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시·청각 자극제시와 반응 손의 선택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인식능력 차이

Title
시·청각 자극제시와 반응 손의 선택에 따른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인식능력 차이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nsory Modality and Selected hands on temporal timing among Mentally Retard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Authors
황연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유무와 감각양식, 반응 손의 선택이 시간인식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도·중등도 정신지체학생 18명과 일반 학생 18명씩 총 36명을 대상으로 시각과 청각 자극을 제공하고 그 자극을 기억한 후 오른손, 왼손, 양손 손가락으로 버튼을 눌러 상대적·절대적 타이밍 오차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무, 감각양식, 반응 손의 선택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나타났다. 정신지체 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시각 보다 청각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적게 나타났다. 장애유무와 감각양식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나타났는데 정신지체 학생이 일반학생 보다 두 자극에 대한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컸으며, 두 집단은 시각 보다 청각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더 적게 나타났다. 장애유무, 감각양식, 반응 손의 선택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나타났는데 일반학생은 시각보다 청각자극을 제시하며 오른손, 왼손, 양손을 사용하였을 때 상대적 타이밍 오차가 더 적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무, 감각양식, 반응 손의 선택에 따라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나타났다. 정신지체 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반응 손의 선택에 따라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나타났는데 한손보다 양손을 사용하였을 때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무와 감각양식에 따라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나타났는데 정신지체 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두 자극에 대한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컸으며, 정신지체 학생은 시각보다 청각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더 적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was to study effects of disabled state, sensory modality, and selected hands on temporal timing, and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To do it, this thesis put the visual and auditory stimuli test to total 36 students of slight and moderate and severe mentally retard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rmal middle school students amounting to 18, respectively, in order to study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deviation based on the button that those students pressed with their right, left and the both fingers tracing their memory on such stimuli that they experienced. This thesis analyzed it with the too of SPSS 17.0 program.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outcome showed that disabled state had influences on temporal timing. Most mentally retarded students made a slow response to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compared with normal students. As to effects of sensory modality on temporal timing, auditory stimuli make a fast response to relative timing, compared with visual stimuli. There was difference in temporal timing according to selected hands. Both hands make a slow response to absolute timing, compared with right and left hands. Second, correlations with disabled state and sensory modality show that compared with normal students, mentally retarded students made a slow response to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in visual and auditory aspects. Correlations with disabled state, sensory modality and selected hands indicated that compared with normal students, mentally retarded students made a slow response to relative timing. In conclusion,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 complex of factors, such as disabled state, sensory modality and movement, have effects on temporal timing. Auditory stimuli are more effective in temporal tim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