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중학교 《생활 중국어》 13종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Title
중학교 《생활 중국어》 13종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Other Titles
初中《生活中國語》课13种教材中关于文化部分的内容分析
Authors
한송이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민정
Abstract
2007年公布了对第7次教育课程的修订,从而重新出版了初中《生活中國語》课的13种教材。本篇论文就是对这13种教材里关于文化的内容进行了一些分析和研究。其实整个教育课程的修订中,变化最大的就是比以前更加重视了沟通与表达能力的提高,而且可以看出此次修订为了提高学生对学习中国文化的兴趣做了很大的努力。因为如此,本篇论文就把研究范围锁定为这13种教材中关于文化介绍的内容。 在第Ⅰ章里首先对生活汉语这一门课进行了简单的介绍,然后对此次研究的必要性与研究目的以及先行研究做了一些总结与检讨。 在第Ⅱ章里先讨论了一下外语教育中文化教育的重要性与必要性,然后就对原有的第7次生活汉语课程的文化内容与2007年修订后的生活汉语课程进行了一些比较。同时对第7次教育课程的检定教科书《你好》的课文与文化内容的相关性也进行了一些分析。 在第Ⅲ章里以初中《生活中國語》课13种教材里介绍中国文化的一栏为中心,为了查看2007年课程修订版的反映情况,进行分析了其中的文化内容。按照文化要素的类别查出13种教材中介绍到的文化要素一共63类,没有一类要素被13种教材全部共同的提到。从文化要素在教材中的出现的频率的角度出发发现在13种教材中最常提到的文化要素就是一共提到19次的‘传统艺术’。 在第Ⅳ章,对初中《生活中國語》课13种教材中的文化内容进行了进一步的多方面的分析,并参照了2007年修订中的关于授课与学习方法的内容,提出了强化文化课的学习方案。本文所提倡的文化课就是,不但要以语言学习为目的,而且在课堂中还应该多加融合中国文化的介绍。通过分析13种教材里的文化内容,采取一些多样化的文化教育形式,并且提出新的文化课方案。 最后的第Ⅴ章里总结了一下本篇论文的研究内容,也提到了本次研究的意义与本次研究的有限性。 在以初中的生活汉语课程为基准的分析中,我们发现13种《生活中國語》教材中介绍到的165个文化内容中,占51.5%的85个内容被分为其他类型。这就说明了新修订的初中教育课程没能全部反映出初中教材中所介绍的文化内容,还是需要更具体的进一步的分类。 上述13种教材里介绍到的165个文化内容,如果按照高中汉语Ⅰ课修订本分类的话,165个文化内容中除了4个以外余下的161个都可以按照7类文化内容进行分类。这种情况与初中的课程修订本形成了鲜明的对比,因此初中的生活汉语课文化内容的教育问题还有待于进一步的推敲与发展。 本文主要对2007年修订的教育课程为中心,对初中《生活中國語》课的文化内容进行了分析,从而我们可以更加了解到初中汉语文化教育的基本现况。;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제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공포로 새롭게 출판된 중학교 《생활 중국어》 13종 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의사소통 기본 표현의 이해와 활용에 도움이 되고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끼는 문화 교육의 중시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개정 교육과정의 문화적 내용에 근거하여 중학교 《생활 중국어》 13종 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생활 중국어 과목의 현황을 간단하게 살펴본 후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논하며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 제7차 생활 중국어 교육과정의 문화 내용과 2007년 개정 생활 중국어 교육과정의 문화 내용을 살펴보고 제7차 교육과정의 검정 교과서인 《你好》의 본문과 문화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중학교 《생활 중국어》 13종 교과서의 문화란을 중심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문화 요소별 통계를 통해 13종 교과서에 소개된 문화 요소의 종류는 총 63종이고 13종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진 문화 요소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문화 요소의 교과서별 출현 빈도를 살펴봄으로서 13종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문화 요소는 19번 활용된 ‘전통예술’임을 알 수 있었다. 제 Ⅳ장에서는 중학교 13종 《생활 중국어》 교과서 문화 내용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을 참고하여 문화 수업을 강화한 학습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지향하는 문화 수업은 언어 학습과 동시에 중국 문화에 대한 학습도 함께 이루어지는 본문과 연계된 문화 수업으로, 13종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을 통해 각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문화 교육의 형태 중 몇 가지를 취해 문화 수업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제 Ⅴ장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총체적으로 정리하고 본 논문이 갖는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본 논문의 중학교 생활 중국어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한 분석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13종 《생활 중국어》 교과서에 소개된 165개의 문화 내용 중 약 51.5%인 85개가 기타로 분류되어진 것이다. 개정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소개된 문화 내용을 모두 포괄하고 있지 못하다는 면에서 중학교 교육과정의 문화적 내용 분류를 조금 더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13종 교과서에 소개된 165개의 문화 내용이 고등학교 중국어Ⅰ의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분류에서는 4개를 제외한 161개가 모두 일곱 가지 문화적 내용에 의해 분류된 것과 비교해 보았을 때 중학교 생활 중국어 교육과정의 문화적 내용이 갖는 문제점을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학교 《생활 중국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중학교 내 중국어 문화 교육의 실태를 알아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