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4 Download: 0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Title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Authors
하경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의 물결과 함께 한국 사회 속 다문화가정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현황에 따르면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북한 이탈주민 자녀의 재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구성원의 숫자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다문화가정의 급속도 증가에 발맞추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다문화가정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며, 다문화 사회 속 국민의 인식 수준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교육 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나는 등 한국 사회는 다문화가정,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정책을 통해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문화교육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다문화가정의 한국 사회 적응에 두어 폭넓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수준과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1-1. 다문화 인식의 인지적 수준은 어떠한가? 1-2. 다문화 인식의 정의적 수준은 어떠한가? 1-3. 다문화 인식의 행동적 수준은 어떠한가? 2.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의 수준은 요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1. 개인적 배경(성별)에 따라 다문화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2.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에 따라 다문화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3.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다문화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는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순차적 통합방법설계(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s)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문화 인식의 수준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 소재 9개 초등학교의 39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조사 대상자는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유형(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북한 이탈주민)의 다문화가정 자녀가 있는지를 고려하여 목적표집방법을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설문조사를 통계 처리하여 얻은 다문화 인식의 평균 3.31을 기준으로 다문화 인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다문화 인식이 높은 집단에서 4명, 낮은 집단에서 5명, 총 9명의 피면담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피면담자는 다문화가정의 3가지 유형(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북한 이탈주민)이 포함되게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평균은 인지적 영역(3.47), 정의적 영역(3.41), 행동적 영역(3.3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의 차이는 개인적 배경,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외국문화 접촉, 미디어 속 다문화가정 경험, 다문화가정 접촉), 다문화교육 경험 별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인 성별에 따라 다문화 인식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학생에 비해 여자학생의 다문화 인식 수준이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인 외국문화 경험은 외국인 접촉과 외국에서 살았던 경험을 구분하였다. 외국인 접촉의 경험은 다문화 인식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외국인 접촉의 기간이 길수록 다문화 인식의 수준이 높아졌다. 다수의 학생들은 ‘외국인’의 대상으로 영어권의 인종을 떠올렸고, 다문화 인식이 높은 집단의 경우 문화의 차별성과 성향까지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외국에서 살았던 경험이 있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다문화 인식의 종합,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 유의미하게 높은 반응을 보였다. 세 번째 요인인 미디어(인터넷, 방송, 신문, 영화)를 통해 다문화가정을 경험한 집단일수록 다문화 인식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미디어 경험의 정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인식이 높은 집단은 미디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의 모습과 미디어 속에 나타나는 인종별 차별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네 번째 요인인 다문화가정 접촉은 친척 중 다문화가정이 있는 경우와 학교의 같은 반에 다문화가정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친척 중 다문화가정이 있는 경우 다문화 인식의 종합,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다. 학급에서 다문화가정을 접촉한 경우 다문화 인식의 종합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다문화 인식의 다른 영역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일부 학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공개하지 않는 것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 번째 요인은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이다. 다문화교육 경험은 다문화 인식의 모든 영역에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다문화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인식의 긍정성이 높았다. 다문화 인식이 높은 집단은 문화 일반 이해영역, 다문화 현상 이해 영역을 넘어서서 타문화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다름에 대한 인정과 포용 영역까지 심화된 다문화교육을 받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들을 단계별로 투입한 결과, 다문화 인식 종합에서는 외국인 접촉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 미디어 경험 순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다문화 인식의 인지적 영역에서는 미디어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 성별 순으로 영향력이 컸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는 외국인 접촉 경험, 미디어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이 영향력이 컸고, 행동적 영역에서는 다문화교육 경험, 외국인 접촉 경험 순으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행동적 영역에서 다문화교육 경험의 영향력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가 다문화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학생을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다문화교육의 경험은 다문화 인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행동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컸다.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수준 중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난 행동적 영역을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적용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국한되었던 다문화교육을 대상을 초등학교 일반학생까지 확대하는 다문화 교육과정의 도입과 확대가 매우 시급하다. 둘째, 일반적인 문화에 대한 이해와 다른 문화와의 차이를 넘어서서 문화 간 상호관계성, 상호주관성의 강조, 차이와 존중을 포함하는 다문화교육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편견, 문화 간 갈등과 협동, 존중 등의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목적에 부합되는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인식 수준이 매우 높았다. 다양성에 대한 인정과 포용의 내용으로 심화하여 사회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고, 다문화적 상황에 바람직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초등학생의 외국인 접촉 경험은 대상이 영어권 인종으로 국한되었다. 인종별로 차별된 접촉의 경험은 다문화 인식의 인종별, 문화별 차별성을 이끌 수 있으므로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인종을 만나고, 생소한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미디어를 활용하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미디어의 경험이 전 영역에서 상대적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를 활용․보완하고 다문화교육 관련 교수학습자료로 사용하여 다문화 인식의 긍정성을 형성하고, 폭넓은 인종․문화의 이해를 도모하는 장이 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폭을 확장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을 조사하고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인식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측정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비판적 다문화교육 내용을 적용한 다문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적용에 관련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인종․문화별 차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할 수 있는 양적 자료의 수집이 요청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s of th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nd factors that influencing their attitud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1-1. How is their standard of cognitive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1-2. How is their standard of affective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1-3. How is their standard of behavioral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2. Are there differences in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ccording to factors? 2-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ccording to the sex?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ccording to informal cultural diversity experiences? 2-3.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ccording to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3. What kinds of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3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candidates were chosen according to purposeful sampling, concerning range of the places and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fami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ultural diversity attitude by classifying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1.0, analysis methods include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cheffe'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classified cultural diversity attitude into high and low groups with the average of 3.31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Based on this, the study chose four students from high group and five from low group, proceeding in depth interview(qualitative research) to exam cultural diversity attitud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attitude were positive in order of cognitive(3.47), affective(3.41), and behavioral(3.30) area.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ccording to each factors are as follows :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ccording to sex had meaningful differences in integrate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parts; female students' cultural diversity attitude was affirmative compared to male students'. More foreign culture experience showed positive results in all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parts; A group with foreign culture experience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compared to a group without foreign culture experience. A group with cultural diversity experience through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and internet showed positive results in integrate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 of the cultural diversity attitude. People who have a multicultural family among relatives showed positively high response in integrated,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 However,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rea. People who have contacted with multicultural family showed meaningful responses in integrated area, while there weren't any differenc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parts.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relevance in all integrate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parts. Third, factors that e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attitude are as follows: In integrated area of cultural diversity attitude, the factors were influential in order of experience of contacting foreigner,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media experience. Media experienc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sex were influential factors in orderly in cognitive area, while experience of contacting foreigner, media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were influential in affective area. In behavioral area, the factors were influential in ord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contacting foreign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for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perspectives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rd, education environment allow interaction with various races of people. Fourth, media could be a good tool to increas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