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바로크적 비극성으로 연출되는 회화

Title
바로크적 비극성으로 연출되는 회화
Other Titles
Baroque-style Tragedy and Painting on a Stage
Authors
정희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원인과 결과가 명확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문제는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탈 주술화와 함께 배제되어 왔다. 이런 현상은 삶과 죽음의 문제도 예외는 아니었다. 생과 사라는 삶의 기본명제는 현재 사회제도 속에서 격리된 채 일상과 분리된 모습으로 존재한다. 본인은 사춘기 시절, 소소한 일들이 벌어지는 일상이라는 표면 아래에 삶의 거대서사가 숨쉬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 이후 삶과 죽음이라는 서사에 지속적으로 관심이 있었다. 이러한 개인적 경험과 현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일상의 시간성과 유한함, 개개인의 짧은 시간성을 역사 위에서 조망한다. 본 논문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독일 비애극의 원천』에서 제시한 ‘바로크적 비극성’ 과의 연계성 속에서 서술하며 바로크(Baroque) 시대의 조형적 요소와 함께 ‘무대’로 상정한 작업의 과정을 돌아보고 이를 개념화 한다. 본론은 바로크, 바로크적 비극성, 현대에서 확장된 의미로서의 바로크의 개념을 소개한다. 바로크의 조형적 특징의 분류와 정의는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ölfflin)의『미술사의 기초개념』에서 정의한 바로크 시대의 조형성의 견해를 바탕으로 서술하고, 바로크 시대의 비극을 분석한 벤야민의 이론을 함께 탐구하며 현대 바로크의 ‘열린 개념’을 제시한다. 작업의 토대가 된 이론들을 서술한 이후 본인의 회화의 조형적 특징인 ‘무대로서의 화면’의 설명과 함께 ‘연출된 빛과 색’, ‘소도구들’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때 바로크 시대의 화가인 카라바지오(Caravaggio)의 조형적 형식의 특징 등을 언급하고, 현대작가인 빌 비올라 (Bill Viola)의 <격정 The Passions> 시리즈 작업의 분석을 통해 바로크의 조형적 양식이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본인의 회화의 빛과 색의 연출을 해석할 것이다. ‘무대’로서 제시되는 화면의 조형적 형식 위에 본인이 ‘소도구’로 상정한 작업의 소재들이 연출되어 있는 상황을 제시한다. 일상의 ‘상궤의 영역’과 ‘사건의 영역’이 변증법적으로 제시하는 사고현장의 모습들, 현실 속 무대와 같은 도로의 이미지, 현실의 시간성을 뛰어넘는 원형적 공간으로서의 동굴, 사고 현장 속 파편들과 장소의 역할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소도구’들은 바로크 시대의 정물화에 나타난 바니타스(Vanitas) 개념 및 도상과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일그러진 형상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의미를 살펴본다. 본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본인의 작업의 또다른 특징인 ‘이중공간과 시간성’을 탐구한다. 알레고리의 충돌과 같은 상황이 연출되는 네오 라우흐(Neo Rauch)의 작품 분석과 함께 본인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이중공간과의 연관성을 찾아본다. 또한 나선형적 시간개념에선 일리야 프레고진(IIya Prigogine)이 설명한 ‘결정적 혼돈 이론’에서 비롯된 ‘나선형적 시간’이 발케 벤야민이 서술한 바로크적 비극성에서 드러난 시간개념과의 연관성을 서술한다. 논문 속에서 밝힌 이론적 근거들과 조형적 방식들은 작업 속에서 계속 논의되고 시도된다. 본인은 이러한 결과물이 관객과 조우하며 개개인의 인생을 하나의 커다란 역사 위에서 바라보기를 희망한다. 또한 우리 눈에 보이는 현실 세계 아래 잠복해 있는 또 다른 시공간을 통해 잊고 있던 삶의 내면의 이야기를 평면이라는 무대 위에 올려놓는다.;Modern society does not have clear causes and results and this problem has been excluded along with the disenchantmen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re is no exception in the problem of life and death. The basic proposition of life and death exists separated from daily life secluded in modern social system. I have been interested in the narration of life and death since my adolescent times when I realized that there was giant narration of life beneath the surface of daily life where trivial things happened. I review the temporality and finiteness of daily life and short temporality of each person. This study describes and conceptualizes the process of work set as “stage” in the correlation with “Baroque-style tragedy” presented in “The Source of German Tragedy Dramas” of Walter Benjamin with the figurative elements in the Baroque times. In the body of the study,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s of Baroque, Baroque-style tragedy, and the Baroque as an extended meaning in modern society. It also classifies and defines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Baroque based on the figurative opinions of Baroque times defined in 『Basic Concept of Fine Art History』of Heinrich Wölfflin. It also analyzes the theory of Benjamin who analyzed the tragedy of Baroque times and presents “open concept” of modern Baroque. After describing the theories that were basis of the work,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s of “directed light and color” and “properties” with the explanations on “screen as a stage”, the figurative property of my paintings. I also m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figurative form of Caravaggio who was a painter in Baroque times, and review the influence of figurative patterns of Baroque on modern arts through the series of work titled by Bill Viola, a modern artist. This study presents the situation where the work “properties” set by me are directed on the figurative form of a screen presented as a “stage”. It describes the accident scenes presented by “normal orbital area” and “event area” of daily life in a dialectic way, the image of roads which is the same as the stage in reality, a cave as a circular space that is beyond the temporality of reality, debris in accident scenes, and the role of the place. This study reviews the meaning of the “propert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oncepts and icons of Vanitas represented in the still-life paintings in Baroque times and distorted images of Francis Bacon. In the last chapter of the body text, this study explores “double space and temporality”, another characteristics of my work. It finds out the correlation with double space shown in my work wit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Neo Rauch. Also, it describes the connection between “spiral time” originated from “critical chaos theory” of IIya Prigogine with time concepts revealed in Baroque-style tragedy. The theoretical reasons and figurative methods identified in this study have been discussed while performing works. I hope these results can be encountered by the audiences to see the life of each individual from the perspective of giant history. In addition, through another time and space hidden the beneath of our real world that we can see in our eyes, I want to place the story of our internal life on the plane called st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