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수정 노력

Title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수정 노력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Efforts for Curricular Revisions after Experiencing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uthors
백지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and strategies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first-hand experiences and efforts to revise the curriculums through inclusive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and directions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have kindergarten teachers changed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2. What kind of effort do kindergarten teachers make to provide education that includes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including curricular revisions and effort processes)? 3.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think of direc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subjects include ten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Interview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was employed in the study.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ach teacher from March 14 to April 29, 2011 and followed by additional dialogues via phon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teachers running an inclusive class said that inclusive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for both regular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at there was a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The teachers were for partial inclusion as a desirable form of inclusive education and felt a need for an adaptation process for young children to achieve full inclusion. The participating teachers also had positive perceptions of inclusion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s with an inclusive class, the types and severity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experienced, and know-how and knowledge acquisition based on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Second,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revising the curriculums for inclusive education as part of their efforts to includ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ducation. They were trying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 of educational content for large group and individual activities and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diverse forms of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In an effort to search for way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they carefully observe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dentified their characteristics, and revised the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applied a range of educational methods for young children with an affective disorder and delayed development and focused on the methods that allowed for the performance of large group activities together. When they were dealing with young children with a physical disability, they would often revise th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classes that required mobility. They usually revised the physical teaching environments to create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ttained many environmental changes for young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teachers took a series of effort processes for inclusive education; first, they tried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second, they tried to recognize the side effects of their excessive interest and concer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find optimal balance through various trial and error processes while teaching an inclusive class; and finally, they made effective use of diverse support systems, making the most use of human resources including young children, parents, and colleague teachers and making active use of assistance exchange and administrative support with many different educational agencie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inally, direc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take were examined among the kindergarten teachers. The teachers put an emphasis on reinforced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re-education for incumbent teachers and identified a need for more specific and practic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they emphasized a need for considering the attitude aspects of inclusive teachers important by highlighting their positive thinking and discreet attitudes towards the parents.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need to alter their perceptions including acknowledging the disabilities their children have and embracing inclusive education openly. They also pointed out the activation and diversification of financial support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is one of the direc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to take. As for the policy aspects, the teachers said there should be national-level policies such as reduction of inclusive classroom quorum, vitalization of auxiliary personnel, and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inally,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tive exchanges among various agencies that deal with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order to complet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실행하면서 겪은 직접적인 교육과정 수정에 관한 경험과 노력을 통해서 실제적인 방법과 전략을 탐색해보고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방향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2. 유치원 교사들은 장애유아를 통합하여 교육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교육과정수정, 노력 과정)을 기울이는가? 3. 유치원 교사들은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0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면담을 사용하였다. 2011년 3월 14일부터 4월 29일까지 교사당 한 차례의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나 e-mail을 통한 추가적인 대화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들은 통합교육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에게 매우 효과적이며, 통합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형태로 부분통합을 지향하고 있었으며, 완전통합을 위해서는 유아들의 적응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참여교사들은 통합학급에 대한 성공적인 경험, 경험한 장애유아의 유형 및 정도, 누적된 경험을 통한 노하우와 지식의 습득 등을 통해 통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둘째, 참여교사들은 장애유아를 통합하여 교육하기 위한 노력으로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수정을 하고 있었다. 통합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대집단 활동 및 개별 활동에서 교육내용의 난이도 수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장애이해교육을 통해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장애유아를 세밀하게 관찰하고 유아의 특성을 파악한 후에 장애유아의 장애유형에 따라 교육방법의 수정을 달리하고 있었다. 정서장애나 발달지체 유아와 같은 경우에는 유아의 성향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하였고, 대집단 활동 시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에 신체장애를 가진 유아를 위해서는 주로 이동이 필요한 수업에서 교육방법의 수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환경을 위해서는 물리적 교수환경의 수정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신체장애유아를 위한 환경변화가 많이 이루어졌다. 교사들의 통합교육을 위한 노력 과정의 첫 번째는 자신의 전문성 향상이었다. 두 번째 노력 과정으로, 통합학급을 경험한 교사들은 다양한 시행착오의 과정을 겪었는데 이를 통하여 교사들은 장애유아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배려에 대한 부작용에 대해 인식하고 적정선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세 번째로 교사들은 다양한 지원체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는데, 유아와 부모, 동료교사 등과 같은 인적자원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밖에 장애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교육기관과 도움을 주고받거나 행정적 지원 또한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으로, 교사 측면에서는 예비교사 양성교육과 현직교사 재교육의 강화를 강조하였고, 통합교육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의 긍정적인 생각과 부모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강조하여 통합교사의 태도적인 측면의 중요성 또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부모 측면에서는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통합교육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등의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장애유아 부모를 위한 재정적인 지원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다양화도 앞으로 통합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 중의 하나라고 지적하였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통합학급 정원 축소, 보조인력 활성화 방안, 장애유아 관련 행정적 절차 간소화 등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완성을 위해서는 장애유아가 속한 여러 기관들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