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방과후 학교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Title
방과후 학교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he After-school Class
Authors
정옥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방과후 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방과후 학교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방과후 학교 참여 실태 및 수업 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둘째, 방과후 학교의 운영취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셋째, 방과후 학교 운영과 문제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넷째, 방과후 학교의 교육적 성과와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시내 중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40부의 자료를 회수하여 그 중 237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²(Chi-square)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학교 수업 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수업에 참여 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다만, 늦은 시간까지 운영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교사들도 자유 시간을 빼앗기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방과후 학교 수업 운영에서 교사의 참여는 자유 시간 확보가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학교 방과후 학교의 교과 관련 수업은 교사의 참여가 90.2%를 나타내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따라서 방과후 학교의 수업 참여는 담당 교과에 대한 수업의 연장으로 인식되어 부담감이 가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담을 줄여주며 자유 시간 확보를 위한 대안이 요구된다. 반면 방과후 학교에 대한 참여 의식이 미흡하여 방과후 시간 할애에 대하여 부담감이 높은 교사들은 참여 인식을 제고하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그밖에 방과후 학교 교과 관련 교육이 주지교과에 편중되어 있으므로(교육과학기술부, 2010) 주지 교과 담당 이외의 교사들에게 방과후 학교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 마련도 요구된다. 둘째, 방과후 학교의 운영취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의 방과후 학교 참여여부와 관련 없이 기대효과와 적합한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며, 운영 주체에 대한 의견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방과후 학교를 통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학업 능력 향상’과 ‘사교육비 절감’을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인 교육 발달’에 대해서는 비교적 응답 비율이 낮았다. 방과후 학교 취지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내용은 교과 관련 보충 심화 교육이나 음악, 미술, 체육 등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정규 교과 교육 내용과 관련성이 많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교사들이 방과후 학교의 교육내용을 정규 교과 교육의 연장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방과후 학교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운영 주체에 대한 조사 결과는 전체적으로 ‘학교장 중심 운영’(36.7%)이나 ‘외부 위탁 운영’(35.4%), ‘지역 사회 협의회 구성에 의한 운영‘(20.7%)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방과후 학교 운영이 교사 참여에 의한 운영이어야 하는지, 방과후 학교에 기대되는 역할과 확대되는 규모에 대비하여 독립적인 운영 주체에 의한 운영이어야 하는지 탐구해 볼 필요가 제기된다. 셋째, 방과후 학교 참여 여부와 관련 없이 교사들은 방과후 학교의 운영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교사들이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아본 결과 ‘학부모들이 방과후 학교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낮은 인지도’, ‘지속성과 연속성이 없는 교육 내용 편성’, ‘학생들이 정규 수업 연장으로 생각하여 수강 기피’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학부모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운영하며,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마련이 요구된다. ‘학생들이 정규 수업 연장으로 생각하여 수강 신청 기피’하는 것에 대해서는 수요자 선택의 자율권 실행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방과후 학교가 보이는 운영상의 특징은 ‘저소득층,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비 지원’과 수요자가 운영비를 지불하는 ‘수익자 부담 원칙’ 그리고 ‘수요자 중심 운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요자 중심 운영’에 의한 방과후 학교 운영은 공급자의 편리보다 수요자의 필요와 요구를 먼저 생각하고 충족시켜 주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른 재원 마련은 방과후 학교가 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운영하기 위한 자원과 역량이 제한 될 수 밖에 없다. 넷째, 방과후 학교가 가져다 준 교육적 성과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학업능력 향상’과 ‘친밀해진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소질과 능력 계발’ 순으로 성과를 보고 있었다. 또한, 방과후 학교가 기여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들은 학원으로서의 역할(78.5%)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외에 보육센터로서의 역할(7.2%), 평생교육센터로서의 역할(6.8%)에 대해서는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이 방과후 학교의 기능을 학교 교과 교육의 보완에 한정하여 생각하는 것은 방과후 학교에 대한 이해 부족의 결과로 판단되며 따라서 방과후 학교의 목표 와 필요성, 실천방안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방과후 학교 참여 여부와 관련 없이 교사들은 방과후 학교가 공교육의 공간인 학교를 활용해서 학원으로서의 역할을 실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업 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으며, 교육적 성과로도 ‘학업 능력 향상’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방과후 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방과후 학교의 목표, 운영 방향, 교육 활동에 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방과후 학교를 학교 교과 교육의 보완으로 인식하는 것은 교사들이 방과후 학교 참여에 있어서 소극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 현재 방과후 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과 관련 교육은 주지 교과에 대한 보완이나 심화 교육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타 교과 교사들은 참여에 미온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방과후 학교의 역할을 학원으로서의 역할로 인식하는 것은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독립적인 운영 시스템을 요구할 수도 있다. 실제 교사들은 다양한 운영 주체에 대하여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방과후 학교의 교육 내용을 정규 교과 교육의 연장으로 인식하는 것은 학생들이 제한적인 범위에서 선택의 자율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현재 방과후 학교에서 지향하고 있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형태로 교사들에게 방과후 학교 이해를 제고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 기반을 두고 있는 방과후 학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방과후 학교의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교사들은 다양한 운영 주체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에 기반을 둔 방과후 학교의 역할과 규모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적합한 운영 주체에 대한 방안 마련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방과후 학교 운영에서 수요자 선택의 자율권 실행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학교 교과 교육과 관련한 교육내용이 방과후 학교에 적합하다는 교사들의 인식과 학생들은 정규 수업으로 생각하여 수강 신청을 기피한다는 결과와 연계하였을 때 실질적인 수요자 선택의 자율권 실행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수요자 중심 운영을 특징으로 하는 방과후 학교가 제한된 영역과 범위에 의해 운영되는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방과후 학교 참여에 소극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교사들의 참여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주지 교과 이외의 교사들에게는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he after-school class and inquire into the meanings of the school and search for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the attainment of this purpose, first, it is going to examine the teacher's satisfaction about the actual state of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and second, understand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after-school purpose of the operation and third, that about school operation and operational problems and fourth, that about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roles of after-school class.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300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240 sets were collected to statistically treat 237 sets among them.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rough χ²(Chi-square)tes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bout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fter-school class, their satisfaction was overall high. But, they felt difficult in its operation until late time and even most of the teachers who didn't participate replied that they didn't want to be deprived of their free time. Considered this result, it is judged that one of important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s teacher's free time guarantee for teacher'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class operation.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related class of the middle school after-school class appears as 90.2%.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Accordingly, class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class is recognized as a class extension of a teaching subject so that a burden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re needs a countermeasure to reduce a burden and secure free time.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recognition about the after-school class is not sufficient and the teachers with a high burden about after-school time allocation is required to raise participation recognition and a new plan to allow a motive is required. Besides, because the after-school curriculum related education is focused on the main subject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it is demanded to prepare for a plan to provide teachers who are not in charge of the main subjects with participation chances in the after-school class. Second, as a result of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for the after-school class, regardles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class,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s between expected effects and adequat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opinion of the operating bo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after-school class, they most positively recognize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and showed relatively a low reply rate for 'all-round education development'. It was replied that adequat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for the after-school class were curriculum related supplementary advanced education or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and etc. These educational contents are the result which shows lots of relationship with regular curriculum contents and it is considered that teachers recognize the after-school curriculum as the extension of regular curriculum. As for the question of a proper operating body for the after-school class, the investigation result was 'president centered operation' (36.7%) or 'outsourcing operation' (35.4%) and 'operation by community council composition' (20.7%) in order. This result raise a necessity to inquire into the points whether the after-school class operation should be made by teacher's participation or by an independent operating body in preparation for the expected roles and extensive scale to the after-school class. Third, regardless of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class, teachers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the after-school class operation and problem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eacher's recognition as problems in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class, it was shown as 'parent's low recognition about the after-school class', 'educational content composition without sustainability and continuity' and 'student's learning evasion from thinking it as extension of a regular class' in order. For the raise of recognition, it is demanded to install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in compliance with parent's demands and need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publicize the programs. As for the phenomenon of 'student's learning evasion from thinking it as extension of a regular clas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consumer's selective autonomy is allowed within a restricted scope. Furthermore, as for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seen from the after-school class, it was shown as 'educational expenses support for the low class and estranged class' and 'beneficiary principle' of the operating expenses paid by consumers and 'consumer focused operation' in order. Th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class by 'the consumer focused oper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to first consider the consumer's necessities and demands to satisfy them ahead of supplier's convenience. Revenue source preparation by the 'beneficiary principle' is supposed to restrict resources and abilities for initiative program support and operation by the after-school class. Fourth, as a result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brought by the after-school class, teachers thought the achievement as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and 'intimate relationship of students and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o school life' and 'talent and ability development' in order. Moreover, as a result of a questionnaire for the most important role contributed by the after-school class, teachers most considered the role as an academy (78.5%), then the role as a care center (7.2%) and lastly the role as a life-long educational center. Like this,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why the after-school class' functions are thought to be restricted to supple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for the after-school class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ais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goals and necessities and practical methods. When it comes to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regardless of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clas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after-school class performed the roles as an academy by utilizing the school as space of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the biggest expectation was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an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was highest recognized as an educational achievement. These recognitions of teachers about the after-school class can influence even the school's goals, operational direct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ghe after-school class. Restriction of the after-school class participation to the curriculum supplement makes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class passive. At present, the subject related education performed in school is mostly supplement of the main subjects or advanced education so that other subject teachers cannot help being half-hearted with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class. Furthermore, recognition of the after-school class role as the role as an academy can demand an independent operating system about the after-school class operation. In fact, teachers showed open-minded attitude to various operating bodies. Then,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after-school class as extension of the regular curriculum has a limit that students only can execute the selective autonomy within a restricted scope. This study suggests what types can rais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the after-school clas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current after-school clas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after-school class based on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scale of the after-school class is rapidly expanding and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 various operating bodies. Accordingly, preparation for a plan about adequate operating bodies should be searched through examination about the roles and size of the after-school class based on school. Second, investigation about autonomy performance of consumer selection in th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 class is required. Considered that teachers recognize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re suitable for the after-school class but students evade lecture application due to student's recognition of the after-school class as the regular class, investigation about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consumer selective autonomy is necessary. It is required to review whether the after-school class with characteristics of consumer focused operation is under operation within a restricted area and scope. Third, it is demanded to raise the participation recognition of passive teachers in the after-school class participation and teachers not in charge of the main subjects need to be provided with various participation cha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