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불레즈(Pierre Boulez)의 <피아노 소나타 2번>중 1악장과 3악장의 분석

Title
불레즈(Pierre Boulez)의 <피아노 소나타 2번>중 1악장과 3악장의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Piano Sonata No. 2 by Pierre Boulez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홍인
Abstract
Boulez(Pierre Boulez, 1925 - )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in Europe who put his unique originality on total serialism that has been newly introduced since 1950's in his own way. Twelve-tone technique developed by Schonberg (Anord Schonberg, 1874-1951) has been influential to other composers. It has been developed into total serialism by one of his students named Webern(Anton Webern, 1883-1945). Total serialism was widely used by many artists who longed for new method under the depressed environment after the World War II and was evolved by Messiaen(Olivier Messiaen, 1908-1992). As his student, Boulez put his unique originality on new total serialism which was derived from twelve-tone technique. By controlling not only pitch but also note value, volume and tone color, Boulez totally serialized his music and created his own unique style of expression. In this paper, I analyzed Boulez to look into his unique musical expression. Composed in between 1946 and 1948, is known as the music that made Boulez famous as a composer. It is composed of four movements. For analysis, this paper divided the 1st and the 3rd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form, serial, musical interval, musical figures and rhythm. The first movement has the sonata form and shows the unique style of Boulez within the traditional musical form. By suggesting twelve serials at the beginning of the music, Boulez created a new serial structure with the first four notes that starts the serial. The progression of the overall work is based on the new serial T which is composed of the four notes and serial T is divided into six groups in total including the basic T0 and T5. The 1st theme and the 2nd theme parts develop with serial T trend, expand through the development part and appear again in suggesting part by the form of contraction and augmentation. As serial T being based on perfect 4th and perfect 5th, in the 1st movement, three notes are combined as one. The three notes include two notes that comprise perfect 4th and perfect 5th and a new derived note that is in minor 2nd or major 2nd from the notes. Such musical interval is contracted and augmented as diminished interval or augmented interval. The 3rd movement has a Ritornello form that is divided into total seven parts. It has a circulating structure that expands based on A part. As similar as the 1st movement, it shows unique style of Boulez within the traditional musical form. Although the twelve serials that show up in the beginning have different form to those of the 1st movement, the first four notes are the same. In this regard, the new serial T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1st movement is made and it is expanded to T5 based on the basic T0, which makes the center of this piece. The main musial interval of the 3rd movement is composed of augmented 4th and augmented 5th as well as perfect 4th and perfect 5th, and the four notes are combined as one, where notes such as minor 2nd or major 2nd and augmented 2nd are derived from the two notes comprising the key musical interval. As such, Boulez broke from the conventional serial method but used twelve notes. However, he created a new serial with four key notes as a new single serial. By creating new notes derived from the key musical interval, Boulez developed his own unique composition technique.;불레즈(Pierre Boulez, 1925 - )는 1950년대부터 새롭게 등장한 총음열주의를 자신만의 독자적인 어법으로 발전시킨 유럽의 대표적인 작곡가중 한사람이다. 쉔베르크(Anord Schonberg, 1874-1951)를 통해 새롭게 대두된 12음 기법은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그의 제자였던 베베른(Anton Webern, 1883-1945)을 거쳐 총음열주의로 발전한다. 총음열주의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침체된 분위기 속에서 새로움을 갈구하던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새롭게 대두되었으며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에 의해 발전된다. 그의 제자였던 불레즈는 12음기법에서 유래된 총음열주의를 자신만의 독특한 어법으로 새롭게 창출해 낸다. 그는 음고 뿐만 아니라 음가, 음량, 음색까지 철저하게 통제하면서 음악을 총열화 하였으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어법을 이끌어 냈다. 본 논문에서는 불레즈의 대표적 작품 중의 하나인 <피아노 소타나 2번>(2eme sonate pour piano, 1947-48)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음악어법을 살펴보았다. 1947년에서 1948년 사이에 작곡된 이 곡은 불레즈가 작곡가로서 명성을 떨칠 수 있도록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모두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1악장과 3악장을 중심으로 형식, 음열, 음정, 음형 및 리듬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전통적 음악양식 안에서 불레즈만의 독자적인 어법이 나타난다. 그는 곡의 시작 부분에 12음열을 제시한 뒤 그 음열의 처음 시작 4개의 음을 통해 새로운 하나의 음열 구조를 만들어 낸다. 전체적인 곡의 진행은 이 4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음열 T를 중심으로 하며 음열 T는 기본형인 T0를 포함하여 T5까지 총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제시부에서 나타나는 제 1주제부와 제 2주제부는 음열 T의 양상을 통해 진행하며 발전부를 통해 확대되고 제시부에서 축소와 확대된 형태로 재등장한다. 음열 T는 완전 4도와 완전 5도의 음정을 중심으로 하는데, 1악장에서는 세 개의 음이 한 덩어리를 이루고 완전 4도 혹은 완전 5도를 구성하는 두 개의 음과 그 음에서 단2도 혹은 장2도 관계를 갖는 새로운 음이 파생된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음정관계는 발전부에서 감음정 혹은 증음정으로 축소되고 확대된 형태를 나타낸다. 3악장은 총 7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리토르넬로 형식으로 A부분을 중심으로 확대되는 순환구조를 지니며 1악장과 마찬가지로 전통적 음악양식 안에서 불레즈만의 독특한 어법을 나타낸다. 곡의 시작부분에 등장하는 12음열은 1악장과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처음 시작 4개의 음이 동일하다. 따라서 1악장과 동일한 구조의 새로운 음열 T가 만들어지고 T0의 기본형을 중심으로 T5까지 확대되는 구조가 곡의 중심을 이룬다. 3악장의 중심 음정은 완전 4도, 완전 5도와 더불어 증4도와 증5도로 이루어지며 네 개의 음이 한 덩어리를 이루고 주요음정을 구성하는 두 개의 음에서 단2도 혹은 장2도, 증2도의 음들이 파생된다. 이처럼 불레즈는 전통적인 음열의 기법에서 탈피하여 12개의 음을 사용하되 주요음 4개를 하나의 새로운 음열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중심음정을 통해 파생된 새로운 음들을 만들어 내는 등 그만의 독자적인 기법을 창출해 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