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강지영-
dc.creator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2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적극적인 의미의 매체교육, 즉 ‘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아닌, ‘매체에 관한 교육’의 관점에서 시사만화 텍스트를 교수·학습할 때 포함되어야 할 내용 영역을 타당하게 설정하고,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시사만화는 글과 그림의 조합이라는 흥미로운 구조로 인해 시각적 이미지에 익숙한 현재의 학습자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매체적 특성을 지녔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제한된 공간 안에 압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문학작품 못지않은 다양한 표현법을 사용한다. 또한 다양한 우리 사회의 현안을 그때그때 다룸으로써 시의성과 현실반영성을 가지면서,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에 그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사회적 통념이나 가치관, 사회·문화적 맥락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맥락’ 교육에도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시사만화가 지니는 다양한 매체교육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시사만화에 대한 여러 가지 편견 때문에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시사만화의 내용적인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가 시사만화 텍스트의 ‘수용자’이자 ‘생산자’의 역할을 경험함으로써 매체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문식력을 신장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더불어 시사만화의 이해와 표현 활동을 통해 텍스트 속에 드러나는 국어문화를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켜나감으로써, 자신의 언어활동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성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시사만화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인 배경과 매체교육 텍스트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 2007년 개정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시사만화와 관련된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교육과정 상에서는 만화의 개념과 매체적 특성, 표현 방식 등 기본적인 지식과 추론적 이해의 내용을 9학년에, 개별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를 8학년에 안배하고 있어 위계상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교과서에서도 시사만화 텍스트 수용의 양적·질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읽기보다 추론적 읽기 영역에 학습활동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표현 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문제시되는 것은 시사만화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 과정에 끊임없이 관여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는 Ⅲ장에서 적극적인 매체교육의 관점에서 시사만화 텍스트를 접근할 때 다루어져야 하는 내용 영역을 시사만화의 기호체계, 시사만화를 통한 매체언어 활동, 시사만화와 국어 문화로 나누어 논의하고, Ⅳ장에서 이를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 적용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 개발한 시사만화 텍스트의 교수·학습 모형은 교사의 시범과 학습자의 개별 활동, 배움 공동체로서의 모둠 활동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서 시사만화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과 창조적 생산 활동이 상보적인 학습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그 과정에 끊임없이 관여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이는 시사만화 텍스트를 둘러싼 ‘맥락’, 특히 ‘사회·문화적 맥락’을 매체 텍스트의 교수·학습 장면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구체화시킨 것으로, 시사만화뿐만 아니라 신문기사나 광고,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ropriately set up a content domain for an active meaning of media education and develop its teaching-learning model - that is not in the perspective of 'an education utilized by media' but rather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oncerning the media' - which should be included when either teach or learn the text of editorial cartoons. Editorial cartoons have its own type of media characteristics, which consists of both text and image. Thus, editorial cartoons can easily become close with learners of whom is familiar with visual image because of this interesting and unique structure. Furthermore, editorial cartoons use various styles of expressions in order to deliver ideas effectively in the limited space. They can also be properly applied to the element of 'Context' in education, which was emphasiz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because it deals with most current societal events; and after all the production of its text by itself possesses our social norms and values, and this reflects both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 Although editorial cartoons have many advantages for media education, editorial cartoons were not actively studied by scholars due to many societal bias toward cartoons. Also, the former researches merely have focused on how to criticize readings in the context of its story and content.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learners' experience as 'an adopter' and 'a producer' of editorial cartoons through which they can develop and improve critical literacy. I will also make several measures to the learners so that they can creatively understand Korean language cultures and improve the language skills through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editorial cartoons and present their ideas of the cartoons. In Chapter II, I will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understand the text of editorial cartoons and importance of the text as media education. I also critically observed the relevant contents of editorial cartoons in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 Through my research, I found out that students learned the cartoon's concept, characteristic and expression as media when they were 9th graders, and students learned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individual text in 8th grader, which seems to show a problem of learning hierarchy. Even though the quality and the number of editorial cartoons has been expanded in the textbook, the learning activities still highly rely on inferential reading rather than critical reading. The expressive activities have not been working well. But the foremost problem is lack of consideration in terms of both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 in editorial cartoons. Accordingly, in Chapter 3, I will discuss the symbol system of editorial cartoons, activit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rough editorial cartoons in terms of Korean culture. This discussion will be taken when approaching editorial cartoons within active media education's perspectives. In Chapter 4, I suggested a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etting of actual learning and teaching. The model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is structured in a way it can generate learning effects because teacher's demonstration and student's individual activity and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are all aptly harmonized in a model. In addition, the model is developed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class and discuss about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in editorial cartoons with teachers. My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ward not only works of editorial cartoons but towards diverse educational media including newspaper advertisement, television commercial, soap opera, movie, etc. because it gives a concrete form of how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 of media text can be applied to the 'context' of editorial carton text, especially its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3 Ⅱ. 시사만화의 이론적 배경과 매체교육 텍스트로서의 의의 7 A. 시사만화의 개념과 유형 7 1. 시사만화의 개념과 발전 과정 7 2. 시사만화의 유형 9 B. 시사만화의 특성과 매체교육 텍스트로서의 의의 13 1. 매체적 특성과 의의 13 2. 내용적 특성과 의의 17 3. 표현적 특성과 의의 19 C. 국어과 교육과정의 시사만화 텍스트 수용 양상 20 1.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시사만화 텍스트 수용 양상 20 2. 2007년 개정 국어과 교과서의 시사만화 텍스트 수용 양상 27 Ⅲ. 시사만화 텍스트의 매체교육적 수용 34 A. 시사만화의 기호 체계 35 1. 도상적 기호 35 2. 언어적 기호 38 3. 의미 단위 (칸) 39 B. 시사만화를 통한 매체언어 활동 41 1. 시사만화 이해하기 42 2. 시사만화로 표현하기 51 3. 시사만화와 사회문화적 맥락 60 C. 시사만화와 국어문화 64 1. 내용적 측면에 드러나는 국어문화 64 2. 표현적 측면에 드러나는 국어문화 68 Ⅳ. 시사만화 텍스트 매체 교육의 실제 73 A. 시사만화 텍스트의 교수·학습 원리 73 B. 시사만화 텍스트의 교수·학습 모형 76 C. 시사만화 텍스트 교수·학습의 실제 79 1. 교수·학습 목표 및 주요 활동 79 2. 시사만화의 주제 및 자료 선정 80 3. 시사만화의 교수·학습 과정 82 Ⅴ. 결론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085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시사만화 텍스트의 매체교육적 수용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aching Editorial Cartoon Texts for an Active meaning of Media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ang, Ji Young-
dc.format.pagex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