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김선영-
dc.creator김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확대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15개의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초등학교 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자료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인식은 전체 평균 3.75점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잘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은 전체 평균 3.3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실시되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학교교육의 다양화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인식은 전체 평균 3.35점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공교육을 강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은 전체 평균 2.97점으로 다소 낮은 수치였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필요한 이유로는 학교 특성에 알맞은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교육과정 자율화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 형식적으로 만들어 운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넷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해 참고하는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집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관한 연수를 받아본 경험이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개인적 전문성의 정도는 대다수의 교사가 낮은 편이라고 반응하였다. 다섯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방향이 특색 있는 학교 운영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 수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의견과 창의적 인재의 양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최적의 교육성과를 추구해야 한다는 의견과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의 인식이 가장 낮았다. 여섯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해 교육과정 편성에 참여해야 하는 사람으로 교사들, 교장, 교감과 학부모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수업 시수 증감 유형으로는 기준 시수를 중심으로 증감 균형의 방법이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리고 늘어난 수업 시수를 운영하는 방법으로는 학기 중 탄력적으로 운영 한다가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다. 교과별 시수 조정 결과는 국어, 수학, 영어 교과는 수업 시수를 약간 증가시키고, 사회, 과학, 체육, 미술, 음악 교과는 수업 시수를 유지시키며, 실과와 도덕 교과에서는 수업 시수를 약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화를 위해 기초․기본 학습 영역과 수준별 학습 영역, 체험 활동 영역, 의사소통 중심 외국어 교육 영역,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영역은 약간 증가시켜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추가된 시수를 통해 제재 및 단원 내용과 관련된 토론 및 노작 활동과 현장 체험 활동, 실험 및 탐구 활동과 수준별 심화 학습이나 보충 학습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화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 자율화 추진 방안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교사들에게 학교 자율화 추진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들을 위한 교육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장, 교감, 교사, 학부모가 서로 모여 교육과정을 편성하는데 있어서 숙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수업시수를 조정하는 데 있어서 국어, 수학, 영어 등의 교과에서 기초 기본 학습 영역과 수준별 학습 영역, 학교 특색 활동 영역, 체험 활동 영역, 인성 교육 영역, 의사소통 중심 외국어 교육 영역을 강화시키고, 토론 및 노작 활동과 현장 체험 활동 그리고 실험 및 탐구 활동, 수준별 심화 및 보충 학습 활동을 중점적으로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의 차이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면담과 같은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화 모형에 관한 연구와 학교 단위 교육과정 자율화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의사결정 체제 간의 권한과 책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 중인 학교 자율화 정책들이 실효성 있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실증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autonomy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reby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about the direction of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7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the subject with 1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s the population, and the materials that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7.0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and the cross tabulation and contingency table analysis and the χ²(Chi-square) examina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underlying indicato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the teachers about the autonomy plan of the school curriculum was relatively low, and the awareness about the impact of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was also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ough most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school curriculum in that an education that is proper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can be conducted, they were evaluating that the degree of expertise about the autonomy of schools was low. Second,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pursue the nurture of diverse and creative talents and should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that can help address the problems that occur in the cours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so far. In addition, they said that the school autonomy is helpful for the operation of schools and it should focus on collecting the educational demands of the students. They said that the curriculum autonomy can pursue the most suitable education achievement. Third, the teachers want the teachers, principals, vice-principals and parents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the school autonomy. Fourth, they were thinking that the class hours for the curriculumautonomy should be operated as the type of balance of increase and decrease that makes the increase and decrease the same with the standard hours as the center. In addition they were thinking that it is proper that the class hours that are increased due to the curriculum autonomy are organized and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easons and events at a certain time during the semester. Fifth, they were thinking that when adjusting the hours of each subject for the autonomy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the hours for Korea, math and English should be somewhat increased and the hours for society, science, physical education, the fine arts and music should be maintained and the hours for practical arts and ethics should be a little decreased. Sixth, the respondents were thinking that the basic learning province, the learning for each level province, the experience activity province,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centering on communication province and the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province should be a little increased. In addition, they were thinking that through the added hours the debate and elabor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topic and contents of the chapter, the field experience activities, the experiment and research activities, the intensive learning for each level and the supplementary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intensified. The suggestions about the autonomy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promote the plan for the school autonomy enough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and educational systems should be arranged. Second, a decision-making system of the school in which principals, vice-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can gather and ask and debate about the general opin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unit school should be arranged. Third, when adjusting the class hours, in the subjects such Korean, math and English the basic learning province, the learning for each level province, the experience activity province, the self-leading learning activity province and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centering on communication province should be intensified and the debate and elaboration activities, the field experience activities, the experiment and research activities and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learning for each level activities should be intensified in prior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학교 자율화 5 B.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10 C.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추진 경과 13 D. 선행 연구 고찰 25 Ⅲ. 연구 방법 30 A. 연구대상 30 B. 조사도구 32 C. 자료의 처리 33 Ⅳ. 연구 결과 34 A.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및 운영 실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34 B.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이 주는 영향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36 C.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39 D.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준비 실태 42 E.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방향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47 F.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법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54 Ⅴ. 요약 및 결론 63 A. 요약 63 B. 결론 67 C. 제언 70 참고문헌 72 부록 75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1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육과정 자율화 실천 방안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the Practice Plan of the Autonomy of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Kim, Sun Young-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