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 및 수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 및 수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ronunciation Error Awareness and Correction through Self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with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uthors
DU, FAN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제2언어를 학습할 때는 제1언어를 학습할 때보다 학습자의 청각적 분별 능력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민감하게 특정 음운 측면에서 분별할 수 없다(유덕근, 2009:200). 따라서 제2언어를 학습할 때 발음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성인 학습자가 목표 언어의 발음에 어려움을 겪으며 고급 단계에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음 문제가 많이 존재하는데 이는 학습자 발화에서 자주 나타나는 발음 오류에 대한 허용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나 원어민 화자는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한 틀린 발음을 거의 고쳐주지 않을 경우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학습자는 발화에서 지적을 받지 않으면 자기의 발음이 정확한 것이라고 쉽게 단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수정해주지 않으면 학습자에게 평생 남아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 2언어습득 분야에서는 교사가 어떤 것을 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게 했는데 1970년대부터 학습자가 머릿속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갖는 움직임이 있었다(Schmidt, 2001:5). 그러나 제 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주로 학습자의 오류에 치중하여 연구한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학습자 개발, 주목 차이 및 피드백 등에 관한 연구가 점차 많아지고 있지만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 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훈련을 통해서 학습자에게 스스로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면 위에서 언급한 제 2 언어 성인 학습자의 발음 문제가 많이 개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교사가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일일이 가리키고 수정해주려고 해도 시간적인 제한 받아서 하지 못하거나 의사소통에 초점을 두어서 발음 오류를 경시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발음 훈련에서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에 의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 및 수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발음 훈련은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두 명을 대상으로 자기 피드백과 한국어 원어민 교사 피드백을 선후 실시하여 실험 참여자의 자기 발음 오류 인식 및 수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YTN 온라인 뉴스를 위주로 뉴스 10편을 선택하여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게 발음 훈련을 실시하여 발음(초성, 중성, 종성)에 대해 자기 피드백과 한국어 원어민 교사(한국어교육을 전공하며 현장에서 교수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 피드백을 실시함으로써 참여자의 발음 오류 인식이 향상되는지, 그리고 오류 수정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또한 음운 규칙 위반으로 인한 발음 오류와 초, 중, 종성 오류를 구별하기 위해서 참여자들의 음운 규칙 위반 오류도 함께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기존의 연구 중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발음에 관한 연구, 제2언어 습득에서의 피드백 및 인식가설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제 II 장에서는 제2 언어 습득 분야에서의 Schmidt의 인식가설을 정리했으며, 피드백 및 오류 수정,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차이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III 장에서는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발음 훈련 참여자인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 및 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제 IV 장에서는 발음 훈련 중 나타난 초, 중, 종성 오류 및 음운 규칙 위반 오류를 분석하며,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실험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인식을 향상시켰으며, 따라서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을 통해 대부분의 오류 유형을 수정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V 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종합하고 정리했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간략히 기술하였다.;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self-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in pronunciation error attention and correction of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most of adult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proper pronunciation. During conversation, Korean native speakers or teachers do not usually correct the pronunciation errors of learners unless they hinder the communication. Even if Korean native teachers want to do something with the learners' pronunciation errors, there is simply not enough time to do it. In addition, correcting pronunciation errors usually takes longer than any other error correcting like grammatical errors but the result is not much satisfying. That is, pronunciation errors are hard to defea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develop capabilities of self-correcting their own errors. Schmidt(1990, 1993, 1995, 2001) asserted that conscious awareness or paying attention is necessary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aking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ssumes that, since we can have learners notice their own errors, it will be possible for learners to develop capabilities of paying attention to their errors and correcting them by themselves. This research designs an experiment to probe into whether self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raise the learners awareness to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how they affect error correction. Two female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uring 6 months, including 2 month suspension due to winter vacation. They are the graduate students of B university in Seoul, majoring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experiment is composed of pretest, training, and posttest, all accompanied by real-time recording. On training, a news script is given to the subjects with a reference which is a native announcer's sound record of the news. The participants' reading the news is to be recorded three times. At first reading, they imitate the announcer. They listen to their recordings marking the errors and writing down the correct pronunciation. Then they practice reading and record it again. They get the teacher feedback with the second recording and compare it with their self feedback. They practice again and record it for the last time(posttest). The participants are to record their news reading three times per one news script. When they finish three-times recording, another news script is given to them. The researcher is to observe the whol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and interview them if necess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 was effective for the both participants. Although they show some differences in their error awareness and correction due to personal factors, through this experiment both of them were able to pay attention to more errors than they did at the beginning of this experiment. They paid more attention to the errors on which teacher feedback was given, and picked up and even corrected them on the next reading. The participants seem to put their trust more in teacher feedback than their own self feedback. Although they marked some errors in self feedback but did not correct when there is not teacher feedback given on that error. When the teacher feedback was given, most of the participants' pronunciation errors were corrected. Some errors remained even after teacher feedback was given. Those are the like these: the ones that the participants have real difficulties to pronounce, the ones that they do not know how to modify their phonemic rules and articulators, and the ones that they did not pay attention on recording.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feedback is worth paying attentio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in order to develop learners' abilities. It is useful tool especially when the teachers are not able to correct pronunciation errors due to time limitation. Teacher feedback is very effective in correcting pronunciation, in case that learners are not aware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or that they do not pay attention to the errors they have already been aware. Secondly,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arouse interest in 'paying attention' and language learners' attention to 'self feedback' which is practiced in this study. Paying atten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so that it also should be emphasized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rdly, though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is experiment was effective for both of the participants, the number of the subjects were too small to generalize the result. Therefore, the researcher proposes more researches with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language learners' capabilities of paying attention through awarenes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