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박혜정-
dc.creator박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3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for surveying and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related to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iagno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5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or bipolar disorder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under outpatient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est sheets. That i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and were evaluated through a direct interview by the researcher. Analyzed variabl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re social support, depression, insight and the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which were measured with Korean‐ver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WHOQOL-BREF), Social Support Scale (SSS), Korean‐ver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and simplified Scale to Assessment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Korea (SUMD-K).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5 to May 10, 2010. From the collected data,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obtained using SPSS WIN 12.0 and they were analyzed through t‐test, chi‐ quar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Quality of life was perceived higher by schizophrenia patients than by bipolar disorder patients(t=2.770, p=.006). 2. When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depression, insight and the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were compared betwee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insight level was higher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than in schizophrenia ones(t=3.611, p=.000), and the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was higher in schizophrenia patients than in bipolar disorder ones(t=.6.524, p=.000). 3. As to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quality of life betwee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quality of life in the physical domain(t=2.268, p=.025) and that in the mental domain(t=2.538, p=.012) were higher in schizophrenia patients than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quality of life in the social domain(t=2.118, p=.036) and that in the environmental domain(t=2.118, p=.009) were higher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than in schizophrenia patients. 4.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schizophrenia patients’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depression, insight, and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the higher social support was the higher quality of life was (r=.603, p=.000) and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was the lower quality of life was(r=.663, p=.000),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quality of life and insight or depression. In addition, the higher social support was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was (r=.324, p=.006), and the higher the insight score was the more severe clinical symptoms were(r=.496, p=.000). 5.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bipolar disorder patients’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depression, insight, and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the higher social support was the higher quality of life was(r=.603, p=.000). In addition, quality of life was lower when the depression level was high(r=.749, p=.000), when the insight level was low(r=.315, p=.007), and when clinical symptoms were severe (r=.481, p=.000). Moreover, social support was lower when the depression level was high(r=.537, p=.000) and when clinical symptoms were severe(r=.400, p=.000), and depression and the severity of clinical sympto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r=.457, p=.00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ventions f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nection to quality of life in bo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Particularly in that the two patient groups showed a difference in their quality of life, we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bipolar disorder patients have an established insight with improvement in their symptoms, and the insight increases their depression and, consequently, impairs their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higher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본 연구는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진단별 대상자군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중재 또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대학병원에서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로 진단받고 외래치료를 유지하고 있는 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와 평가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설문참여와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삶의 질의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우울, 병식 및 증상의 심각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와 사회적 지지척도, 한국판 Beck 우울척도, 임상총괄평가-심각도(CGI-S)와 한국판 병식평가척도(SUMD-K) 단축형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4월 5일부터 5월 1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chi-squar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삶의 질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양극성장애 환자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770, p=.006). 2.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 우울, 병식과 임상증상의 심각도를 비교해 본 결과, 병식수준은 양극성장애 환자가 정신분열병 환자보다 높았고(t=-3.611, p=.000), 임상증상의 심각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극성장애 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6.524, p=.000 ). 3. 정신분열병 환자와 양극성장애 환자의 하부 영역별 삶의 질 수준의 차이에서는 신체적(t=-2.268, p=.025), 심리적 영역(t=-2.538, p=.012)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가 양극성장애 환자보다 높았고 사회적(t=-2.118, p=.036), 환경적 영역(t=-2.118, p=.009)에서는 양극성장애 환자가 정신분열병 환자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 우울, 병식, 임상증상의 심각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으며(r=.603, p=.000)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으나(r=-.663, p=.000), 삶의 질과 병식, 우울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r=-.324, p=.006), 병식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증상의 심각도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r=.496, p=.000). 5. 양극성장애 환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 우울, 병식, 임상증상의 심각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r=.603, p=.000)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우울정도(r=-.749, p=.000)가 심하고 병식수준(r=-.315, p=.007)이 낮으며 임상증상(r=-.481, p=.000)이 심할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정도(r=-.537, p=.000)와 임상증상의 심각도(r=-.400, p=.000)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았고, 우울과 임상증상의 심각도는 정적인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r=.457, p=.000).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삶의 질과 관련하여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공통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대한 중재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두 환자 집단의 삶의 질 수준이 차이가 나타났던 점에서, 양극성장애 환자는 증상의 호전과 더불어 병식이 확립되면서 우울감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느끼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삶의 질 관련 중재 프로그램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들의 궁극적인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 고찰 8 A. 삶의 질의 개념 8 B. 건강영역에서의 삶의 질 9 C.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 12 D. 정신건강영역에서의 삶의 질 14 Ⅲ. 연구방법 26 A. 연구 설계 26 B. 연구 대상 26 C. 연구 도구 27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31 E. 자료 분석 방법 31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32 G. 연구의 제한점 32 Ⅳ. 연구 결과 33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3 B. 삶의 질 수준 파악 35 C. 삶의 질 관련 요인 37 D.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 우울, 병식, 임상적 심각도와의 관계 39 Ⅴ. 논의 43 Ⅵ. 결론 및 제언 51 A. 결론 51 B.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1. 설문지 70 부록2. 삶의 질 척도의 하부 영역별 분류 8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13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신분열병과 양극성장애 환자의 삶의 질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dc.creator.othernamePark, Hye Jeong-
dc.format.pagex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