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김혜전-
dc.creator김혜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5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2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그림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림그리기 활동의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들의 그림의 내용과 그림그리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 및 그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이 그린 그림의 내용은 무엇인가? 2. 유아들이 그림을 그리는 동안 나타나는 행동 특성은 무엇인가? 3. 유아들의 그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자연유치원 만 5세 시간연장제 학급인 나무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유아 27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1년 3월 9일부터 4월 2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은 총 20회의 참여관찰, 형식적ㆍ비형식적 면담, 그림 수집, 문서 수집, 오디오 녹음, 비디오 촬영, 부모설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녹음 및 녹화 내용으로 현장기록과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고 그림을 스캔하여 주제에 따라 분류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in(2007)이 제시한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유치원 나무반 유아들이 그린 그림 주제는 상상한 것, 경험한 것,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평화로운 일상, 아름다운 자연풍경, 화목한 가족생활, 친구와 노는 모습, 초현실적 사건, 선의 힘, 죽음 등을 상상하여 그렸다. 유아들은 놀이, 방문, 주변 환경, 미디어 감상 등의 경험을 그림으로 재현했다. 유아들이 그림에 표현한 지식은 자연과학 지식과 사회과학 지식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자연유치원 나무반 유아들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자신의 그림을 또래에게 소개하거나 또래의 그림을 비평하고 그림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었다. 유아들은 그림을 잘못 그렸을 때 그림그리기를 재도전하거나 포기했다. 또래의 그림을 따라 그리기도 했고, 또래의 표현방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반복해서 연습함으로써 그림그리기 기술을 연마해나갔다. 또한 문제 상황에서 그림그리기 기술을 전수받거나 문제해결 방법을 지원받는 등의 도움을 주고받았다. 나무반 유아들은 그림의 시작과 완성을 부담스러워 했다. 셋째, 자연유치원 나무반 유아들의 그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또래, 교사, 일과, 대중매체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또래의 작품을 소개받아 자신의 그림에 반영했고 또래로부터 비평과 요청을 수용하며 그림을 그렸다. 교사의 칭찬과 조언으로 유아들은 높은 수준의 그림을 완성했다. 일과 중 그림그리기 시간에 제시된 그림 주제는 유아들의 그림 내용에 반영되었으며 흥미를 끄는 타활동이 유아들이 그림을 지속하고 중단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대중매체 경험은 유아들의 그림과 그림 그리는 또래 간의 대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림은 유아들의 삶을 반영하기 때문에 유아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들의 그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생활과 사고를 파악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그림그리기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그림그리기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도하고 장려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foundly understand children's drawing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drawing activity.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hildren's drawings. Also,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behaviors while they were performing drawing activitie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drawings with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ontents of children's drawing?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 behaviors which have been appeared in drawing activity? 3. What are th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draw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Namu, a time extension class of Jayeon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Seoul. Twenty-seven 5-year-old children and two teachers we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March 9th, 2011 to April 21th, 2011, using 20 participating observation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documentation, collecting drawings, videotaping, audio recording and survey from parents.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drawings were scanned to classify according to a theme.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s Bogdan and Bikein(2007)'s suggest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Namu class children at Jayeon kindergarten were classified by imagination,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drawings about imagination included peaceful daily life, beautiful nature scenery, harmonious family life, scene of play with friends, fantastic event, the power of goodness, and death. The drawings about experience were classified as playing, visiting, appreciating media, and environment. The knowledge which children demonstrated through their drawings was divided into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Second, Namu class children at Jayeon kindergarten talked about their artwork while they were performing their work. They introduced their own drawings to friends and criticized other friends' drawings. When children made a mistake in their drawing, they gave another attempt to draw or gave up drawing activities. Children in Namu class imitated friend's drawing. Furthermore, they trained their drawing skills by repeatedly emulating their friends' drawing technic. Children in Namu class helped one another by learning drawing skills or supporting problem-solving process while drawing. Lastly, they seemed to be under pressure when starting and completing their drawings. Thir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children's drawing were friend, teacher, daily routine, and mass media. Children in Namu class appreciated classmate's drawings and reflected their thoughts in their own drawing. They accommodated friend's criticism and request. Teacher's compliment and advi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drawing. They reflected a drawing theme that teacher had suggested in their drawing. They also completed quickly or had been interrupted by other interesting activities and time limit. Lastly, Children in Namu class drew what they experienced from TV, movie, and book. Drawing is very significant data to understand children because it reflects their life and thought. Teacher should make good use of children's drawing as educational data by analyzing their drawing. Teacher should b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drawing and try to realize this educational value by encouraging and teaching children's draw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5 Ⅱ. 이론적 배경 9 A. 유아 조형예술교육 9 1. 유아 조형예술교육의 목적 9 2. 유아 조형예술교육의 내용 13 B. 유아기 그림 15 1. 유아기 그림의 중요성 15 2. 유아기 그림의 특징과 내용 18 3. 유아의 그림에 영향을 주는 요인 20 Ⅲ. 연구방법 25 A. 문화기술적 연구방법 25 B. 연구 대상 26 C. 연구절차 35 Ⅳ. 유아들이 그린 그림의 내용 39 A. 상상 39 1. 평화로운 일상 40 2. 아름다운 자연풍경 42 3. 화목한 가족생활 45 4. 친구와 노는 모습 48 5. 초자연적 사건 51 6. 선의 힘 52 7. 죽음 55 B. 경험 58 1. 놀이 58 2. 방문 60 3. 주변 환경 61 4. 미디어감상 62 C. 지식 64 1. 자연과학 지식 64 2. 사회과학 지식 67 Ⅴ. 유아들이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 70 A. 그림에 대해 이야기하기 70 1. 자신의 그림 소개하기 70 2. 또래의 그림 비평하기 73 3. 그림과 관련된 이야기나누기 81 B. 재도전하기 84 C. 포기하기 90 D. 모방하기 94 E. 기술 연마하기 99 F. 도움 주고받기 101 1. 그리기 기술 전수 102 2. 문제해결 방법 지원 106 G. 부담스러워 하기 109 1. 시작에 대한 부담 109 2. 완성에 대한 부담 111 Ⅵ. 유아의 그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4 A. 또래 114 1. 또래의 작품 소개 114 2. 또래의 비평 117 3. 또래의 요청 121 4. 또래에의 관심 124 B. 교사 127 1. 칭찬하기 127 2. 조언하기 129 C. 일과 135 1. 그림그리기 시간 135 2. 흥미를 끄는 타활동 140 D. 대중매체 142 1. TV 142 2. 영화 146 3. 책 148 Ⅶ. 논의 및 결론 151 A. 논의 151 B. 결론 및 제언 163 참고문헌 167 부록 175 ABSTRACT 1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2581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연유치원 만 5세아의 그림그리기 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thnographic Study about 5-Year-Old Children's Drawing at Jayeon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Kim, Hae Jeon-
dc.format.pagex,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