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성역할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

Title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성역할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ddle-Aged Men’s Gender Role and Mid-Life Crisis
Authors
김수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과 성역할 태도 및 자기수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통합이라는 발달적 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중년 시기에 경험하는 심리적 위기감과 관련있는 심리적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중년 남성들의 위기에 대한 상담 및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에서 60세의 중년 남성 23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중년기 위기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는 성취 지향성, 남성간 의리, 과제 지향성, 주도성, 가정에 대한 책임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년기 위기감 척도는 정서적 위기감, 개별화 과정, 활력의 상실감, 직업 불만족도, 결혼 불만족도, 자녀관계의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상관분석을 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변인 들간에 서로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년 남성의 성역할 태도와 중년기 위기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남성적인 성역할 태도가 강할수록 자기수용의 정도도 높아지며 동시에 자기수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중년기 위기감을 크게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성역할 태도 가운데 가정에 대한 책임과 성취지향성이 중년기 위기감과 주요한 관련을 보였다. 이는 한국 중년 남성들의 성역할 태도의 상당부분은 가정경제에 관련된 과업지향적인 모습이며 따라서 성역할 태도가 강하게 내면화된 사람일수록 일에 몰두할 가능성이 있고, 이를 통해 또다시 성역할 태도가 강화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셋째, 성역할 태도와 자기수용이 중년기 위기감을 설명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사용한 결과, 성역할 태도는 중년기 위기감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으나 자기수용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는 한국의 중년 남성의 경우 외부의 가치기준인 성역할이 강하게 내면화되어 있으며 자신도 자각하지 못하는 가운데 성역할 태도 및 자기수용의 기준을 사회적 바람직성에 맞추고, 위기감 역시 쉽게 느끼거나 표현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남성의 남성적인 성역할 태도가 강할수록 중년기 위기감이 높아질 수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년 남성에게 심리내적인 성찰의 여유가 없을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정도를 탐색하여 심리적인 안녕감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상담 장면에서 중년 남성의 심리적 갈등과 감정의 자각 및 표현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입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e present study dealed with two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Firs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men’s gender role and their mid-life crisis and then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 gender role and the mid-life crisis. In the present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iddle-aged men would find out some other internal inclinations that they had not known in the course of their mid-life development. Also, this research seek some variables that would lower the level of conflict of the middle-aged men’s psychological crisis due to their rigid gender role when they should otherwise manage their integrated self-adjustment calmly. In this study, all the questionnaires were self-report format. A packet of questionnaire was given to middle-aged men living in Seoul, in Incheon and in the Province of Gyeonggi-do. This survey began with measuring the middle-aged men’s gender role attitude by means of the typical Korean men’s gender role criteria. The criteria included five categories: achievement-orientation, the initiative, task-orientation, responsibility for family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To check the “self-acceptance”, I used the method originally developed by Chamberlain and Haaga (2001), later modified by H.S. Kim (2005) and finally adapted by myself to fit the adults of the present research. For “mid-life crisis”, I used the one developed and later revised by Kim (1991). It was divided in 6 categories: emotional crisis, individuation, loss of will for life, dissatisfaction with work, unhappy marriage and children’s problem.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technical statistical values of the main measuring variants were derived and then the distribu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collective difference of the demographic variations of the participan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nts, Pearson’s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ed them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the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mid-life cri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middle-aged men’s attitude toward their gender role, the mid-life crisi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s pro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attitude to the gender rol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cceptance. At the same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cceptance was, the higher the mid-life crisis they have felt. Secondly, two categories of the gender role attitudes, namely, family responsibility and achievement-oriented categories, has shown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the mid-life crisis. This proves that a large part of the gender role attitude of the Korean middle-aged men derives from the task-oriented natu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finance. It can be deduced, therefore, that a more strongly internalized man in gender role can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satisfactory performance, which in turn will strengthen his attitude toward the gender role. Thirdly, the self-accept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mid-life crisis. We can posit, therefore, that in the case of the Korean middle-aged men, they internalize the external values without being aware of them but adapt their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level of the self-acceptance to the societal expectation. Accordingly, they did not take the mid-life crisis too seriously nor express themselves to that effect. After all,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gender role attitude is, the higher the mid-life crisis can be as they have no time to spare for an in-depth self-examination. The present research seek it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has made an attempt to find a factor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fear resulting from their mid-life crisis. Consequently, many different ways of intervention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in the field of counseling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 emotional consciousness and difficulty of expression on the part of the middle-aged 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