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Title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Role-play Based Self-Advocacy Instruction on the Performance of Self-Advocac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정희승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ole-play based self-advocacy instruction on the performance of self-advocac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in high school. A group of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role-play based self-advocacy instruction was compared with the similar group of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t. The instruction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total of 17 sessions during a winter vacation before they advanced to the next higher school year. The instructions were as follows: 1) instructing self-advocacy in physical bullies; 2) instructing self-advocacy in verbal attack and harrassment; 3) instructing self-advocacy in sexual molestation; 4) instructing self-advocacy in being stolen. In this study, 'The self-advocacy evaluation scal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self-advocacy in bullied or coercive situations. The self-advocacy evaluation scale consists of following sections: 1) self-advocacy in physical bullies; 2) self-advocacy in verbal attack and harrassment; 3) self-advocacy in sexual molestation; 4) self-advocacy in being stolen.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self-advocacy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sed by the Mann-Whitney U tes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role-play based self-advocacy instruction displayed the higher total score of self-advocacy than the control group did.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an be found in every score of each four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n the self-advocacy, decision-making in coercive situations, and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especially in the area of studen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지적장애 학생들은 부당한 상황에 처해 억울한 입장이 되었을 때, 또는 괴롭힘을 당하거나 성추행을 당하는 위험 상황에 놓이게 되었을 때 적절하게 자신을 옹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로 지적장애 학생들은 동료 학생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하는 주요 대상이 되기 쉽다.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현재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괴롭힘, 성추행을 당하거나 자신의 물건을 빼앗기는 상황에서 어떻게 자신을 옹호해야 하는지에 대해 교수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에게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를 실시하여, 이러한 자기옹호 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학생 30명이며, 이 중 15명은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나머지 15명은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이다. 본 연구에서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에는: (1)신체적 공격을 당하는 상황, (2)언어적 공격 및 유인을 당하는 상황, (3)성추행을 당하는 상황, (4)자기 물건(돈, 귀중품 등)을 빼앗기는 상황에 해당하는 17가지 역할극과 이와 관련된 자기옹호 교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 중재가 실시된 이후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자기옹호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자기옹호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자기옹호를 평가하였다. 두 집단 간의 초기 자기옹호 수준 차이와 중재 종료 후 자기옹호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옹호 사전, 사후 평가 점수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옹호 점수는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자기옹호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4가지 영역별, 즉 (1)신체적 공격을 당하는 상황, (2)언어적 공격 및 유인을 당하는 상황, (3)성추행을 당하는 상황, (4)자기 물건(돈, 귀중품 등)을 빼앗기는 상황에서의 자기옹호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역할극 중심 자기옹호 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옹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적 공격, 언어적 공격․유인 및 성추행을 당하는 상황, 자기 물건을 빼앗기는 상황에 적합한 자기옹호를 교수한 연구가 거의 없는 국내 상황에서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옹호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기옹호 교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