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추론오류 이해점검능력 비교

Title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추론오류 이해점검능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Comprehension monitoring within the context of inference error between language learning disabled children and non-language learning disabled peers
Authors
정선화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학령기 아동들이 또래 및 교사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신의 생각과 다른 부분을 구어적으로 수정하는 것은 대화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과정은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설득시키는 것으로 일상생활을 하면서 필수적인 부분이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생각을 설득시키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해한 것에 대해 점검을 하는 과정이다. 이해점검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맞지 않는 부분을 비구어적 및 구어적으로 탐지 한 후 맞게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Dollaghan, 1987). 그러나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은 이해점검에서 어려움을 가진다. 이러한 이해점검의 어려움으로 인해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은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서 수동적인 입장이 되거나 엉뚱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이해점검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평가와 중재를 통하여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이 효율적인 의사소통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이야기를 사용한 이해점검능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Dollaghan, 1987; 김정미,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 이야기가 어디에서 잘 못 되었는지를 찾을 수 있는 능력인 이야기 추론오류 이해점검능력에 있어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학년일치 일반아동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을 위한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 15명과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추론오류 이해점검능력을 알아보았다. 이해점검능력은 탐지능력과 수정능력으로 나누고 추론오류는 사물 및 사람추론오류, 공간적추론오류, 인과적추론오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집단과 이해점검능력 및 추론오류 영역 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할구획요인설계(split plot factorial design)를 하였으며, 이를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 삼원분산분석(3-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2-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추론오류 탐지 후 수정하지 못한 추론오류 수정과 과잉수정은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과 이해점검능력 및 추론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학습장애 집단이 학년일치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이해점검능력과 추론오류 영역에서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집단과 이해점검능력 간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추론오류 탐지능력에 따른 집단과 추론오류 영역의 차이에 대한 결과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학습장애 집단이 학년일치 일반아동 집단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추론오류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론오류 영역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야기 추론오류 수정능력에 따른 집단과 추론오류 영역의 차이에 대한 결과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학습장애 집단이 학년일치 일반아동 집단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추론오류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학습장애 집단에서 사물 및 사람추론오류 수정이 인과적추론오류 수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학습장애 집단이 학년일치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추론오류 탐지 후 수정하지 못한 추론오류 수정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언어학습장애 집단이 학년일치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과잉수정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일반아동에 비해 이야기 추론오류 이해점검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론오류 탐지 후 수정하지 못한 빈도수와 과잉수정의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이해점검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중재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이해점검능력을 탐지능력 및 수정 능력으로 나누어 다양한 추론오류 유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추론오류에 대해 탐지 하였으나 수정 하지 못한 추론오류 수정과 과잉수정에 대한 질적분석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prehension monitoring including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within the context of inference error including object-person, space and extrapolation in language learning disabled children and non-language learning disabled peers.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15 language learning disabled children and 15 non language learning disabled peers in grades 4. LLD children and NLLD children recruited from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he children's responses on the comprehension monitoring were analysed in both the aspect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to measure the number of responses.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to examine the number in detecting inference error but failed to correct it and excessive correction within the appropriate contex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comprehension monitoring and inference error task than NLLD. Second, L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detecting error task than NLLD. Third, L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correcting error task than NLLD. Fourth, LLD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detecting inference error but failed to correct it than NLLD. Fifth, LLD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excessive correction within the appropriate context than NLL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y that the LLD have inferior ability of comprehension monitoring in detection and correction within the context of inference error including object-person, space and extrapol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LPs need to evaluate and treat language abilities of LLD children by using comprehension monitoring within detection, correction and various inference error and that they need to consider patterns of LLD children detected inference error but failed to correct it and excessive correction by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