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모큐멘터리 시트콤의 서사 특성 연구

Title
모큐멘터리 시트콤의 서사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arrative features of Mockumentary-Sitcom
Authors
이유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현대의 콘텐츠는 동시다발적으로 공존하며 상호작용적 관계를 맺고 있다. 각각의 콘텐츠는 서로의 형식과 내용을 패러디하고, 패러디 당하며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소구에 부응하고 있다. 이는 재매개(remediation)의 패러다임과도 맥이 닿아있다. 현대의 재매개는 단순히 뉴미디어와 올드 미디어 사이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현시대에 함께 공존하는 콘텐츠 장르 간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콘텐츠 장르들은 팽팽한 긴장 구도 속에서 각자의 형식과 내용을 차용하고 개조한다. 모방과 패러디는 창조를 위해 이루어지며 이는 새로운 장르의 생산으로 이어진다. 장르는 고착된 것이라기보다는 다른 장르, 사회 변화, 수용자와 끊임없이 교류함으로써 변화하고 진화하는 하나의 과정이다. 특히 텔레비전 장르는 문학적 장르보다 역사적 성향이 강하며,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적인 존재이다. 모큐멘터리 시트콤(Mockumentary-Sitcom)은 다큐멘터리처럼 ‘보이는’ 시츄에이션 코미디이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다큐멘터리의 코드와 관습을 차용하여 희극적 서사를 전개하는 시트콤으로, 다큐멘터리와 시트콤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장르이다. 이는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소구에 부응하여 등장한 창조적인 서사 양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모큐멘터리 시트콤 제작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모큐멘터리에 대한 연구 또한 영화에 한정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에 대한 연구는 특정 작품의 팬 커뮤니티 속에서, 혹은 저널의 에세이를 통해서만 다뤄지고 있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이 기존의 시트콤과 가장 크게 구별되는 것은 다큐멘터리의 형식을 통해 서사를 전개했다는 점이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30분 분량의 짧은 내러티브를 가진 코미디라는 시트콤의 내용적 특성은 유지하고 있지만 형식면에서는 다큐멘터리 관습화된 코드의 차용을 통해 전개된다. 즉,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다큐멘터리의 형태를 갖춘 그릇 안에 시츄에이션 코미디의 형식과 소재를 담아낸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그가 내포한 시츄에이션 코미디와 관계없이 완전한 다큐멘터리의 형식으로써의 외연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다큐멘터리 코드의 선택적 차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숨어찍기와 인터뷰라는 다큐멘터리 코드를 선택적으로 차용하고 있다. 차용된 다큐멘터리 형식은 시트콤의 서사를 담는 그릇으로서 역할하게 된다. 먼저 모큐멘터리 시트콤의 인터뷰는 한 명 혹은 두 명의 등장인물이 가상의 관찰자의 질문에 답하거나 스스로 그것에 대한 의견, 또는 자신의 신변잡기를 늘어놓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을 통해 개별 인물은 자신의 성격, 가치관, 성장배경 등을 직·간접적으로 발언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공된 정보들은 인물을 하나의 독자적인 세계로 구축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황과 인터뷰의 상생을 통해 상승을 이루는 다큐멘터리의 상향적 인터뷰와 반대의 방향성을 가진 하향적 인터뷰를 통해 상황 내 인물의 행위와 인터뷰를 통한 인물의 담론을 대비시킴으로 인해 어떤 인물이나 상황을 하강시켜 인물의 희화에도 일조한다. 둘째로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엿보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상황과 행위에 대한 실재감을 고양시키고, 수용자는 이를 통해 불신의 자발적 유예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핸드헬드 기법을 통해 촬영된 엿보기 카메라는 다른 어떤 카메라의 움직임보다 근착된 관찰을 가능하게 해준다.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이러한 관찰을 인물의 심리 변화를 미세하게 포착하는 수단으로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모큐멘터리 시트콤의 가상 관찰자는 자신의 목적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사실 재현과 재현된 사실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다큐멘터리 관찰자와 달리 사건 전개에 동참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코드 차용이 수행하고 있는 서사적 기능을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형식의 차용이 모큐멘터리 시트콤에 어떠한 서사 특성을 부여하는지 알 수 있다. 첫째로 다성적 인물을 바탕으로 시트콤에 등장인물을 기능을 수행하는 행위자가 아닌 하나의 완결되지 않는 세계로 뒤바꿔 서사의 비종결성이라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둘째로 모큐멘터리 시트콤은 엿보기 카메라를 통해 포착된 일상의 단편을 축적하여 서사를 생성해내는 특성을 드러낸다. 세 번째로 가상 관찰자를 매개로 하여 시트콤의 등장인물과 수용자가 대화적 관계를 맺고, 이를 통해 깊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화적 서사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모큐멘터리 시트콤의 다큐멘터리 코드 차용이 서사 전개 속에서 어떤 서사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모큐멘터리 시트콤 서사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이 같은 논의는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소구 속에서 콘텐츠 진화의 단초가 될 수 있는 혼합 장르인 모큐멘터리 시트콤의 서사적 기능과 그 특성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Contents in the modern year co-exist simultaneously, concluding a reciprocal relationship. Each content makes parody of contents from each, being parodied at the same time, to correspond with appeals for new content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paradigm of remediation. Remediation in the modern era not only exist in between new media and old media but also is actively involved with co-existing genres. Genres of various contents borrow and renovate contents of others in a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Imitation and parody are conducted for creation, leading to a production of new genre. Genres do not adhere to one particular type but are sorts of procedures that steadily evolve and change via other genres, social changes, and exchange with consumers. Especially, genres in television show historical aspects rather than cultural aspects, being a flexible existence that steadily change according to the times. Mockumentary-Sitcom is a situation comedy that is shown just as documentary. Mockumentary-Sitcom exploits codes and customs of documentary, developing comic epics as synthetic hybrid genre unified with documentary. This is regarded to be a type of epics corresponding to appeal for new contents. However, in spite of activation of production for Mockumentary-Sitcom, researches relating to the field are definitely insufficient, limitedly proceeding researches for Mockumentary mainly focused on films. Researches of Mockumentary is currently proceeded via only community of particular works or essays from journals. What makes Mockumentary-Sitcom different from previous situation comedy the most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epics via types of documentary. Mockymentary-Sitcom maintains its unique characteristic to contain short 30 minutes length with narrative, while being developed via customized exploitation of code from documentary in terms of formality. In other words, Mockumentary-Sitcom can be regarded as a text containing mode and subjects of the situation comedy based on documentary. Mockumentary-Sitcom is equipped with mode of complete documentary regardless of what it contains based on situation comedy. Such a mode is proceeded via selective exploitation of documentary code. Mockumentary-Sitcom selectively exploits documentary codes including paparazzi and interview. Utilized modes of documentary serve as building blocks for epics of situation comedy. Firstly, Mockumentary-Sitcom leads an interview with one or two characters answering for inquiries from virtual observers or giving personal opinions or his/her memoirs. Throughout these procedures, each character directly/indirectly announces his/her personality, point of views, and growth background, and information from these procedures serve as roles for establishment of unique world. In addition, upward interview accomplishing ascension from co-existence of situations and interviews and downward interview containing traits in opposite to upward interview compare arguments of characters according to interviews and behaviors of characters in the situation, leading to a decline of particular character or situation to make them look comical. Secondly, Mockumentary-Sitcom enhance reality of what is recorded through paparazzi camera in terms of situation and behavior, and customers indirectly experience voluntary deferral of distrust. In addition, camera for peeking recorded by Hand-Held method enables to have recently arrived observance rather than movements from any other cameras. Mockumentary-Sitcom is used as a mean for catching subtle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Lastly, virtual observers of Mockumentary-Sitcom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story other than documentary observers who play a role for conveying messages of reproduction of reality and reality being reproduced by now showing their objectives. Based on epical functions proceeded by codes of documentary, exploitation of documentary types is confirmed in terms of what types of epical traits it providesto Mockumentary-Sitcom. First of all, based on characters with multi-personality, it ends up containing non-terminational trait of the epic by exchanging roles of characters in the sitcom from behavior performing tasks to one type of incomplete world. Secondly, Mockumentary-Sitcom accumulate an aspect of lives recorded by cameras for peeking, showing traits of creating epics. Thirdly, characters in the sitcom and customers build relationship via communication with virtual observer as a mediation mean, showing a trait of epics for deriving a deep sympathy.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what types of epical traits that an exploitation of sitcom documentary performs, ultimately leading to identify epic traits of Mockumentary-Sitcom. Such an argument has a significant meaning for figuring out epical functions and traits of Mockumentary-Sitcom, a combinational genre of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contents based on appeals new cont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