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요인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 말하기 불안 해소 방안 연구

Title
요인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 말하기 불안 해소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 to Resolve Elementary Student's Speech Anxiety Using Factors Analysis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의 말하기 불안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해 본 후 초등학생, 그 중에서도 5학년 학습자들의 말하기 불안 요인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생들에게 말하기 불안 요인이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떠한 경험과 관련하여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본다는 데 의미가 있다. 말하기 불안 요인을 성격·심리적 요인, 담화 환경적 요인, 관계적 요인으로 분류하여서 말하기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Ⅲ장 A절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점 척도로 했을 때, 말하기 불안의 평균은 2.26점으로 낮은 편이었으나 말하기 불안을 4수준으로 구분하면 말하기 불안이 높은 학생은 34.4%, 매우 높은 학생은 5.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학생들이 말하기 불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안이 나타나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말하기 불안과 성격·심리적 요인, 담화 환경적 요인, 관계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심리적 요인과 말하기 불안과의 상관관계는 0.515(p<0.1)로 확실히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효능감은 32.7%가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는 가정 및 주변 환경의 반응에 대해서는 32.9%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담화 환경적 요인과 말하기 불안은 0.756(p<0.1)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담화에 참여하는 청중의 규모가 클수록 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적인 상황 중 발표 전, 중, 후로 구분하였을 때 69.1%가 발표하기 전에 가장 불안을 느낀다고 답하였다. 관계적 요인과 말하기 불안은 0.386(p<0.1)으로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를 가장 잘 들어주는 대상으로 50.7%가 어머니라고 응답하였으며, 선생님이 1.4%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관계별로 말하기 불안을 살펴보았는데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이 2.4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2.31점으로 교사로 나타났다. Ⅲ장 B절에서는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으로 구분하여서 면담을 통해 말하기 불안 요인을 사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입학은 학생의 신분이 되는 것에 대한 부담과 함께 학교를 공식적인 상황으로 인식함으로써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면담 학생들은 말하기 불안이 작용하기 시작한 시기로 1학년과 3학년을 들고 있다. 둘째, 말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은 말하기와 관련하여 심리적으로 위축되면서 말하기 불안이 형성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음이나 말투 등에 대한 타인의 지적을 받거나, 자신의 이야기에 대해 상대방의 비웃음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말하기 불안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화에 참여하는 청자 규모가 클수록 자신에게 집중되는 시선이 부담스러워 말하기 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화의 목적이 중요하게 인식될수록 말하기 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계적 요인에 따른 불안은 비공식적 상황에서 자신에게 화를 내지 않더라도 공식적인 상황에서 엄격하고 화를 내는 모습을 보이는 대상에게는 불안이 높았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지도 방안으로 말하기 준비, 말에 대한 긍지 갖기, 말하기 훈련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말하기 준비 단계는 긴장을 풀어줄 수 있는 활동을 통해 불안감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준비 단계이다. 말에 대한 긍지 갖기 단계에서는 성격·심리적 요인, 관계적 요인과 담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각 불안 요인을 낮춰줄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관련 경험에 노출을 시키면서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말하기 훈련은 상황을 고려해서 직접 말을 해보고 자신의 말하기를 점검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전에 말하기 불안과 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말하기 불안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면담을 통해 사례별로 불안 요인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에게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경험 등을 점검해 봄으로써 초등학생들에게 일반적으로 말하기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사례 등을 알아보고 이를 유의하여 지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초등학생 말하기 불안 해소하는 데 기여하며 더 나아가 초등학생 화자들에게 말하기 불안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ech anxiety and get rid of that anxiet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personality·psychological factors, conversation environment factors, relationship factors influencing speech anxiety and examined interrelation with those factors and speech anxiety. In order to analyze factors of speech anxiety, this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282 children in 5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nd this study carried out a interview with 13 students who have speech anxieties. The results obtained in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verage degree of speech anxiety was 2.33. Even though this degree lower than standard degree 2.33, 34.4 percent of students were suffering from relatively high degree of speech anxiety and 5.3 percent of them are experiencing remarkably high degree. Second, most of students had positive self-efficacy, but 28.7 percent of students had negative self-efficacy. Third, students contacted more audiences, they felt more degree of speech anxiety. And they preferred one - on - one conversation. Forth, students preferred to speech at playground in formal situation, at home in informal situation. Fifth, 69.1 percent of them were suffering from speech anxiety shortly before speech. Finally Student experienced the lowest degree of speech anxiety when they spoke to mother, and the highest degree of speech anxiety when they spoke to stranger. The results obtained in interview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Some students had only a speech anxiety factor. However most student we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that cause speech anxiety. Students pointed out speech anxiety is builded when they were in 1th grade and 3rd grade. That was why, 1th graders encountered a school as first public place and 3rd graders cared somebody's eyes instead of self-centered thinking as they grew. To decrease speech anxiety, we have to give many speech opportunity as possible. Therefore we proposed stages as substantial ways of instruction to remove speech anxiety. In the First stage, speech preparation activities are provided to relax. In the Second stage, having a pride in speech activities are provided with consideration of anxiety factors. In this stage, students contact direct or indirect speech environment. In the last stage, Students have a speech opportunity actually by checking their anxiety. Then they can be a good speecher through training of these sta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