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Korean Firms’ Labor Practices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itiatives

Title
Korean Firms’ Labor Practices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itiatives
Authors
김성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where a corporation voluntarily integrates social and environmental concerns in its business practices and in its relations with stakeholders, has been an important concept due to the increased social tension and growing inequality brought about by neo-liberal globalization. Although the history of Korean firms’ CSR goes back to the late 1990s, their CSR performance has exhibited uneven development, with efforts in labor practices and human rights remaining insufficient. Meanwhile, the quality of working conditions in Korea remains below expectations and has the potential to affect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business. In this regard, this thesis recognizes quality of employment as one of the core values that contribute to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suggests that properly-conducted CSR can enhance the quality of employment. This study is based on a qualitative method, and an analytical framework is outlined which incorporates references of CSR theory, including stakeholder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describe Korean firms’ CSR performance in labor and human rights issues; and (2) to understand firms’ CSR performance in relation with stakeholders. Therefore, this thesis raised questions on how the Korean public perceives CSR and how this perception is influenced by the media, labor unions, and the government. This thesis hypothesizes that firms’ CSR performance is pressured by the public, and in this process, media, labor unions, and the government have influenced the shaping of public perception on CSR and labor practices. This content analysis suggests four main points. First, public perception of labor issues is relatively unimportant. Second, the media ha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ublic perception. Third, the Korean public has developed negative sentiment towards labor unions and it attributes to the current behavior of labor unions that does not recognize more responsibilities for the society. Fourth, the public recognizes that solving labor issues are not the most important role of government.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serious issues in human rights and labor practices, it is unlikely that Korean firms will engage in CSR activities because there is no pressure from the public and there are no regulations outlin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also provides a list of suggestions for relevant stakeholders. Regarding the fact that CSR initiatives do not constitute an all-purpose solution, stakeholders should bear responsibility in bringing about better labor relations and an improved standard of human rights.;신자유주의로 대변되는 세계화 물결은 기업, 시민사회, 정부의 상호작용 방식에 영향을 미쳤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활발하게 만들었다. 이에 따라 CSR의 정의도 이해관계자뿐 아니라 사회와 환경을 경제활동에 접목시키는 전략적인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반면 1990년대 후반 경제위기 이후 시작된 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의 꾸준한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의 질 향상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이해 관계자와의 압력의 정도에 따라 수행된다는 이해관계자 이론을 바탕으로 기업의 존속에 필수적인 소비자의 압력, 곧 대중의 CSR 인식과 이해에 따라 기업의 CSR 활동이 전개되어 왔음을 가정한다. 이에 기업의 CSR 활동이 노동환경 및 인권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유로 설정한 가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 대중은 노동환경 및 인권 향상을 기업의 책임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중의 CSR 인식 형성과정은 언론의 CSR 보도 태도, 단어 선택 및 기사 빈도수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중은 노동조합의 태도와 기존 활동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대중의 CSR 인식도 이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넷째, 대중은 노동환경 및 인권 향상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인식하지 않으며, 물가안정이나 경제성장과 같이 국가 전반에 이익을 가져다 주는 정책을 더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이 논문은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 CSR 활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소비자, 노조, 언론, 정부 등 주변 이해 관계자들의 인식 제고가 뒷받침 되어야 하고, 또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