 작은 행복을 누리며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 일상 속의 작은 행복을 소중하게 여긴다면 삶의 질은 더 올라갈 것이며 자연히 행복한 삶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행복감은 우리를 성공의 길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데려가 줄 수 있을 것이다. 불안은 우리의 삶에서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 존재인 만큼 그것을 인생의 동반자로 여기며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이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무용 창작 작품 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집착으로 발생하는 불안감으로 인해 점점 피폐해져가는 삶을 돌아보고 진정한 행복의 가치에 대해 깨달음을 얻게 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총 3장으로 이루어진 작품 안에는 무용수 세 명이 등장하여 불안한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실타래라는 소품을 활용하여 불안의 상징적 의미로써 작품의 이미지와 분위기에 극적인 효과를 일으켜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Ⅳ장에서는 이 작품을 각 장으로 나누어 주제 및 내용,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무대구성과 소품사용으로 살펴보았다. 각 장별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의 도입부분에서는 두 명의 무용수가 등장하여 높은 지위를 위해 쫓기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표현하기 위해 높은 빌딩을 연상시키는 안무를 선보인다. 무용수A, B는 높은 지위와 불안감을 가리키는 소품인 실타래를 머리 위로 높이 들고 나와 딱딱하고 간결한 동작으로 인간과 자아를 나타낸다. 그 후, 무용수C가 등장하여 무용수A, B와 대조적인 낮은 동작을 중심으로 움직임을 표현한다. 이때 상수에서 하수, 하수에서 상수로 직선의 구도만을 이동경로로 정하여 공간적 제한을 두면서 답답하고 틀에 박힌 모습을 연상시키고자 한다. 2장은 높은 지위를 갈망하지만 그러한 욕망으로 인해 점점 불안해져가는 심리상태를 표현한다. 일직선으로 고정시켜두었던 실타래를 선의 형태로 변화시켜 구도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공간의 제한은 그 전과 같다. 제한된 공간 안에서 움직임은 빠른 템포로 이루어지며, 불안한 심리를 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1장과는 다르게 움직임이 확대되고 다양해진다. 3장에서는 불안감에 시달리던 등장인물이 사회적 지위에 대한 무조건적인 갈망에 점차 의구심을 품게 되면서 드디어 이전에는 미처 보지 못했던 작은 행복을 발견하게 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또한 선으로 이루어져 있던 구도적 형태가 흐트러지고 해체가 되면서 실타래의 모습은 인물의 복잡하고 뒤엉킨 심리와 함께 틀에 박힌 생각들이 점차 열리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자는 사회적 지위와 삶의 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원동력을 작은 행복에 두었다. 따라서 이번 작품을 통해 작은 행복을 발견한 등장인물이 행복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어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진정한 행복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이라는 텍스트를 소재로 하여 만든 작품 는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갈망과 불안에서 시작하여 진정한 행복에 대한 가치를 논의해보고자 하는 주제의식을 갖고 창작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