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일기 유형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기 유형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Task Type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Authors
권나나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혜순
Abstract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in Korea is to develop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English language and to cultivate communicative competence both in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ince the English language is the major medium of communication nowadays with its written form seen everywhere, teaching students how to write in English at elementary school level is of vital importance. In reality, however, teaching writing skills has been neglected compared to oral skills. Also, teachers have mainly emphasized grammar points of the language, not writing ability itself, even in writing classes. As such, teachers and researchers alike have insisted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in elementary school so that students can satisfy their needs for expression and reinforce other language skills as well through participating in various writing activit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diary writing tasks to promo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and to enable them to sustain their own voluntary writing practi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task type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o that e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one month with 65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kept diaries with pictures(picture diary group), and the other without pictures(written diary group). All the students kept two diaries a week with or without pictures according to their group.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from both the picture diary and written diary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skill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impro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at is, both of the picture diary and written dairy writing tasks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writing ability. However, the effects of the two writing task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Upper leve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writing ability improvements when assess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o be specific, high proficiency level students in the picture diary group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the free writing test whose goal is to assess fluency in writing as well as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writing, while the same level students of the written diary group showed great improvement in the pencil and paper test whose aim is to measure accuracy in writing. Upon these findings,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upper level students in the picture diary group developed fluency in writing, while those in the written diary group improved accuracy. Second, the results of pre- and post-questionnaires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picture diary group obtain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writing competence than those in the written diary group. Also, the students in the picture diary group responded that they have gained confidence in sentence writing and general writing. Third, the post-questionnair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both the picture diary and written diary tasks, even though they had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keeping picture diaries or written diaries due to lack of linguistic knowledge such as spelling, vocabulary, or grammar.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 students could gain not only linguistic knowledge for the English language itself but overall general English skills such as vocabulary, writing, and speaking through the picture diary or written diary writing tasks. In addition,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could develop positive affective factors on English writing through the picture or written diary writing tasks. As suggested above, the application of picture diary and written dairy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i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students' writing skills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English writing. Therefore, when teaching writing skills,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and effective diary writing tasks based on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the purpose of the writing class. In addi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should strive to devise a wider variety of diary tasks appropriate for different purposes and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of students.;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초등 영어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영어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의사소통 능력은 구두 언어와 문자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모두를 의미한다. 또한 매스컴의 발달과 인터넷의 사용 증가로 영어 문자를 자주 접하게 되는 현실에서 초등 영어교육에서의 쓰기의 초기 지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초등학교 5학년부터 도입되는 문자언어 지도는 음성 언어에 비해 수업 비중이 낮을 뿐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보다는 언어 능력 자체를 강조하고 있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쓰기는 학습자의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다른 언어 기능을 강화해주고 오랜 시간동안 단계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쓰기 학습 입문기인 초등 영어 쓰기는 매우 세심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특히 초등 학습자들이 영어 쓰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의 활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쓰기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일기쓰기 활동을 주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기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학생 65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주 2회씩 속한 학급에 따라 문자일기 또는 문자․그림일기(이하 그림일기) 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과제 전․후에 지필고사 및 자유 작문 평가,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자일기 혹은 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통하여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일기 유형에 따른 학습자 쓰기 능력 향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문자일기와 그림일기 쓰기 활동 모두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일기 유형에 따른 쓰기 능력 향상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일기 유형에 따른 쓰기 능력 향상을 학습자 수준별로 비교해보면,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두 집단 모두 상위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쓰기 능력 향상을 가져왔으나, 두 집단 모두 하위 학습자들에게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위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언어 사용의 정확성을 측정하는 지필고사 결과에서는 문자일기를 쓴 집단(이하 문자일기 집단)이 그림일기를 쓴 집단(이하 그림일기 집단)보다 좀 더 큰 향상을 보였으며, 글의 유창성과 의미 전달의 자연스러움을 측정하는 자유 작문 평가 결과에서는 그림일기 상위 집단이 문자일기 상위 집단보다 쓰기 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두 평가 유형의 평가 영역이 각각 다른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 결과로부터 문자일기 상위 집단 학습자는 실험 후 쓰기 정확성이 증대되고, 그림일기 상위 집단 학습자는 쓰기 유창성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실험 후에 그림일기 집단이 문자일기 집단보다 쓰기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문장쓰기 자신감과 전반적인 쓰기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에 관한 학습자들의 사후 심화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학습자들은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및 동기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개방형 사후 심화 설문에서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하며 철자나 단어, 문법과 같은 언어적 지식이 부족하여 쓰기가 어려웠다는 응답을 많이 하였고,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통하여 언어적 지식을 늘리고, 영어 쓰기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기를 수 있어 좋았다고 응답했다. 또한 학습자들은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이 단순히 쓰기 실력만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쓰기와 관련된 단어 실력, 문법 능력, 말하기 능력, 더 나아가 전반적인 영어 실력 향상을 이끌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자일기 및 그림일기 쓰기 활동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고, 각 일기 유형이 가지고 있는 특징에 따라 쓰기 학습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교육 목적에 따라 일기 유형을 선택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유의미한 쓰기 능력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기가 가진 다양한 장점들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종합적으로 계발한다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쓰기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