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0 Download: 0

카메라 연출 방식을 이용한 3D 입체 애니메이션 표현연구

Title
카메라 연출 방식을 이용한 3D 입체 애니메이션 표현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3-Dimensional Effect Expression of 3D Stereoscopic Animation : Focused on film work,
Authors
Zou Chen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Movies have continuously brought surprises to human beings, since it came about. A hundred years ago, at the time when the movie (1895) was on screen, as the train in the film bound towards the audiences watching the cinema screen, the audiences felt threatened that they would get hit by the steam train. So simultaneously they all rose from their seats and ran out of the cinema theatre, screaming out, shocked. These days, movies are now a common means of viewing, in our daily lives. Sense of depth and optical illusion of flat video screens effectively help create sense of reality, but due to the differences in human being's left eye and right eye view point, the sceneries we visually perceive is different from the sceneries recreated in flat screens. In this sense, there are strengths in applying stereoscopic image in movies compared to the previous movies, as it can satisfy people's visual sense of reality. As 3D stereoscopic animation films produce 3-dimensional effect directly through the visual system, we do not have to reconstruct the sensation of volume of objects in the scenes we see. Also, by reducing unrealistic elements, sensation of immersion can be substantially increased. However, it is a problem that skillful stereoscopic film directors, movie photographers and editors are small in number. Moreover, researches on 3D stereoscopic animation films are focused on technological problems, while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researches on the visual contents itself, which the audiences view directly through their eyes, are inadequate. Thus,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on the characteristics of 3D stereoscopic animation films and the expressions of 3-dimensional eff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these expressions are being applied in the making process of actual works. I will explain by mainly using the example of , which is a film work I have produced. In this paper, I have categorized the factors required in expressing 3-dimensional effect into two forms, 3-dimensional effect expression created by film object and by camera. Then I have utilized them in producing my 3D stereoscopic animation research work, .;영화는 출현한 이후부터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놀라움을 가져다주고 있다. 영화<열차의 도착>(1895년)이 상영되었을 당시 극장 스크린에서 관객을 향해 돌진하여 달려오는 증기기관차와 맞부딪칠 것 같은 느낌에 관객들은 일제히 자리에서 일어나 극장 밖으로 소리를 지르며 뛰쳐나갔다. 이러한 사람들의 시각적 만족을 위하여 영화에서 시작된 입체영상 영화는 기존 영화보다 생생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강점이 있다. 2004년 3D 입체 애니메이션 영화 <폴라 익스프레스(The Polar Express)>는 아이맥스(I MAX)영화관에서 개봉되어 3D 입체 애니메이션 영화의 높은 인기와 거대한 비즈니스의 잠재력을 영화 업계 인사들에게 보여주었다. 2009년 <아바타(Avatar)>는 전 세계적으로 28억 달러의 흥행수입을 기록했으며, 흥행수입의 80%는 3D입체 상영극장에서 나왔을 정도로 입체영상에 대한 관객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영화들로 인하여 영화의 흥행을 결정짓는 것은 재미있는 스토리텔링과 관객들에게 입체감을 보여주는 적합한 시각적 연출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평면적인 영상 화면의 깊이감과 착시현상은 효과적으로 현실감을 주지만 인간의 양안 시점차이로 인식하는 입체감은 평면 속에서는 깊이감과 현실감의 차이를 더욱 극명하게 나타낸다.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시각시스템을 통해 직접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우리가 보는 장면에서 물체들의 체적감(sensation of volume)을 재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비현실적인 요소를 줄임으로서, 몰입감(sensation ofimmersion)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숙련된 입체 영화 감독과 촬영기사 그리고 편집자와 같은 인력이 매우 적다는 것은 3D 입체 애니메이션이 발전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문제로 볼 수 있다. 또한 3D 입체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는 기술적 문제에 집중되어 있고 관객들의 눈을 통해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영상 그 자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입체감 연출기법을 기반으로 관객들에게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보여 줌으로써 어디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3D 입체 애니메이션 관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이론과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입체감 표현 방식에 따른 촬영 대상의 입체감 표현과 카메라 연출방식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촬영대상의 입체감 표현은 중첩(다층 이미지), Z축 블로킹(Z-axis blocking), 복수의 촬영대상의 Z축 배치, 원근법(투시), 카메라 연출방식, 카메라의 움직임 여섯 가지로 자세하게 세분하였다. 이 여섯 가지의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입체감 표현 연출기법을 통해 3D 입체 애니메이션<폴라 익스프레스>, <볼트(Bolt)>, <아바타>와 <드래곤 길들이기(How to Train Your Dragon)> 4 개 대표작품에서 입체감 표현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작품 ‘Mix World'는 환경을 주제로 한 3D 입체 애니메이션이다. 제작 목적은 재미있는 3D 입체 애니메이션방식을 통하여 관객들이 입체영상에 대한 호기심과 신선함을 느낌과 동시에 환경이 대한 관심을 함께 불러일으키고자 하는데 있다. 위의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입체감 표현 방식 사례분석을 연구 작품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연출 기법에 적용하였고, 3D 입체 카메라 연출 방식에 의해 결과 영상물을 제작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