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남성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및 진로 결정수준과의 관계

Title
남성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및 진로 결정수준과의 관계
Other Titles
Sex Roles, Sex Role Conflicts, Vocational Identity and Vocational Decision Level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Male-Dominant Majors and in Female-Dominant Majors
Authors
김나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at figuring out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of the sex role, the sex role conflict, the vocational identity, and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male-dominant majors and those of female-dominant majors. The male-dominant majors and the female-dominant majors were selected as the majors whose male and female ratio was over at least 2:1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as to the 2009 admission situations for each major, and the number of samples used by this research was a total of 276, consisting of 109 from male-dominant majors and 167 from female-dominant majors. As a research tool,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was used to measure the sex role, and Sex Role Conflict Scale; SRCS translated in Korean was used to measure the sex role conflict. Korean-version VIS adapting Vocational Identity Scale; VIS, one of the subordinate scales of My Vocational Situation(MVS) was used to measure the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cale; CDS adapted in Korean was used to measure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This research’s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verification of male-dominant majors and female-dominant majors for each variable, it was observed that the female sex identity was meaningfully high at female-dominant majo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or the other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evance among each variable in the whole female student group, it was observed that the vocational identit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emale sex identity, and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and the results of such a meaningful relationship were equally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ex role conflict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Third,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evance among each variable of the two groups of male-dominant majors and female-dominant major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rom which the vocational identit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both at male-dominant majors and female-dominant majors, and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only at male-dominant majors, and the results of such a meaningful relationship were equally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 sex role conflict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only at female-dominant maj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is research supports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showed that those who choose a womanly vocation are higher than those who choose a manly vocation in terms of the female sex identity point. Second,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female students of male-dominant majors and those of female-dominant majors in terms of the male sex identity, the sex role conflict, and the conviction toward vocation, saying that the vocation conviction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different and is at a similar state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the vocational identity or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is higher if they go to the traditional vocation for the sex role. Thir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emale sex identity should be studied as a meaningful variable in the future vocation researches by displaying the result that the female sex identity can lower the vocational identity while supporting the previous researches showing that the male sex identity has more to do with vocations as a sex role. Fourth,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female sex identity is at male-dominant majors, the lower the vocational identity becomes present female students with a high female sex identity at male-dominant majors with the problem of how to deal with their own female sex identity and vocational identity without conflicting with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give a more detailed and effective help by recogniz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o what attention should be given according to an interviewee’s major at a consulting agency in universities or when a vocational consul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conducted.;본 연구는 남성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진로 결정수준의 차이와 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는 2009년 전공별 입학상황의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남녀 비율이 최소 2:1 이상인 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표본 수는 총 276부, 남성지배 학과 109부와 여성지배 학과 167부였다. 연구 도구는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성역할 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를, 성역할 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어로 번안된 성역할 갈등척도(Sex Role Conflic Scale; SRCS)를 사용했다. 진로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y Vocational Situation(MVS)의 하위 척도 중 하나인 진로정체감척도(Vocational Identitiy Scale; VIS)를 번안한 한국형 VIS를, 진로 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로 번안된 진로결정검사 (Career Decision Scale; CDS)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별로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의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여성지배 학과에서 여성성 정체감이 유의하게 높았고 다른 나머지 변인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전체 여학생 집단에서의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 정체감은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 여성성 정체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 결정수준은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성역할 갈등은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 두 집단의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두 집단별로 상관 분석을 독립적으로 실시한 결과 진로 정체감은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 모두에서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 결정수준은 남성지배 학과에서만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여성지배 학과에서만 성역할 갈등이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이 연구는 여성적 직업을 선택한 사람이 남성지배적 직업을 선택한 사람보다 여성성 정체감 점수가 더 높다는 선행 연구들을 지지한다. 둘째,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의 여대생들 간에 남성성 정체감, 성역할 갈등, 진로에 대한 확신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으며 이는 성역할에 전통적인 진로로 진학한 경우 진로 정체감이나 진로 결정수준이 더 높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르다. 셋째, 이 연구는 진로와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성역할 정체감은 남성성 정체감이라는 선행 연구들을 지지하면서 여성성 정체감이 진로 정체감을 낮출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앞으로의 진로 연구에 있어서 여성성 정체감도 의미 있는 변인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 준다. 넷째, 남성지배 학과에서 여성성 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 정체감이 낮아진다는 결과는 남성지배 학과에서 높은 여성성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들에게 자신의 여성성 정체감과 진로 정체감을 어떻게 하면 상충되지 않게 다루어 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대학 상담 기관 등에서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결정과 진로 정체감에 대한 상담을 할 때, 학과에 상관없이 남성성 정체감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면서 특히 여성성 정체감이 진로 정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지배 학과에 다니는 여자 대학생의 경우 남성성 정체감이 성역할 갈등을 높이지 않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