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김은선-
dc.creator김은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74-
dc.description.abstract다양한 기능과 형태요소가 공존하는 다원화(cultural pluralism) 시대의 박물관은 ‘상호 소통적인’ 행위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변화는 관람자들에게 다양한 관점으로 상대주의적 해석을 가능케 함으로써 여러 방법을 통해 관람자들의 요구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박물관이 관람객과의 소통을 지향하는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관람이라는 단일한 목적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적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복합적 공간에 대응하는 디자인표현 역시 변화를 요구 받고 있으며, 그 중 시각에 의한 연속적인 흐름이 공간표현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관람객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시각적 변화에 지각이나 경험의 연속적인 변화를 부여하는 표현으로서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장면과 경험의 지속을 의미한다. 박물관에서의 연속성에 관한 본 연구는 관람자들의 일련의 움직임을 통해 공간에 대한 자극으로 인하여 개인별로 발생하는 시각적 체험에 주목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원화 시대의 박물관 디자인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연속성에 의한 공간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시각적 연속성의 디자인표현으로서 박물관 전시공간 디자인 전개에 비중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자인 연구 대상으로는 한글박물관을 선정하였으며, 내-외부 공간구성 중심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다변화하는 사회에서 박물관은 관람이라는 단일 목적을 넘어 다양한 공간 기능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적 공간으로 변모하며, 그에 대응하는 공간표현으로 시각적 연속성의 디자인표현 방법이 사회적 요구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곧 사회적 요구와 공간 기능 프로그램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반영하며, 여러 기능의 프로그램은 다기능(多技能)을 갖는 공간을 말한다. 시각적 연속성의 디자인표현은 시각의 흐름으로 전체 공간에 적용되어 다른 기능의 요소를 하나로 묶어주며 공간 전체에 연속적 일관성을 부여하게 되어 복합적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다. 둘째, 투명한 마감재의 비 물질화 표현들이 내-외부 공간으로 표현되면서 공간의 행태는 해체된다. 이는 물리적으로 공간을 분리하지만 시각적으로는 통합되어 보이게 하여 내부는 외부로 외부는 내부로 확장된다. 또한 공간을 경량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투명성이 강조되어 관람객의 지각에 의해 내-외부의 환경요소까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공간의 표현 영역이 확장되어 다양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셋째, 공간 속의 내-외부의 연속적인 반복 구성은 볼륨간의 변화를 통해 하나의 흐름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연속적인 반복구성의 볼륨변화는 하나의 공간으로 전체적인 구성을 이룰 수 있으며, 통합적인 지각으로 관람객은 관찰 위치에 따른 것이 아닌 전시물의 상황에 근거해서 나타나는 공간을 지각한다. 이를 통해 연속공간을 체험하고 느낄 수 있으며 시각적 시퀀스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전시공간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 연속성의 표현을 구현해 보았다. 공간간의 연계성을 시각적으로 통합하여 관람객에게 박물관의 공간인지가 전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전시공간 디자인 계획에 있어 시각적 연속성에 대한 계획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시공간 디자인의 시각적 연속성 표현에 관한 다각적인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In the age of cultural pluralism various functions and shape factors coexist, a museum is changing into the 'communicative' action space. Such a change of the museum makes visitors interpret things relativistically from the diverse viewpoints so it's possible to collect their needs and opinions through many routes. Changing into a communicative space with visitors, Changing into a communication-oriented space with visitors, the museum is requiring for a complex spac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beyond the single purpose of viewing. A design expression to respond to the complex space is also demanding a change. And expecially, a continuous flow by the visual comes to be a tendency for spatial expression. It's an expression to give a continuous change of perception or experience to the visual change caused by motion of visitors, and means continuity of the various scenes and experiences by motion. This study on sequence at the museums has significance in that it took notice of the visual experience caused individually by a stimulus to the space through a series of visitors' motions. Therefore, this study inspect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spatial expression by sequence as the expressive tendency of the museum in the age of cultural pluralism. And it was done giving more weight on the design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s as the design expression of visual sequence. For design research, Hangeul Museum was selected. And design was developed centered on composition of interior-exterior spaces. Through such a process, a design study came to a conclusion like followings below. A complex space is required to perform the various space programs beyond the single purpose of viewing in the changing society. And, as the corresponding spatial expression, an expressive method by visual sequence can maximize social needs of the museum. It means a space having a close correlation with a multi-functional programs. It reflects a close correlation of the social demand and space-functional program, and multi-functional programs refer to the multi-functional space. In other words, sequence is applicable to the entire space by the visual flow, ties elements of other function together, gives continuous consistency to the entire space, so can accept combined programs. Second, non-materialized expression of the transparent finishing materials is represented into interior-exterior spaces, so a shape of the space is broken up. It separates the space physically but integrates it visually so the interior is expanded into the exterior and vice versa.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to make the space lightweight, makes visitors recognize even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interior-exterior by perception through emphasizing transparency, so spatial expression areas are extended and various spaces are created. Third, continuously repetitive composition of interior-exterior space was represented as a flow by the change among volumes. Such a volume change of continuously repetitive composition can achieve the whole composition with a space. And, visitors perceive a space occurred based on the situation of exhibitions through the integrated perception rather than on the position of viewing. So, through this, they can experience and feel a continuous space and change of the visual sequenc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xpressive method of sequence through the museum design. It aims at helping visitors with understanding exhibition through spacial cognition by visual integrating of connection among spaces. And then, in planning design of the exhibition spaces, visual sequence functions as the important element. So, multilateral design research is required on the expression of the visual sequence in the exhibition space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박물관의 연속성에 대한 일반적 고찰 4 A. 박물관의 연속성에 의한 공간특징 및 유형 4 1. 공간의 특징 6 2. 공간의 유형 8 B. 박물관의 내-외부 공간 연속성 12 1. 내-외부 공간의 개념 및 특징 12 2. 내-외부 공간의 연속성 16 Ⅲ. 박물관 전시공간의 디자인표현 및 사례 분석 19 A. 전시공간의 시각적 연속성 디자인표현 19 1. 공간기능의 프로그램 혼합(Program mix) 19 2. 공간형태의 상호관입(Interpenertation) 22 3. 공간경계의 모호함(Ambiguity of the Boundary) 25 B. 사례 분석 28 1. 사례 선정 및 분석 기준(틀) 제시 28 2. 사례 분석 29 3. 사례 종합 분석 39 Ⅳ. 한글박물관 디자인 계획안 42 A. 디자인 개요 42 1. 한글박물관 42 2. 디자인 목적 및 전개 방향 42 B. 대상 선정 및 분석 43 1. 대상지 설정의 사회적 맥락 43 2. 대상지 선정 조건 44 3. 대상지 현황 및 공간 분석 45 4. 대상자 설정 50 C. 공간디자인 계획의 전개 53 1. 디자인 프로그램 계획 53 2. 공간구성 계획 56 D. 디자인 최종안 65 1. 평면 및 동선도 65 2. 최종모형 67 3. 투시도 72 4. 종합 및 평가 76 Ⅴ. 결 론 78 참고문헌 80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83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박물관 전시공간의 시각적 연속성 표현방법에 의한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Design Study of Exhibition Spaces in Museums by Visual Sequence Expression-
dc.creator.othernameKim, Eun Sun-
dc.format.page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