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7 Download: 0

1990년대 이후 북한 도덕교과서 내용변화 분석

Title
1990년대 이후 북한 도덕교과서 내용변화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contents of North Korea's textbook on ethics since 1990s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The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are based on a country's dominant ideology, preferred value and culture and display the virtue and the policy that the country pursues. In particular, textbooks on ethics intensively show the idea of human that the society intends to nurture and have the closest association with the social structure. In North Korea, the Juche ideology and all words and action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who are the Supreme are the dominant ideologies that have decisive influence on every field of North Korea. They treat upbringing of communists as a course to comprehend revolutionary ideas and communist morality. And they are very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in ideological education.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durable key contents in textbooks on ethics used in the primary schools in North Korea, contents that change according to social situations, and changes in narrative persp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s national value and policies that the country has followed after for the last decade, including proper personal, home and social life and political ideas, have been applied to the textbooks on ethics and how they are being maintained and changed, by analyzing the textbooks in three respective years used in the Peoples' Schools (primary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oples' School textbooks on ethics in 1995 and 2002 and the primary school textbook on ethics in 2004(5), the tendency of changes by year, field and unit was analyzed. In content analysis by year, I have analyzed the amounts of large units in each year's textbook respectively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struction. In the tendency of changes by field and unit, I have analyzed quantitative changes among textbooks for the same grades published in respective years and investigated what contents in the textbooks have been maintained for the last decade and what the changes in contents and narrative perspectives were,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changes in North Korea's ethics and educ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The changes in ethics and education show that subjects for idolization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have been enhanced since the early 1980s and that subjects that teach the socialist ideology and the idea of communist have been playing a major role to concretize ideologies and goals of North Korea through the North Korean ethics and education. In all grades, social groups take precedence over individuals. The larger amounts of political ideas exist in higher grades' textbooks. In particular, the unit construction in 2002 showed a great inclination toward the field of political ideas.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textbooks started in 2004: The social life section was strengthened than former years, the textbooks gave a lot of space to the observation of social rules, and specific explanations on safe living and traditional life appeared. Major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se changes are: First, in the field of political ideas, the Songun Politics (which means "military first") and the Sasang Gangguk ideology (which means "a country with strong ideological power") that are political slogans that the Kim Jong-il regime has emphasized were reflected on the textbooks on ethics as they are. This has contributed to controlling the system and to strengthening ideological education. Second, the fact that units about normalization of school life, observation of social rules and safe living appeared in the social life section of the textbooks in 2004 shows that after the Kim Jong-il regime was officially launched in 1998, the July 1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 in 2002 that has promoted economic reforms and openness has caused big changes in North Korean people's living and the North Korean education also reflected the measure. Third, North Korea's efforts to improv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ith EU and other countries since 2000 influenced the textbooks in 2004 so units showed hostility toward foreigners were removed and texts about basic manners for foreigners were added. In addition to these, increases of contents that seem to restrict coming close to foreigners and that are hostile to South Korea can be thought that North Korea's wariness to maintain theirsocialist system was expressed on the textbook. Considering all analysis results of North Korea's textbooks on ethics, I have understood that upbringing of communist humans within collectivism which is the primary goal of North Korea has been being sustained to support its socialist system, while its political systems and social situations that have been changed for the last decade, including the Songun Politics, economic reforms, open door policies,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nd respect for ethnic culture, have influenced the textbooks in 1995, 2002 and 2004. In conclusion, North Korea is applying its logic to develop the economy based on the foundation of its ideology to the ethics and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North Korea's textbooks on ethics include its efforts to prevent menaces to stabilization of the system, while they pursue reformation and opening.;학교 교육내용은 국가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문화를 기본으로 구성되며, 그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와 정책을 나타낸다. 특히 도덕교과는 그 사회가 육성하고자 하는 인간상을 집약적으로 보여 주는 과목으로 사회체제와 가장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북한의 경우, 최고권력자인 김일성․김정일의 말과 주체사상이 모든 분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상교육에서는 도덕과교육을 중요시하며, 북한당국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정책을 도덕교과서에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 인민학교(소학교) 도덕교과서 내용을 분석하면 북한 사회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민학교 도덕교과서를 ‘변하지 않는 핵심적 교육내용’, ‘시대상황에 따라 변하는 교육내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시대변화에 따라 바뀌는 서술관점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북한사회의 변화가 도덕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는 1995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개정된 북한의 인민학교(소학교)도덕 교과서 전체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1995년 인민학교 1, 2, 4학년 도덕교과서, 2002년 인민학교 1, 2, 3, 4학년 도덕교과서, 2004(5)년 소학교 1, 2, 3, 4학년 도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1995년도 3학년 교과서는 직접 자료를 찾지 못하여 선행연구에 있는 내용을 인용하였다. 1995년, 2002년, 2004년 인민학교 도덕교과서를 분석한 이유는 1995년 이후 북한사회의 변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시기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1995년 인민학교 도덕교과서는 ‘고난의 행군’ 시기 교과서로서 연구 대상의 기준으로 삼았다. 2002년 인민학교 도덕교과서는 선군정치 시기에 개정된 교과서로 1995년과 2004년 사이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2004(5)년 소학교 도덕교과서는 2002년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교과서로 가장 최근에 개정된 내용을 담고 있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교과서의 내용을 분류하는 기준을 표로 만들었다. 이 표를 기준으로 연구대상 교과서의 내용이 각 연도별, 학년별로 대 영역과 소 영역 항목을 적용할 때 각각 어느 정도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영역별 분석으로 연도별로 같은 영역의 분량변화를 비교하였다. 셋째, 단원별 분석은 1995년과 2004년 도덕 교과서를 비교하여 10년 동안 계속 유지된 단원과 바뀐 단원이 무엇인지를 비교하였다. 넷째, 2004년 도덕교과서와 이전 도덕교과서에서 동일한 주제를 다룬 단원을 비교하여 서술관점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1980년대 초반부터 김일성과 김정일의 우상화를 위한 교과목이 보다 강화되고 구체화되었다. 둘째, 사회집단이 개인보다 우선시되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정치사상 영역이 더 많아지며 내용도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셋째, 정치변화와 관계없이 공산주의인간 육성을 위한 기본적인 목표와 사회주의체제 수호를 추구하는 사상교육 및 김일성 일가 우상화 등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 넷째, 2002년은 다른 연도의 교과서와 달리 정치사상영역이 보다 많은 분량을 차지하여 매우 편중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 도입된 단원을 보면 군인으로서 김일성 일가 우상화와 영예군인에 대한 예우가 나타난다. 또한 김일성을 소재로 하는 단원이 특정 학년(4학년)에서 보다 많이 등장한다. 다섯째, 2004년은 도덕 교과서의 구성형식에 있어 이전의 교과서와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다. 즉 ‘알아두기’와 ‘생각해보자요’ 등의 부분을 신설하여 단원 내용과 관련된 부연설명을 하였다. 내용면에서는 사회규칙준수 영역을 강조하고 있으며 안전생활과 전통생활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외국인에 대한 적개심을 표현한 단원이 없어지고 집단 구성원 전체가 개인을 비판하는 정도는 매우 약해지고 대인관계에서 다른 사람의 인격을 존중하는 면이 보이기 시작한다. 북한의 도덕교과서 내용이 이처럼 변화하게 된 요인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첫째, 김일성 사망 이후 나타나는 유훈정치와 1998년부터 북한의 정치방식으로 나타나는 선군정치가 도덕교과서 내용 변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둘째, ‘7.1 경제관리개선조치’로 대표되는 경제실리주의 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학교의 정상화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나타난다. 또한 ‘공산주의’라는 용어 대신 ‘사회주의’ 용어를 사용하며 ‘인민학교’ 대신 ‘소학교’ 로 학교 명칭을 바꾸는 등 북한 내부의 변화 상황이 도덕교과서 내용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서방세계와의 관계개선으로 인하여 외국인에 대한 적개심을 표현한 단원 삭제, 집단주의 약화 및 인격적 비난 요소가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냈을 것이다. 넷째, 2003년부터 김정일에 의해 민족문화가 강조되었던 것이 2004년 도덕교과서에 전통생활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 원인일 것이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1995년, 2002년, 2004년의 북한도덕 교과서에는 10년 동안 변화된 북한의 정치체제와 사회상황이 모두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사회주의체제 유지를 위한 노력과 공산주의적 인간육성이라는 목표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담겨져 있다. 따라서 경제 건설을 위한 개혁과 개방을 추구하지만 체제안정을 위협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북한당국의 노력이 북한 도덕교과서 내용에 그대로 반영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