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후 장기 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itle
-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후 장기 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uthors
- 김혜인
- Issue Date
- 201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차희원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계획된 행동 이론을 매개로 하여 사후 장기 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섯 부분의 가설과 세 개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가설은 주관적 규범, 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가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가설은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주관적 규범, 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에 각각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한 것이다. 네 번째 가설로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회 자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했고, 다섯 번째 가설로 사회 자본이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설정했다.
그리고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사회 자본이 계획된 행동 이론을 매개로 하여 장기 기증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계획된 행동 이론을 매개로 하여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세 번째로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회 자본을 매개로 하여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만 20 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연구가설과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단일 회귀 분석과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서 Baron 과 Kenny가 설명한 방법과 Sobel test 식을 적용하여 회귀 분석을 사용했다.
연구의 주요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계획된 행동 이론의 요소 중 주관적 규범과 태도는 장기 기증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행위 통제는 장기 기증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이 태도보다 장기 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보였는데 이는 주변 사람들의 영향력이나 사회적 압력이 장기 기증 의도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주관적 규범과 태도의 경우는 대화 내용의 영향을 받고, 지각된 행위 통제는 대화 양과 대화 내용 모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자본은 주관적 규범과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지각된 행위 통제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대화의 양이 사회 자본에 영향을 주고, 사회 자본은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 효과가 발생하는지 살펴보았을 때, 대화 내용이 주관적 규범과 태도를 매개로 의도에 영향을 주고, 사회 자본이 주관적 규범과 태도를 매개로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대화 양이 사회 자본을 매개로 장기 기증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도 밝혀낼 수 있었다.
매개 효과의 검증 결과, 행위 의도를 예측하는 계획된 행동 이론에 대인 커뮤니케이션 요소와 사회 자본 요소를 추가하여 계획된 행동 이론이 확장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계획된 행동 이론의 구성 요소들이 형성되는 인과관계를 설명함과 동시에 계획된 행동 이론이 인간의 행위가 이상적인 의사 결정 행위라는 것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사회적인 것을 배제한 개념이라는 비판을 극복할 수 있는 발견이다. 그리고 심리학에 기반을 둔 계획된 행동 이론을 사회학적, 커뮤니케이션적 측면으로 확대해서 학제 간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장기 기증 관련 연구를 할 때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가족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가족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여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까지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영역을 포괄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실무적 측면의 의의도 가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기획을 할 때 장기 기증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장애물을 낮추거나, 장기 기증 행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보다 규범 변화와 주위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것에 집중하면 캠페인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캠페인 프로그램이 대중 매체의 효과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지만 본 연구는 사람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활용한다면 대중 매체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사회 자본이 장기 기증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낸 결과, 신뢰와 상호호혜에 대한 기대를 향상시키고, 사회 참여 및 네트워크를 촉진시키는 등의 사회 제도나 구조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장기 기증과 같은 긍정적인 행위를 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는 점이 제시된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intention of posthumous organ donation by media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verify this, this study formed a five hypotheses and presented thre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out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prediction of the proposed TPB model showed that subjective norm and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ntions, but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id not.
As for the verification for predictor of the TPB's constructs,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re proposed. It showed that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influenced subjective norm and attitude except fo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ubjective norm and Attitud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communication, whil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oth the amount of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The amount of commun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oci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ntions.
This study verified mediating effects. As for the verification for mediating effects of TPB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registering intention,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norm between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registering intentions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were demonstrated. As for the verification for mediationg effects of TPB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tention, full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norm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were demonstrated.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between the amount of communication and intention were found.
Judging from the research results, this present study suggest the expanded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model could overcome the criticisms of its asocial conceptualization and the rational decision-making approach. While previous studies about organ donation concentrated mostly on family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inally,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guideline on campaign planning.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