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신유정-
dc.creator신유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35-
dc.description.abstractThe vocabulary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education items in the 2nd language education. Recently, in Korean teaching, th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y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factor than any others. So to improve such communication ability, the vocabulary knowledge, the core of meaning conveyance, may be said as the most essential. The purposes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was to compare the definition approach as the most commonly used vocabulary teaching method with the contextual approach deducting a word's meaning with contextual cues and to discover the effects of both approaches on the Korean vocabulary learning. The learned vocabulary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was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rea which the learned words were suitably used in contexts; the other was Passive Vocabulary Knowledge Area understanding only words' meanings. The researcher intended to prove if the both teaching approaches might be any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divided by the Korean frequency level. This experiment divided 34 learners of middle-level Korean class whose mother tongue was Chinese into the definition group and the context group. And the definition group received some words' definitions in a Korean dictionary, and the context group got some contexts having contextual cu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 times, and at each time, the researcher selected 7 target words (target vocabulary). After teaching the target word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post vocabulary test using the Vocabulary Knowledge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The two independence samples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and 2-way ANOVA.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al processes was proved into P<.05. The research issues set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Research Issue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approach and the contextual approach in learning Korean vocabulary? Research Issue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approach and the contextual approach in learning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passive vocabulary knowledge? Research Issue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approach and the contextual approach in learning vocabulary according to the Korean mastery pace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 contextual approa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definition approach in learning Korean. In the both areas of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passive vocabulary knowledge, there was also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at the contextual approach teaching vocabularies in contexts were more effective. And, in the both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the contextual approach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learning vocabulary.;어휘는 제2언어 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교육 항목 중의 하나이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의미 전달의 핵심인 어휘 지식은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실험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실에서 어휘 지도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단서를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를 추론하는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을 비교하여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학습한 어휘를 문맥 속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생산적 어휘 지식 영역과 어휘의 의미를 이해하는 수용적 어휘 지식 영역으로 구분하여 두 어휘 지도 방법이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한국어 숙달도 차이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모국어가 중국어인 중급 학습자 34명을 정의 집단과 문맥 집단 두 집단으로 나누어 정의 집단에는 한국어 사전 정의를 제시하였고 문맥 집단에는 어휘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문맥적 단서를 포함한 문맥을 제시하였다. 실험은 총 2차시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차시 당 7개의 목표 어휘를 선정하여 학습한 후에 어휘 지식 척도(Vocabulary Knowledge Scale)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두 독립표본 t검정의 방법, 이원분산분석(2-way ANOVA)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 처리에 대한 유의수준은 P<.05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3.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실험을 통해 분석한 연구 결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보다 어휘 학습에 더 효과적이라는 유의미한 통계 결과가 나왔다. 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 영역 모두에서도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어휘 학습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4 C. 연구 문제 10 Ⅱ. 이론적 배경 12 A. 어휘와 어휘력 12 1. 어휘의 개념 12 2. 어휘력과 어휘 능력, 어휘 지식 13 B. 수용적 어휘 지식과 생산적 어휘 지식 16 C. 어휘 학습 방법 17 D. 어휘 지도 방법 19 1.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 20 2.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 21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 설계 26 B. 연구 참여자 29 C. 연구 도구 31 1. 실험 도구 31 2. 측정 도구 35 D. 연구 절차 43 1. 예비 실험 43 2. 동질성 검사 44 3. 본 실험 46 E. 자료 분석 방법 49 1. 채점 49 2. 자료 분석 4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0 A. 검사 도구 신뢰도 50 B.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50 1. 어휘 지도 방법에 따른 어휘 지식 평가의 결과 분석 50 2. 연구 결과 해석 51 C.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생산적 어휘 지식과 수용적 어휘 지식 학습에 미치는 영향 52 1. 1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의 결과 분석 및 기술 52 2. 2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의 결과 분석 및 기술 53 3. 수용적 어휘 지식 평가의 결과 분석 및 기술 54 4. 연구 결과 해석 55 D. 정의 중심 어휘 지도 방법과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숙달도 구분에 따라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57 1. 숙달도 구분에 따른 어휘 지식 평가의 결과 분석 및 기술 58 2. 연구 결과 해석 61 E. 그 외의 결과 63 Ⅴ. 결론 68 A.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8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70 참고문헌 72 부록 77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77 부록 2. 동질성 검사지 78 부록 3. 1, 2차시 정의 집단 교수 자료 81 부록 4. 1, 2차시 문맥 집단 교수 자료 82 부록 5. 1차시 - 1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지 87 부록 6. 1차시 VKS 평가지 - 2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지 88 부록 7. 1차시 VKS 평가지 - 2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지(중국어) 90 부록 8. 1차시 VKS 평가지 - 수용적 어휘 지식 평가지 92 부록 9. 1차시 VKS 평가지 - 수용적 어휘 지식 평가지(중국어) 94 부록 10. 2차시 - 1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지 96 부록 11. 2차시 VKS 평가지 - 2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지 97 부록 12. 2차시 VKS 평가지 - 2차 생산적 어휘 지식 평가지(중국어) 99 부록 13. 2차시 VKS 평가지 - 수용적 어휘 지식 평가지 101 부록 14. 2차시 VKS 평가지 - 수용적 어휘 지식 평가지(중국어) 103 부록 15. 문맥 집단 설문지 105 부록 16. 문맥 집단 설문지(중국어) 108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62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textual Approach's Effect on the Korean Vocabulary Learning-
dc.creator.othernameShin, You Jeong-
dc.format.pageix,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