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한국 중증근무력증 환자에서 임상 평가척도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중증근무력증 환자에서 임상 평가척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Clinical Rating Scales in Korean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Authors
이규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기덕
Abstract
중증근무력증은 수의근의 근력 약화 및 심한 근육 피로 현상으로 인한 근위약의 변동성을 주 증상으로 하며, 임상 경과 및 치료 효과에 대한 판정을 위하여 다양한 임상 평가척도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Quantitative myasthenia gravis score(QMG)는 특별한 기구가 필요하며 수행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 MG-specific Manual Muscle Testing(MG-MMT), MG-specif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profile(MG-ADL), MG-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MG-QOL) 등의 평가척도들이 있으나 근력이나 삶의 질 등 한 측면에만 초점을 맞춰 포괄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객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MG composite scale(MGC)은 최근에 개발된 척도로서 수행하기 간단하고 증상의 중등도에 따라 가중치를 두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대체적으로 QMG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외 척도들을 가변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 중증근무력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평가척도들의 타당성을 밝힌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리나라 중증근무력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잘 반영하면서 임상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척도를 찾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신경과에서 후천성 중증근무력증으로 외래 추적 치료 중인 2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들에 대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임상 정보, Myasthenia Gravis Foundation of America(MGFA) Classification을 기록하였고 QMG, MGC, MG-MMT, MG-ADL 및 MG-QOL15 척도들을 평가하였다. MGFA 분류상 Class I 형에 5명(21.7%), IIa형에 10명(43.5%), IIb형에 3명(13.0%), IIIa형에 5명(21.7%)이 해당되었으며, IIIa형은 다른 분류형들보다 모든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각 임상 평가척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QMG와 MGC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두 척도 모두 MG-QOL 및 MG-MMT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MGC은 QMG에 비하여 MG-ADL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MG-QOL15, MG-MMT에 대해서는 QMG에 비해 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MGC이 다른 모든 평가척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임상적 활용 측면에서는 특별한 도구가 필요 없고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5분 미만으로 앞서 기술된 타 척도들과 비교했을 때 임상에서의 유용성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각 항목에 가중치를 특별히 두지 않는 타 척도와 달리 환자의 예후나 중등도를 반영할 수 있는 인공호흡기 및 위장관 삽입 등에 가장 높은 점수가 설정되어 환자의 중등도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MGC은 향후 환자의 증상에 대한 경과관찰뿐만 아니라 임상연구를 할 때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강력한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Commonly, outcome measures for disease are designed to evaluate objectively clinical manifestations, severity or treatment response of patients. There are some scales for myasthenia gravis (MG) including Quantitative Myasthenia Gravis (QMG), MG-specific composite instrument (MGC), MG-specif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profile(MG-ADL), MG-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15 (MG-QOL15) and MG Manual Muscle Testing scale (MG-MMT). The clinical aspects that are assessed by each scale are different.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o compare which scale reflects the clinical status of MG patients better than others. Until now, QMG is the most widely used for measure the clinical status. However, it is not simple and takes no little time to QMG. MGC is recently designed to easy administering and to better represent the clinical stat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outcome measures perform better than other and are more clinically useful than other between QMG and MGC. We prospectively evaluated twenty thre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or MG in Ewha Womans Mok-Dong hospital from October 2010 to April 2011. The following data were recorded: demographic features, Myasthenia Gravis Foundation of America (MGFA) classification, QMG, MGC, MG-ADL, MG-QOL15 and MG-MMT. Based on the MGFA classification, there are 5 patients in class I, 10 in class IIa, 3 in class IIb and 5 in class IIIa. Class II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all scales than other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QMG correlated positively with MGC (r=0.75, p<0.01). QMG and MGC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G-QOL15 and MG-MMT. MGC had more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G-QOL15 and MG-MMT than QMG. Also MGC positively correlated with MG-ADL.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MGC represents the clinical status of MG patients better than QMG. In addition, MGC is very easy and simple to administer and requires no tool actually. Therefore, MGC could be very useful and powerful outcome measures for MG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