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교육청 중심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기능에 대한 참여교원의 인식

Title
교육청 중심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기능에 대한 참여교원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ditions and Mentoring Functions of the School District Oriented Mentoring Program in Seoul
Authors
김하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멘토링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원들이 멘토링제의 운영현황과 기능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교육청의 멘토링 프로그램이 수요자의 입장을 고려한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청 중심 멘토링제의 운영현황에 대한 참여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육청 중심 멘토링제의 멘토링 기능에 대한 참여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멘토링제에 참여 경험이 있는 교원 137명이다. 연구 도구는 멘토용 질문지와 멘티용 질문지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운영현황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의 내용은 멘토링제에 관련된 관련연구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멘토링제 기본계획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멘토링 기능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Noe(1988)의 멘토링 기능 측정 도구(Mentoring functions scale)를 유치원 상황에 적합하도록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배경과 멘토링제의 운영현황에 관한 인식에 대한 응답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멘토링 기능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멘토링 기능에 관한 멘토와 멘티의 인식차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운영에 관한 인식에서 멘토는 참여 의사 및 파트너 선정에 자신의 의사가 반영된 경우가 많았으나 멘티는 타의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파트너와의 연결은 대부분 원내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선택 범위에 대해서는 멘토와 멘티 공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제에 투입된 지원금은 상호 협의를 통하여 도서 구입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한된 지원액과 멘토링제 지원금 집행 시 원내 비참여 교원이 느끼는 소외감을 문제로 느끼고 있었다. 운영 방법 측면에서는 주제 선정 및 계획 수립 등에 있어 대부분 멘토와 멘티가 의논하여 결정하였으며, 운영 방식으로는 면담(상담)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참여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청의 연수에 대하여 멘티는 대체로 적당하다고 한 반면, 멘토는 연수 실시 횟수가 너무 많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멘토들은 멘토만을 위한 맞춤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훨씬 높았다. 멘토링제의 가장 긍정적인 측면으로 멘토와 멘티 공히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과 함께 멘토는 유치원의 조직특성 이해 및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형성, 멘티는 교사 스스로 성장하고자 하는 생각과 의지가 생겼다는 점을 꼽았다. 한 편, 멘토링제는 참여 교원들에게 심리적 부담감 및 스트레스가 작용하기도 하였는데, 그 이유는 멘토링제의 권역별 모임 또는 연수 등에 참여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업무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부담감은 2010학년도에도 다시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도 영향을 끼쳐 재참여 의사가 없는 경우가 더 많았다. 둘째, 멘토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있어 교육청 중심의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멘토링 기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데 유의미한 작용을 하였다. 이들 중 멘토가 멘토링제의 경력 기능과 심리사회적 기능 두 가지 차원 모두에서 멘티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멘토링 기능 중 경력 관련 기능보다는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해 교원들이 더욱 높게 인식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ditions and mentoring functions of the school district oriented mentoring program in Seoul, and to signal for school districts the ways to offer improved mentoring programs to the teachers who participate.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ditions of the school district oriented mentoring program? 2. What is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mentoring functions of the school district oriented mentoring program? The respondents were 137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provid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MOE) in 2009.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that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one for the mentors, and the other for the mentees. As for the study tool, the author developed 26 questions to asses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ditions of the school district oriented mentoring program based on relevant researches about mentoring and the SMOE's mentoring program master plan. To asses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mentoring functions of the school district oriented mentoring program, the author translated and applied the Mentoring Functions Scale developed by Noe (1988). The scale was used after necessary adjustments to suit the circumstances of kindergarte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responses to figure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ditions of the SMOE's mentoring program. The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question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mentoring functions of the SMOE's mentoring program. Also, the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mentors and ment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mento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and chose the partner, many mentees were forced to participate and had less authority to decide the partner. The partners were mainly set up within the kindergartens, and the participants felt satisfied about that. The support fund given by the SMOE to each pair was usually spent on buying books upon consultations between the mentor and the mentee. They felt constrained having to keep to the prescribed budget, and pointed to the marginalisation of non participating teachers as an issue that needed to be addressed. When they decided on what to work on or how to set the plans, most of them made the decision upon discussions between the mentor and the mente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counselling. As for the in-service training, mentees thought the frequency of the sessions were suitable, but the mentors thought it was excessive. At the same time, the mentors were much more satisfied about the training programs devoted to the mentors only than the courses they took together with mentees. The positive part of the mentoring program was that it helped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entors and mentees. Additionally, the mentors were happy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al features of the kindergartens and to obtain a sense of belonging. Mentees were pleased to have developed themselves into a teacher capable of engaging in independent thinking and acting on one's own free will for their future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mentoring program had negative side effects such as stress and strain, because the program asked for lots of extra time for attending the in-service training and imposed additional workload. The resulting stress and strain affected the teachers and caused them to refuse to participate in the mentoring program again. Second, as for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mentoring functions of the SMOE's mentoring program, the participants felt the program performed fairly well. Mentors responded more favorably than mentees with respect to the benefits of attending the mentoring program in both the dimensions of career function and psychosocial function. Also, both the mentors and mentees agreed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entoring program related more to the psychosocial function of the program rather than the career f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