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컴퓨터 경영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구성방식에 따른 성과

Title
컴퓨터 경영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구성방식에 따른 성과
Other Titles
Learning Effects Depending on the Grouping Method in Computer-Based Cooperative Management Simulation Learning
Authors
유진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기업시장은 세계화의 바람과 함께 자본 위주의 경제에서 지식기반 경제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기업은 급변하는 시장의 경제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인재의 확보와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Driscoll(2000)은 학습을 인간수행 또는 수행 잠재성에서 나타나는 지속적인 변화라 정의하며, 이는 학습자의 세계에 대한 경험과 그 세계와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일어난다 하였다. 이와 같은 주장은 학습성과의 요건이 학습자의 흥미나 동기를 유지하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의 제공이라고 한 Vygotsky(1978)의 주장과도 동일하다. 학습자가 실제와 근접한 학습 상황 속에서 다양한 조건들을 직접 조절, 통제하며 지식을 습득하고 인지적 발달을 촉진하는 교수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원리나 과정, 인과관계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강력한 도구로 널리 평가받고 있다(Gibson & Fairweather, 1998). 협동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와 기업교육의 목표를 볼 때, 협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은 기업교육에서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협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업교육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소집단 구성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협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업교육에서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식이 학습의 성과인 의사소통과정의 인식도, 과정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효과적인 집단구성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 협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업교육에서 1. 의사소통과정의 인식도는 집단구성방식(동질집단(상), 동질집단(하), 이질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의사소통과정의 질에 대한 인식도는 집단구성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의사소통과정의 만족에 대한 인식도는 집단구성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만족도는 집단구성방식(동질집단(상), 동질집단(하), 이질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소집단 토의만족도는 집단구성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전체적 과정만족도는 집단구성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S기업의 경영시뮬레이션 게임 과정에 참가한 1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경영일반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총괄평가를 통해 경영일반 사전지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후 사전지식이 높은 상위권 학습자와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하위권 학습자를 구분하고 연구설계에 따라 동질집단(상), 동질집단(하), 이질집단으로 소집단을 구성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운영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운영한 후 김은주(2004)가 개발한 과정만족도 설문지를 통해 만족도를 측정하였고, Jonassen과 Kwon(2001)의 질문지를 통해 의사소통과정의 인식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비정규성 데이터를 가진 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과 논의를 연구 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과정의 질에 대한 인식도의 평균 순위는 동질집단(상)에 속한 학습자가 가장 높고 동질집단(하), 이질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집단의 평균 순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의사소통과정의 만족에 대한 인식도의 평균 순위도 의사소통과정의 질에 대한 인식도와 동일하게 동질집단(상)에 속한 학습자가 가장 높고 동질집단(하), 이질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집단의 평균 순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소집단 토의만족도의 평균 순위는 이질집단에 속한 학습자가 가장 높고 동질집단(상), 동질집단(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집단의 평균 순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전체적 수업만족도의 평균 순위는 동질집단(하)에 속한 학습자가 가장 높고 이질집단, 동질집단(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세 집단의 평균 순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그 이유를 추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의사소통과정의 질에 대한 인식도와 의사소통과정의 만족에 대한 인식도에서 동질집단(동질집단(상)에 속한 학습자의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로 구성된 동질집단에서는 학습과제를 잘 이해하게 되고 비슷한 수준의 학생사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고 문제 해결에 대한 도움을 크게 받게 된다는 Webb(1985)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동질집단(상)에 속한 상위수준의 학습자들은 사전지식을 활용하여 미션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미션해결을 위한 개별적인 의견을 활발하게 개진하여 집단 내 의사소통과정이 시뮬레이션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의미있는 토의활동을 했다고 인식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 째, 의사소통과정의 질에 대한 인식도와 의사소통과정의 만족에 대한 인식도에서 이질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평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인지수준에 따른 소집단 내 상호작용 분석 연구에서 인지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토론을 주도적으로 이끌며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만 인지수준이 낮은 학습자는 토론을 주도하지 못하고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을 추종한다는 김조연(2001)의 연구결과의 맥을 같이 한다. 이질집단의 토의과정에서 상위수준의 학습자가 소집단 내 하위학습자에게 자신의 문제해결 방법을 정당화시키고 서로의 불일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위수준의 학습자가 토론의 의사결정자로써 역할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 경우 상호작용의 빈도는 높을 수 있으나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소통과정의 효과성에 대한 질문지에 높은 점수를 줄 수 없었음은 자연스러운 결과라 하겠다. 셋째, 소집단 토의만족도에서 이질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설명을 주고 받는 상호작용이 주로 상위와 하위 수준의 학생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한 Webb(1985)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이질집단은 상위수준의 학습자가 토의를 이끌어가며 미션해결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하위수준의 학습자가 이에 대한 질문을 반복하며 동질집단보다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게 발생했을 것이고 이에 이질집단에 속한 학습자가 상호작용의 참여도에 대한 질문인 소집단 토의만족도에서 높은 순위를 나타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전체적 수업만족도에서 집단구성방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본 연구가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 내에서 실시되었으므로 학습자들은 대부분 높은 수준의 흥미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처음으로 접하는 경영시뮬레이션의 교육 의도와 효과에 대해서는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전체적 수업만족도의 평균은 네 가지 변인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8시간이라는 정해진 시간적 제한으로 인해 자신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점, 역할배분에서 구성원 모두가 자신이 원하는 역할을 맡을 수 없었던 점, 소집단 구성 시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점 등이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컴퓨터 경영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학습자 사전지식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식은 의사소통과정의 질에 대한 인식도와 의사소통과정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도, 소집단 토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문제해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과정의 인식도에 대한 측정 결과 이질집단보다 동질집단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협동학습의 운영자는 학습자의 사전수준을 진단하고 동일집단으로 소집단을 구성하되 구성원 간에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고 학습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도하고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의 제한점을 지니고 있어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S기업의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특정한 경영시뮬레이션과정에 국한하여 실시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연구 대상과 컴퓨터 협동 시뮬레이션과정을 다양화 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신입사원이 아닌 기업체 종사자나 중, 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거나 소집단 활동이 중심이 되는 다른 컴퓨터 시뮬레이션과정에 적용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한 달 간의 온라인으로 진행 된 경영이론 학습 후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된 총괄평가를 통해 상위수준의 학습자와 하위수준의 학습자를 구분하였으므로 상위와 하위수준을 구별하는 충분한 논리가 부족할 수 있다. 추후 학습자의 수준을 판별하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도구나 기준에 입각한 소집단 구성을 통한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경영이론에 대한 학습수준을 기준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흥미, 실무경험정도 등 다양한 방법을 기반으로 한 소집단 구성을 제안한다.;For the corporate market with the winds of globalization, capital-intensive economy to knowledge-based economy in transition has been. And the ever-changing market, businesses respond to the flow of the economy as a strategy for securing and nurturing of talent is emphasized. Educational psychologist, Driscoll (2000) defineded that learning is a persisting change in performance or performance potential and that results from experience and interaction with the world. This is equivalent to Vygotsky claims such that the element of learning effects depends not on how and how much the learner finds the specific contents, but on being provided the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 can interact in maintaining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that reason, the magnitude of instructional media, such as a computer simulation that allows a learner to construct new knowledge based on learner-centered principle, can be largely extended. It is due to the fact that, as Gibson & Fairweather (1998) mention, the computer simulation is widely appreciated as a powerful tool for instructing higher-level principles, procedures, and cause-effect relationships as well as for encouraging and maintaining learner's motivatio. Outcomes of cooperative and corporate training simulations view of the goal, the cooperative enterprise in education at an educational simulation is expected to be more active. Then simulation using cooperative learning in enterprise educ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rouping research is needed on how. In enterprise education with cumputer-based cooperative simulation, resear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rouping research is needed on how. Therefore this study find out whether method of grouping using infect to learning satisfaction, perception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learning achievement and proposed the most effective way of grouping. Three questions are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aken into account; In Computer-Based Cooperative Simulation Learning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Grouping methods-homogeneous group(high level), homogeneous group(low level) or heterogeneous group?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quality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Grouping methods?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Grouping method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Grouping methods-homogeneous group(high level), homogeneous group(low level) or heterogeneous group?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group discussion according to Grouping methods?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entire process according to Grouping methods? To investigate those research questions above, 145 participants who joined a management simulation game in S Company, were learned general management subject as a on-line mamagement educational program then measured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of general management through the evaluation contained within the total educational program. The top students with high prior knowledge and prior knowledge to distinguish between low levels of lower rank students according to the design homogeneous group (high level), homogeneous group (low level), heterogeneous group of computer simulation to configure the sub-groups were operating. The satisfaction was assessed with Kim, eun-joo(2004)'s questionnaire and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was assessed with Jonassen and Kwon(2001)’ questionnaire after operating computer-based situational simulations. The Kruskal-Wallis test were conducted to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ssociated with three research issues and other findings, the conclusion and result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below;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quality of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depending grouping. the homogeneous groups(high level) belong to the highest and homogeneous groups(low level), heterogeneous groups in ord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of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depending grouping. the homogeneous groups(high level) belong to the highest and homogeneous groups(low level), heterogeneous groups in order.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of group discussion depending grouping. the heterogeneous groups belong to the highest and homogeneous groups(high level), homogeneous groups(low level), heterogeneous groups in order. Forth, it was difficult t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of the entire process depending on the group. Based on the results above, some factors can be assumed as following; The first factor can be assumed that if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in the homogeneous groups(high level) was superior, it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the understanding of a mission and the interaction with group members as a social variable gave more influence to the result in solving a mission. It seems to point out the study of Webb(1985). This might have resulted from that Learner of homogeneous groups(high level) used prior knowledge to effectively understand the mission and mission to solve individual and collective opinions put forward actively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imulation activities have a meaningful discussion would suggest Second, it can be assumed that if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in the homogeneous groups(low level) was ranked the lowest, it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learners of high level were a highly interactive discussion led initiative, actively participate in discussion but learners of low level were not lead the discussion and followed the students to a learners of high level. It seems to point out the study of Kimjoyeon(2001) about the interections in grouping. learners of high level in groups justify their methods of problem solving and adjusting to each other in the course of the inconsistence and discuss the role of the decision-makers in discuss process of heterogeneous groups. This might have resulted from that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may be higher but questionnaire for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can't be marked in this case. Third, it can be assumed that the satisfaction of group discussion of in heterogeneous groups were ranked the highest, it seems to point out the study of Webb(1985) that under the description for learners of high level andl earners of lower levels of interaction mainly occurs between the students. Learners of high level led to discuss and explained about a process of solving mission, then Learners of low level asked for solving a mission repeat, then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occured at a higher frequency than the homogeneous groups. Four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of the entire process it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learners were freshman and they had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expectations but didn't recognize intent and effect of management simulation training. The the satisfaction of the entire process was ranked the lowest, it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8 hours due to a fixed time limit could not be fully exercised their skills, every menber could not be served what they want, group composition did not be reflected their opinion. In conclusion the method of grouping in cooperative simulation learning according to level of learning influent to the quality of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the satisfaction of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and satisfaction of group discussion. Especially as a result of study about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mmunication process, the homogeneous groups(high level) was superior heterogeneous groups. Facilitator for computer-based cooperative simulation learning must diagnose students' prior level of knowledge and constitude the group as a homogeneous group and need to provide activ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and to enhanc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 I hope that based on this study, next studies have to follow the suggestions below. First, this study only used S corporations to target new recruits limited to a particular business conducted by the simulation process so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its result. O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the same results could be produced from different subjects like or other simulation game. Second, this study divided students into high level and low level through test contained management learning, so there would be enough. logic. Other studies need to be applied objective, valid or standard tool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student's knowledge for grouping. Third, this study configured students based on student's knowledge for management. Other studies need to be configured students based on A variety of ways as personal characteristics, interests and much practical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