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대형할인점 식품군 PB(Private Brand) 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Title
대형할인점 식품군 PB(Private Brand) 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Packaging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Brand Image of Discount Stores' Food Group PB(PrivateBrand) Products : Focusing on Lotte Mart's Food Group PB Products
Authors
김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인성
Abstract
급속하게 성장한 국내의 대형할인점은 최근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 차별화전략의 하나로 저마다 소비자들의 니즈(Needs)에 맞는 PB(Private Brand) 상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의 경우 PB의 비중이 20%를 넘어서면서 경쟁업체들과의 PB 수와 카테고리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PB는 효율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 가치의 상승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효자 상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므로 PB의 패키지디자인은 단순히 상품의 겉포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최종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키지 관련 자료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상징화 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즉각적인 브랜드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명시성, 상품의 내용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신뢰성, 상품마다 통일성을 갖추고 타 브랜드와 구별되는 요소의 차별성, 마지막으로 기업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는 브랜드 정체성 등 네 가지의 중요한 요소를 추출하고, 이 네 가지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영국 유통업체 식품군 PB의 패키지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 대형할인점 식품군 PB 상품을 중심으로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였고, 실증연구를 위해 롯데마트 식품군 PB 상품을 패키지 구성요소(로고타입, 색상,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를 하기 위한 데이터 마련을 위해 대형할인점의 소비자 구매패턴 중에서 PB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과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PB 상품의 구매에 있어서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알아보고자 대형할인점 이용 고객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내용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할인점에서 식품군 상품을 구매 시, 소비자는 가격이나 맛과 같은 중요 요소 이외에 제조사와 브랜드, 즉 둘을 통합한 전체적인 브랜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둘째, 소비자는 일반상품에 대해 구매 결정 후 마음을 바꾸어 PB 상품을 구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매 변심의 가장 결정적 이유는 가격과 패키지디자인이다. 셋째, PB 상품의 인지도와 실 구매의 빈도는 결과적으로 대형할인점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대형할인점의 PB 상품 매출에는 저가격이라는 경쟁력 이외에도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디자인적 측면에서 국내 대형할인점의 PB 상품은 영국 PB 사례에 비해 그 브랜드만의 독창성이 현저히 낮고, 여전히 NB(National Brand)를 모방하거나 이마트 식 가격에 따른 세분화와 브랜드 정체성이 결여된 디자인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국내에서도 PB를 단순히 가격 구분식의 시각적 접근이 아닌 기업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수단의 하나로 보고 PB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때문에 기업의 속성에 맞는 레이아웃, 색상,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신뢰를 바탕으로 브랜드 정체성이 확고한 시각적 소구를 해야 할 때이다. 소비자는 제품의 디자인 수준이 낮으면 제품의 품질이 낮은 것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점은 NB에 대한 PB의 경쟁력을 낮추게 된다.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투자는 전반적인 PB의 품질 인식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품질을 인정받고 자 하는 현재의 PB와 지향하는 바가 일치한다. 특히 단품을 공급하는 NB와 다르게 PB는 제품 간의 통일성을 주어 디자인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에 대한 투자로 보다 큰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대형할인점에서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의 필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결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가치 확립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These days, the rapidly developing domestic large-scale discount stores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PB(Private Brand) to meet the consumers' needs with differentiation strategy, in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of the market. In the case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s the percentage of private brands exceeding 20%, they are extending the number of private brands and the category domain compared with their competing companies. Also PB has not only both efficiency and business value but also it has come into the spotlight as a contributing product, of which we can expect an increasing effect in the brand value. Thus, packaging design of private brands is not limited to just simply the outer covering but it i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s, and it acts as an essential factor that affects strengthening of the final brand image. In this research I have extracted 4 main important factors, such as clearness, which helps consumers to have an instant perception on the brand by symbolizing the data related to the package into visual image. The second factor is credibility, which is about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f the product contents. Thirdly, the products should have distinct factors that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 brands, while having unity among the products. Lastly, PB must have brand identity that consists of graphic factors related to the company. Through case study analysis of British distribution companies' food group PB package designs, I have indirectly verified that these 4 factors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strategic mechanism in making brand image improvement. In addition, I have understood the current status of package design centered on domestic large-scale discount stores' food group PB products. For proof research, I have analyzed the food group PB products of the Lotte Mart based on packaging components (logo type, color, layout, illustration). Hereupon, in order to create a data base for a detailed research, I have conducted a survey towards the customers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in order to inquire the relevance between the percentage of PB products in the consumers' purchasing pattern and the level of consumers' awareness of the PB products; and to inquire the importance of packaging design in purchasing PB products. The following is the analyzed contents of the research. To start with, when consumers purchase food group products in large-scale discount stores, apart from the essential factors such as the price or taste,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the name value of the manufacturing company and brand name, in other words, by the brand, which is the two factors combined. Secondly, the cases of consumers changing their mind to purchase PB products after having made the decision to purchase a normal product is increasing. The decisive causes for this change of mind is the price factor and design of the package. Thirdly,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B product and the frequency of the actual purchase consequently is very important in enhancing the brand image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Through this research, I've approached a new understanding that the role of package design is crucial in PB product sales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part from the role of the competitiveness created from low price. However, in the aspect of designing, the PB products of domestic large-scale discount stores lack creativity compared to the cases of the British PB products, and it appears to be that domestic companies are merely imitating the NB designs and E-mart's subdivisions, which are based on price, consequently creating designs lacking brand identity. Now, there has to be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ior visual approach of simply classifying products based on price, by accepting PB as a means for improvement of the company image, and the importance of PB designs should be emphasized. Thus, now the companies must visually appeal with a fixed brand identity based on credibility by applying layout, color and image appropriate to the company's properties.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consumers will perceive a product's quality to be low if the quality of the product design is low. This perception in turn can reduce the competitiveness of PB against NB. Investment on packaging design can improve the overall perception of PB quality and this coincides with the current aims of PB to increase recognition of their product quality. In particular, unlike NB(National Brand) that supplies single type products, there can be a greater positive effect for PB products when there is more investment in the designs, as companies can give unity among their products and strengthen their brand identity. In this,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come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package designs in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s a result, this will serve as a momentum to improve and establish the value of brand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