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8 Download: 0

Inverted hook을 사용한 상악 전치부의 후방 견인시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른 치아의 이동양상 비교

Title
Inverted hook을 사용한 상악 전치부의 후방 견인시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른 치아의 이동양상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tooth movement in maxillary en-masse retraction using inverted hook at different sites for orthodontic mini-implant placement
Authors
정다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면 방향의 후크인 inverted hook을 이용하여 전치부를 견인할 때,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전후방 위치에 따른 전치부의 이동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원하는 치아 이동 양상에 따른 적절한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치아 이동 양상을 재현하기 위해 칼로리픽 머신(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였고, 인공치아와 인공치조골을 이용하여 양측 제1소구치를 발치한 상악 모형을 제작하였다.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전후방 위치는 제1소구치 근심과 제1소구치 원심이었으며, 수직적 위치는 치아 배열에 사용된 호선에서 수직으로 10mm 위치였다.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위치는 제2소구치의 근심에 식립한 군과 제2소구치의 원심에 식립한 군으로 나누어 각각 5회씩 실험 하였고, 실험 전, 후의 모형은 모두 CT촬영을 하였다. V-works 4.0TM 을 이용하여 CT 영상을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만든 후, Rapidform 2004TM를 이용하여 치아의 이동양상을 x, y, z축 세 방향에서 계측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심식립군의 전치부에서는 압하이동이 일어났고, 원심식립군의 전치부에서는 정출이 일어났으며, 두 실험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이는 근심식립군에서 수직방향의 분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2. 전후방 방향으로는, 전치부 개개의 치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원심식립군에서 더 많은 견인량을 보였는데(P<.001), 이는 전후방 방향의 분력이 원심식립군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 3. 수평 방향으로는 원심식립군의 제2소구치에서 호선이 견인되면서, 악궁이 좁아져 0.23±0.21mm의 구개측 이동을 보였다. 근심식립군의 제2소구치는 견인력의 수평분력으로 인해 0.23±0.44 mm의 협측이동이 일어났고,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Inverted hook을 이용하여 전치부를 견인할 때, 전치부의 압하이동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고정원이 되는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제2소구치 근심이나, 더 전방에 식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방에 식립할수록 후방견인력이 감소하여, 전치부의 후방견인량이 감소하므로, 부가적인 견인력을 사용하여 전치부를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antero-posterior loca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OMI) and anterior tooth movement in maxillary en-masse retraction using inverted hook. This study can suggest proper loca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 in varies situations. Calorific machine simulated maxillary en-masse retraction using inverted hook in this study. Two groups are devided by location of the OMI. The OMI of M-group was located in the mesial side of 2nd premolar , and the OMI of D-group was located in the distal side of 2nd premolar. Vertically, the OMI was located 10mm above the archwire. 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the experimental model were taken before and after retraction in 0.75mm thickness and reconstructed into 3-dimensional models by V-works4.0TM. Reconstructed models were superimposed, and direction and amount of tooth movement were measured by Rapidform 2004T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In M-group, anterior teeth were intruded during en-masse retraction, and anterior teeth of D-group were extruded. Retraction force’s vertical vector of M-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D-group. 2. Anterior teeth of M-group were retracted only 0.9mm, while anterior teeth of D-group were retracted 2.5mm, because antero-posterior vector of M-group was less than that of D-group. 3. Transverse vector of the retraction force make 2nd premolar of M-group moved 0.23±0.44mm buccally. D-group’s 2nd premolar moved 0.23±0.21mm palatally, because of the diffrence between inter-premolar width and inter-canine width. When OMI is used for intrusion of anterior teeth, OMI should be located in the mesial side of 2nd premolar or more anteriorly. But, the more anteriorly OMI is located, the less postriorly anterior teeth are moved. So there have to be additional retraction force to retract anterior teeth fu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