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박희진-
dc.creator박희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64-
dc.description.abstract현재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웰빙’ 이라는 커다란 트렌드를 낳았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삶이 안정될수록 건강과 행복을 같이 누리고자 하는 메가트렌드이다. 이로 인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친환경 소재로 된 제품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무엇보다 우리 건강과 직결된 식품산업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할 수 있다. 건강식 수요 및 관련 시장도 급속히 확대되고 있고 세계 유기농 식품 시장규모는 2004-2008년 기간 동안 연평균 15.8% 성장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미국산 소고기 광우병, 조류 인플루엔자, 중국의 멜라민 분유 파문 등 우리 먹거리가 위험을 받게 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관심이 식품의 안정성으로 쏠리고 있다. 식품의 안정성문제와 삶의 질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식품에서의 웰빙 트렌드는 오래 지속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 전통 음식은 세계적 웰빙 트렌드에 맞는 식품이라 할 수 있다. 자연주의 식재료와 삶고, 굽는 조리법을 하고 몸에 좋은 발효식품이 많아 안전한 식품이며 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식품산업은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 전통 음식에 대한 과학적 연구, 정부차산지원의 생산, 소비확대 등이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2009년 5월에는 한식 세계화 추진단이 출범하여, 표준 조리법 개발, 우수 한식당 인증제, 전문조리사 육성 등 한식 세계화 기반 구축과 함께 홍보를 추진하여 한식의 세계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한식은 현재 세계적으로 뛰어난 맛과 함께 대표적인 건강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 전통 후식은 수정과나 식혜 등의 음료를 제외하고는 국내 및 외국에서 디저트개념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으며 홍보가 매우 부족하다. 디저트가 식사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는 서양에서 한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디저트음식 또한 함께 홍보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지만 한식에서 디저트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디저트는 대부분 서양의 디저트가 차지하고 있으며 외식업의 발달과 더불어 서양의 디저트 매장은 갈수록 그 종류와 수가 증가하고 브랜드화 되고 있다. 국내 기업에서 떡· 한과 프렌차이즈 매장을 오픈하고 서양의 디저트 매장들과 경쟁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 전통 후식을 디저트 상품으로 대중화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한과브랜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도 통할 수 있는 한과의 디저트 상품화를 위한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략을 세워 디자인개발을 연구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저트의 정의를 알아보고 디저트에 대한 소비자 외식경향 설문분석 자료를 통해 현재 디저트 시장에서의 한과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수한 상품 가치에 비해 낮은 인지도와 선호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과의 특성에 관한 조사를 통해 서양 디저트들에 뒤쳐지지 않는 한과의 상품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외 디저트 브랜드 선진사례와 한국 전통 후식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한국 전통 후식 브랜드 상품 디자인의 기준은 제품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기능성이었으며 국외 디저트 브랜드는 매력적이고 개인의 감성에 만족을 줄 수 있는 느낌 위주의 디자인이었다. 이는 한과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특별한 감성을 주지 못하고 이미지와 컨셉이 모호하다 할 수 있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한과의 소비자 이용 실태에 관한 설문분석 자료를 통해 소비자가 한과에 대해 느끼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한과의 높은 가격과 포장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고 홍보부족으로 인해 이용횟수가 감소한다 하였다. 디저트상품으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높은 가격과 전통성에 치우쳐 있는 포장디자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담양한과의 ‘아루화’ 브랜드를 보완할 수 있는 세부라인 중 ‘미루’ 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개발을 통해 한과의 현대적 디저트 상품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한과는 우리의 문화상품 중 하나이므로 우리의 문화감성인 ‘정’을 슬로건으로 표현하였고 문화요소인 ‘조각보’ 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현대적으로 개발하였다.;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living standard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as brought forth a massive trend called ‘well being.’ This is a megatrend that continues on around the world, and it is about being happy and enjoying health as lives are stabilized. Due to the well being trend, products made of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and sol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is is most visible in the food industr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our health. Demand for healthy diet and the number of related markets for healthy diet is rapidly increasing. During the period of 2004 to 2008, worldwide organic food market size increased by 15.8% per year. Also, as recent events posed hazard to our foods, including the mad cow disease allegedly caused by consumption of U.S beef, avian influenza, and Chinese powdered milk which turned out to be containing melanin, consumer’s attention towards safety of foods is escalat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safety issue of foods is ever more highlighted and the quality of life continues to soar, it would be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well being trend regarding foods will persist for a long time. In this sense, Korean traditional food goes well with the tide of the global well being trend. This is because Korean traditional food, which involves natural food ingredients, boiling, roasting, and fermented foods that are good for one’s health, is safe and healthy. In order to grow into a globally competitive industry, the domestic food industry has promoted active discussion on scientific study, government support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expans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since the mid 1990s. In May 2009, the Korean Cuisine Globalization Agency was established. Through development of standard recipes, certification of outstanding Korean cuisine restaurants, and cultivation of professional cooks, the agency is successfully promoting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while consolidating its footing as well. These efforts have led to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Korean cuisine as tasty, as well as healthy foods. Nevertheless, Korean traditional dessert, except for a few traditional drinks like persimmon punch and sweet rice drink, fails to be perceived as desser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promotion for it is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for Westerners, dessert is thought of as a major part of a meal, Korean dessert should also be studied and promoted as part of Korean cuisine promotion. However, the matter of the fact is, unlike the Western culture dessert plays only a minor role in Korean meals. Actually in Korea, dessert is mostly western. Along with the expansion of eat eries, Western dessert market is increasing in its scale and variety and it is increasingly undergoing branding. Eventhough domestic businesses are competing with Western dessert industries by opening rice cake and traditional snack franchise stores, there are still yet many things we lack to popularize traditional dessert.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analyzed the issues of current traditional snack brands and devised brand identity strategies which would work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at will enabl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snacks as dessert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I have defined dessert and then proceeded to search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snacks in the current dessert market through survey analysis data regarding the tendencies of Korean customers’ dessert consumption.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lear that Korean snacks had low preference and awareness considering its high product quality. In addition, I intended to prove the product value of Korean snacks, which do not fall behind compared to Western dessert, by researching its characteristics. Second,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foreign dessert brands and Korean traditional dessert brand identity and drew the differences. Korean traditional dessert brand design standards were focused on demonstrating the excellence of product quality while foreign dessert brands were focused on appealing to people’s senses, such as attractiveness and sensitivity. This shows that Korean snack brands fail to give consumers a particular sensation and why its image and concept are considered ambiguous. Third, through survey analysis data on customer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I could derive the problems that consumers have with it. Consumers reported that their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decreased due to its high price, low design quality, and lack of promotion. In order to let consumers enjoy Korean snacks, improving packaging designs which are currently focused too much on traditionalistic and lowering the expensive price level is necessary. Lastly, in this paper I chose design development of ‘Miru’ line’s brand identity, one of several specific lines that could improve Dam-yang traditional snack’s ‘Aruhwa’ brand, in order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Korean traditional snack as contemporary dessert product. Since Korean traditional snack is our cultural product, I portrayed our cultural sentiment ‘Korean Affection’ as the slogan and utilized our cultural element ‘Patchwork Cloth’ as design motif, designed with a modern tas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1 B. 연구의 목적 2 C.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디저트에 관한 고찰 5 1. 디저트의 정의 5 2. 국내 디저트 시장의 변화 6 3. 디저트 외식 성향 9 B. 전통 후식 음식으로의 한과 11 1. 한과의 유래 11 2. 한과의 종류 12 3. 한과의 특성 13 C. 디저트 브랜드 사례조사 및 분석 18 1. 국외 선진 디저트 브랜드 사례조사 18 1.1 일본 화과자 19 1.2 프랑스 마카롱 25 1.3 영국 컵케이크 40 1.4 마카오 에그타르트 44 2. 국내 디저트 브랜드 사례조사 47 D. 국외 및 국내 디저트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56 1. 경쟁 식품군 브랜드 이미지 조사 56 2. 국외 및 국내 디저트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60 Ⅳ. 담양한과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64 A. 한과 소비자 이용 실태 분석 64 B. 담양한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66 1. B.I 로고 디자인 67 2. 담양한과 홈페이지 68 3. 제품 및 패키지 디자인 68 C. ‘미루’ 브랜드 아이덴티티 컨셉 71 1. 브랜드 컨셉 키워드 72 2. Design Motive 72 D. ‘미루’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1. 로고디자인 74 2. 슬로건 77 3. 브랜드 아이덴티티 그래픽 80 3.1. 1안 82 3.2. 2안 89 3.3. 3안 94 Ⅴ. 결론 99 참고문헌 100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082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한과의 디저트 상품화를 위한 브랜드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담양한과의 ‘미루’ 라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Brand identity design development study on dessert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snacks : Focusing on Dam-yang traditional snack's ‘Miru’ line-
dc.creator.othernamePark, Hui Chin-
dc.format.pagex,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