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기영-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reat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1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177-
dc.description.abstract건축 공간에서 비 물질적 연출 요소로서 빛은 공간을 구성하는 형태나 재료등과 같은 물질적 요소들보다 공간을 인지하고 지각하는데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빛은 건축의 역사가 발전되면서부터 수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그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 되어왔다. 빛은 한 공간의 역할과 성격을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전체 공간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그 공간을 경험하는 사람을 외부 세계로부터 자연스럽게 유입시켜주는 감성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 빛이 공간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비 물질적이고 심리적 매개체라면, 건축에 있어서 전이 공간은 중계 영역의 공간으로, 공간과 공간, 사람과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물질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이 공간은 건축에 있어서 미학적으로 포인트가 되는 공간으로,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들어섰을 때 그 건축물의 첫 인상을 주는 장소이며, 건축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결정짓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이 공간은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를, 그리고 내부의 한 공간과 다른 공간을 연결하는 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이 공간은 우리가 쉽게 다가가기 힘든 문화 예술 공간에 있어서 그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문화 예술 공간에 있어서의 대표적 전이 공간은 입구 홀, 로비 혹은 각 공연장이나 전시장으로 가는 연결 통로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공간을 물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할뿐 아니라, 그 공간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행동과 감성, 인지와 지각에도 영향을 주는 곳이므로 그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들은 그동안 물리적 통로의 역할만 충실했을 뿐, 감성적 매개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맞는 연출 요소 도입은 결여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감각 중 심리의 영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감성적 공간 연출 요소의 도입을 통해 실내 조명 환경을 개선함으로서, 문화 예술 공간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전이 공간을 통해 문화 공간으로 들어갈 때,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쉽게 접근하고, 감성적 경험도 충분히 만족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범위와 방법을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일반적인 건축 공간에서 전이 공간이 가지는 개념과 역할 및 공간 구성 요소를 알아본다. 또한 건축 공간의 유형별 전이 공간의 특징을 사례 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공간에서의 빛의 역할을 인공광인 조명의 역할로 한정지어, 조명의 연출 방식을 기능적인 측면과 감성적 측면으로 분류해 알아본다. 그리고 연출 방식에 따른 문화 예술 공간의 사례 조사를 통해 현 조명 연출 방식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문화 예술 공간에서 전이 공간의 조명 연출의 중요성을 밝힌다. 제 4장에서는 예술의 전당 오페라 하우스의 전이 공간 역할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명 연출 방법을 제안한다. 대상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연구 과정을 통해 설정된 목표와 대상지 분석을 통해 알맞은 조명 연출 방법을 제시하고, 공간에 적용하여 최종 조명 연출 디자인을 제안한다. 제 5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명료하게 정리하고, 본 연구가 가진 기대 효과 및 연구의 의의를 밝히며 연구의 결과를 마무리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이 공간의 획일적인 공간 연출 방식을 지적하고, 문화 예술 공간에서의 전이 공간이 갖는 개념적, 상징적 역할과 그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다. 둘째, 조명은 자연광의 영향이 한정적인 실내 공간에서 단순히 밝고 어두움을 결정짓는 역할에서 벗어나 공간의 표정을 바꾸고, 공간과 공간을 연결시켜 주며, 사용자의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공간을 인지하고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쳐 공간 연출의 비 물질적 구성요소로서 심리적, 감성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전이 공간의 구성 요소로서 조명 연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알맞은 조명 연출이 전이 공간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 시키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화 예술 공간에서의 전이 공간은 창조적 조명 연출 도입을 통해 또 하나의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간에 활력을 불러일으킴으로서 이용자와의 소통의 공간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공간 내에서 창조적인 조명의 연출은 더 많고 다양한 조명 기법을 사용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공간의 역할과 특성에 알맞는 조명 연출 방식을 적용함으로서 각 공간의 정체성과 개성을 살리고, 정지된 공간이 아닌 사용자와의 소통이 있는 살아있는 공간을 만든다. 또한, 독창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다가가기 힘든 문화 공간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여, 이용자에게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적 요소로 활용 되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가 문화 예술 공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이 공간을 보다 효율적이고 창조적인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재 창출하기위해 알맞은 조명 연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명 연출 방식을 도입하고 활용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light in an architectural space is more important for people to perceive that space than any other materials therein. In an architectural field, the light which limits only artificial lighting has been developed as a key factor to explain a specific architectural space, and many architects have dealt with the importance of it. The light in an architectural space is able to decide the role of the space as well as to increase the value of it. Also, it can be a mediator to connect the space with people who experienced it. If the light is a non-material and psychological mediator to connect the space with people therein, the transitional space in an architectural space is a material mediator to connect one space with another space and the space with people therein. The transitional space is a space to make first impression for the architecture when people enter it, a communication area to determine the identity and significance of it The role of the transitional space as a mediator can be more important in culture and art space to connect people with cultural contents. Hall, lobby, and pathways to concert hall or exhibition room can be an example for the transitional spaces in culture and art space. But, until now, those spaces have been used with no specific meanings. 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role of the transitional space as a mediator in culture and art space. From this persp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play the transitional space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As discussed above, in culture and art space, the transitional space could not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people and the architecture. So, especially culture and art space will be focused.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the backgrounds and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stated. And then,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 process of the research are outlined.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transitional space in an architectural space are explored based on some case study. And some displaying methods of the light used in the transitional space are analyzed. In the third section, the cases about the architects and artists who represent the light as an architectural material are investigated, and the way how they apply the light to the architectural space is examin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ligh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spaces is researched. In the fourth section, the problem of the current transitional spaces in culture and art space is investigated. And the method for organizing the transitional space by the light based o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hird section is presented. Also the final 3-D modeling design based on above results is presented. In the fifth section, the key points found in the previous sections is organized and summarized. Finally, the necessities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the transitional space is an essential place to connect people with spaces, and one space with another spaces. So, this transitional space is required to give a connectivity to them. For this purpose, the transitional space should not be meaningless, rather it should be functional and creative than any other places, especially in culture and art space. The light, one significant component of the transitional space is symbolic, mediative, regional and continuous among the spaces. Based on above characteristics, the light can improve functionality and creativity of the transitional space. Also, by various displaying methods of the light, it can give a sensitive and empirical satisfaction to the people in the space and emphasize the role of the transitional space as a mediator.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 significant meanings of the transitional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건축 공간에서의 전이 공간 5 A. 전이 공간 의미 5 1. 전이 공간의 개념 5 2. 전이 공간의 구성 요소 6 B. 전이 공간의 유형과 특징 8 1. 상업시설의 전이 공간 8 2. 업무시설의 전이 공간 9 3. 문화시설의 전이 공간 11 4. 주거시설의 전이 공간 12 Ⅲ. 문화 예술 공간의 조명 연출 17 A. 기능적 연출 17 1. 기능적 조명 연출 및 방법 17 2. 기능적 조명 연출 사례 21 B. 감성적 연출 24 1. 감성적 연출 컨셉 24 2. 감성적 조명 연출 사례 31 Ⅳ. 예술의 전당 전이 공간의 조명 연출 35 A. 디자인 개요 및 목표 35 B. 디자인 프로세스 36 1. 대상지 분석 36 2. 대상 공간 구성 38 3. 대상 공간 조명 분석 45 4. 조명 연출 컨셉 및 계획 54 5. 조명 연출 제안 59 6. 조도 시뮬레이션 62 7. 최종 디자인-조명 연출안 제시 64 8. 디자인 종합 및 평가 74 Ⅴ. 결론 77 참고문헌 80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783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예술의 전당 전이 공간을 위한 조명 환경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ighting design in the transitional space of the Seoul Arts center-
dc.creator.othernameKim, Su Hyeon-
dc.format.pagex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