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3D 애니메이션 재현 이미지의 서사적 특징 연구

Title
3D 애니메이션 재현 이미지의 서사적 특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Representations of 3D Animation
Authors
강윤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미지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영역은 확장되고 있다.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이었던 애니메이션과 실사영상의 합성이미지는 점차 애니메이션이라는 큰 범주에 포함되고 있다. 따라서 실사영상과의 비교가 아닌,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 내에서 다르게 표현되는 이미지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아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3D 애니메이션의 유형을 나누고 각각의 유형이 서로 다른 기호적인 의미를 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작품 내의 서사에서도 서술 방식의 차이를 통해 다른 서사적인 특징이 나타난다는 것을 밝힌다. 이를 위해 비물질성을 기반으로 제작된 디지털 애니메이션들을 대상으로 하되, 이를 재현이미지의 합성 정도에 따라 작품들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애니메이션을 사진재현형 3D 애니메이션과 만화체재현형 3D 애니메이션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분석을 위한 텍스트로는 사진재현형 3D 애니메이션에 속하는 <폴라 익스프레스>와 <크리스마스 캐롤>, 만화체재현형 3D 애니메이션에 속하는 <업>과 <드래곤 길들이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미지의 표현 측면에서 볼 때, 사진재현형 3D 애니메이션은 표면적 층위에서 사진의 지표적인 특징을 획득함으로써 마치 현실에 존재하는 것 같은 실재성을 보여준다. 반면 이면적 층위인 서사에서는 현실의 반대에 서있는 비현실이라 할 수 있는 환상성이 나타난다. 일차 세계인 현실과는 구분되는 내적 일관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러한 톨킨의 환상성은 표면층위의 실재성과 아이러니의 관계에 놓여있다. 만화체재현형 3D 애니메이션에서는 2D 애니메이션이 가진 평면성이 나타남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입체성이 부여된 촉각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두 가지 속성은 다중적인 표상 행위를 인정하고 그것을 가시적으로 드러나게 하이퍼매개를 통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의 특성들은 시간적인 측면과 공간적인 요소를 통해 서사와 매개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준다. 사진재현형 3D 애니메이션에서는 연속적인 숏을 통해 사건의 과정이 강조하며 프레임 내화면에 집중함으로써 초점화자의 양면성을 나타낸다. 만화체재현형 3D 애니메이션의 경우 분절적인 숏을 통해 사건의 연쇄에 집중하고, 프레임의 외화면을 통해 초점화자가 정보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볼 때 3D 애니메이션의 재현 이미지는 유형별로 각기 다른 서사적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쇼트와 시간적 측면에 있어서 사진재현형 3D 애니메이션의 경우, 시간이 아닌 공간의 이동 과정에 할애한 숏은 개별적인 계열체를 연장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카이와가 말한 놀이의 분류 중 현기증에 속하는 ‘일링크스’의 놀이 유형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사진재현형 3D 애니메이션은 공간적 측면에 속하는 프레임과 초점화 부분에 있어서 서사를 이끌어나가는 중심으로 여겨지는 캐릭터의 탈중심화를 통해 초점화의 중심을 변화시킨다. 이 때 카메라는 서사 세계 안에서 관객의 눈을 상정함으로써 관객 또한 서사 진행의 주체로 참여시킨다. 셋째, 만화체재현형 3D 애니메이션에서 살펴본 시간적 측면에서는, 통합체의 완성을 위해 사건이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클로즈업 쇼트로 표현된 이러한 이미지들은 분절되어 반복 제시되고 인과적인 통합체의 논리에 의해 재조직된다. 넷째, 만화체재현형 3D 애니메이션에서는 프레임의 외화면과 초점화를 통해 정보의 획득 측면에서 캐릭터와 관객과의 관계 사이에 위계적인 질서를 생성해낸다. 본 연구는 3D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현적 측면과 서사적 측면이 분리되어 연구되어왔던 기존의 방향과는 달리,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표현적 특성과 서사적인 요소들을 통해 3D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유형에 따라 서사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방향 중 하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field of digital animation has extended to include various expressions of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The composition of animation and live action film, which exposed the limitations of technology, has grown to include the broad category of animation. According to this, the extension of 3D animation raises the need for a study not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is animation and live action film but on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used through the medium of anim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egorize animation images by highlighting where they differ from 3D animation and to analyze the narrative features of each type of 3D anim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immateriality and attempted to categorize works by the degree of composition of their representative images in digital animated film. As a result of this, for this thesis, 3D animations have been divided into two categorizations as the following type: photo representation and cartoon style representation. The area of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four animations: Polar Express (2004), Christmas Carol (2009), How to Train Your Dragon (2010) and Up (2009).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a particular image, photo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shows reali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by placing the indexical feature of a certain photo as it exists in the real world. On the contrary, in the narrative of its inner aspect, it shows fantasy opposite to the reality. This fantasy indicates the alternate world achieved through inner consistency, created by dividing the real world, giving a sense of irony to both the reality and fantasy portrayed. Cartoon style representation of 3D animations presents not only the planar of 2D animation but also the tactility given by their third dimension. These two features are hybridized through hypermediation which recognizes the multiplicity and visibly reveals this extra definition.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images used in 3D animations show the possible intermediation of the narrative by temporal and spatial elements. Photo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emphasizes the process of events by using continual shots and displays the double-sidedness of a focalizing agent by focusing on on-screen frames. Cartoon style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highlights the serial chain of events by ordering the segments of shots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through off-screen frames. Based on the discussion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each type of image represented through 3D animation shows different narrative characteristics. Primarily, in the case of photo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a feature of shots and temporal elements, the shot creates a part by moving not the time but the space by the extension of a paradigm. Through this movement, the image gains the playful quality known as ‘illinx’, which Caillois includes in his categorization of plays. In addition, regarding space and focalization, photo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changes the center of focalization through decentralizing characters on the screen. At such a point, the camera facilitates the audience in processing the narrative by deciding where the attention of audience will be focused. Third, in temporal aspects of cartoon style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the events are arranged by showing a syntagm repetitively in semiotics. These images are shown several times and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causal logic of the syntagm. Lastly, cartoon style representation in 3D animation creates a hierarchical order between characters and audiences in acquisit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off-screen frames and focalization It is, in fact, the above discussion that this study, contrary to others which are divided in opinion on the field of expression through narrative aspects, examines. It highlights how 3D animations show narrative differenc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mages, which can in turn give meaning to the direction of this kind of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