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배한나-
dc.creator배한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8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862-
dc.description.abstract현재 21세기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개인 PC, iPod, iPad, 스마트폰 등 최첨단의 기계문명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손가락 하나로 작동하는 기계화된 사회에서 얻는 많은 즐거움과 정보들은 타인과의 대화나 소통을 단절시키는 원인이 되어버렸다. 이것은 교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으로서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이면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는 학생들보다 혼자 음악을 듣거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서핑을 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학생들은 타인과 함께 어울리는 법을 배우기보다는 모니터 안의 혼자만의 세상에서 지극히 개인주의적이고 희박한 공동체의식을 가진 채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도 예외가 아닌 영어 주입식 교육, 사교육 과열 현상 등의 우리나라교육현실은 삭막한 개인주의를 북돋고 있으며 인성교육의 부재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때문에 학교 교육에 있어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교육"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개별학습이 아닌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전인교육형성에 목적을 두고 성숙된 공동사회(community)의 회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전략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다양한 협동학습모형 가운데 GI(Group Investigation)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교과에서 협동학습 적용의 폭을 넓히고, 초등미술교육에서 협동학습의 적용을 통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서로간의 협동을 통하여 자신의 가치와 개성을 발견하게 함으로써 자아실현을 도우며 나아가 미술자아개념을 형성시키고, 충분한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 증진에 시사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협동학습 모형 중 적용 가능한 단원 연구와 함께 초등학교 5학년의 발달 단계적 특징을 고려해 GI(Group Investigation)모형의 절차에 따른 수업을 계획하였다. 이 시기의 학습자들은 아는 것을 시각적 체험으로 구체화하며, 시각적으로 본 것을 구체적 표현이나 정확한 기초 개념으로 발달시켜 나가는 단계이므로 표현하고자 하는 마음이 앞서 내가 표현한 것이 대상과 닮지 않았음을 느끼고 미술에 대한 자신감을 많이 상실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미술이 어떤 대상을 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는 다양한 표현 방법과 주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미술교과서의 단원 통합을 통해 스텐실이라는 표현 기법을 활용한 교실창문꾸미기를 수업의 대단원으로 설정하고, GI(Group Investigation)모형의 절차를 따른 이 프로그램은 작품의 주제 선정에서부터 작품을 계획하여 실제로 제작하고 나아가 감상.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증진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GI(Group Investigation)모형에 의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경남 양산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1학급 30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4주간 총 8차시를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수업은 같은 기간, 같은 학교 5학년 1학급 30명을 대상으로 전통적 모둠학습으로 진행하였다. 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적용하기에 앞서 실험 집단.비교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의 내용 타당도는 교육전문가 2인과 초등학교 교사 2인과의 협의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pilot test)는 원 검사지의 문항을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하기에 적합하도록 수정.번안하여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동질성 설문지를 실행하고,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후 프로그램 실시하였다.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 한 후, 미술자아개념 검사지.사회성 검사지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협동학습에 의한 미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들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I(Group Investigation)모형에 의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미술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p<.01)를 보였다. 둘째, GI(Group Investigation)모형에 의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였다. 둘째, 교사의 관찰 일지와 수업 후 학습자들이 작성한 모둠별 활동지와 감상.평가를 분석한 결과 GI(Group Investigation)전략의 교실창문꾸미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미술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 그리고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GI(Group Investigation)전략에 의한 미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미술활동에 의한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갖게 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협동학습(GI)전략에 의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 강조를 통한 자기 주도적인 탐구활동과 집단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며 타인을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이 배양하여 초등학교 5학년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증진에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In the 21st century, modern people are now taking advantages of the advances in technology, for example using PCs, iPods, iPads, Smartphones and so on. Today, we get a lot of fun and information from using techonology with just a touch of our fingers, however, this same technology has caused people to cut off communication with others. We can see this common sight in the classroom; students listen to music or get on the internet with their Smartphones during their break time instead of getting together with their friends. In this phenomenon, students are growing with individualism and a very weak sense of community spirit on their own alone rather than learning how to socialize with others in the world. Furthermore, the realit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for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get English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crammed into their life without exceptions, is encouraging individualism, as well as resulting in lack of natural education to elementary students. That is the reason why the human education as a social being has been considered as the important need in schools. It is also needed to present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that would recover the mature community aimed at a well-rounded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ve social interaction rather than individual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both self-concept in art education and sociality.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developing 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based on GI (Group Investigation) model among a variety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but also making a broad range of applicable collaborative learning in art education. Plu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students would discover their own values and persona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llaborative social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s well as promote their social interaction by helping self-fulfillment and formation of self-concept of art. For this study, the lesson was processing with the GI model considered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ual development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applicable collaborate-learning models analyzed by the current revision of curricula and textbooks. Students in this age concrete their knowledge to their visual experience and then develop it to the right basic concept. They might lose their confidence about art because they notice that the target does not resemble what they intent to express. Therefore, students need to know there are a variety of methods and topics to express art besides real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to decorate classroom windows using stenciling was selected by integrating art textbooks of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s program was focused on increasing self-concept and sociability of students through the procedures of the GI model- selecting topics, planning, making, enjoying, and assessing. 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based on GI was conducted to a class of 30 students who are in 5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san, Kyung-nam, South Korea. This program was distributed for 4 weeks, a total of 8 classes, from March to April in 2011. The control group was also conducted with a class of 30 students who are in 5th grade of the same school with the traditional group activity program during the same period. Prio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self-concept of art and sociality, homogeneity test was applied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homogeneity of two different groups. The validity test was examined with two educationalists an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pilot test was used for the reliability test to 55 students in the 5th grade. For conducting the pilot test, the questionnaires were modified for the 5th grade students. After finding out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performed.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test for the self-concept of art and socialit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on self-concept of art and sociality of the 5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based on GI model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on self-concept of ar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a higher rate of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01).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on socia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a much higher rate of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001).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the program of decorating classroom windows based on the GI strategy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awareness, interest, and self-concept in art, as well as increasing sociability in the result of analyses from both teachers? observations and assessment of group activities. This study shows that GI strategy by 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improves students? self-concept in art and sociability. It also shows that these improvement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herefo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based on GI strategy would promote the group members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inquiry activities through emphasiz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hat this interaction would further make students respectful and considerate of others and have a sense of community spirit, so that they can have a great significant to promote self-concept in art education and sociability for 5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Ⅱ. 협동학습과 초등미술교육에서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5 A. 협동학습의 개념 5 1. 협동학습의 개념 5 2. 협동학습과 전통적 모둠 학습의 차이점 8 B. 협동학습의 유형 14 1. 협동학습의 수업모형 14 2. GI(Group Investigation)모형 19 C. 초등미술교육에서 협동학습(GI)전략과 미술자아개념사회성과의 관계성 23 1.협동학습(GI)전략과 초등미술교육에서의 미술자아개념 23 2.협동학습(GI)전략과 초등미술교육에서의 사회성 27 Ⅲ.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및 절차 30 B.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2 C. 연구도구 3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5 A. 연구결과 55 B. 논의 69 Ⅴ. 결론 71 참고문헌 74 부록목차 77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134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협동학습(GI)전략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Group Investigation Strategy on an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of Students-
dc.creator.othernameBae, Han Na-
dc.format.pageix,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