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읽기영역분석
- Title
-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읽기영역분석
- Other Titles
- An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in 7th Grade English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spects of reading passages and reading activities
- Authors
- 이진화
- Issue Date
- 201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박시영
- Abstract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7th grade English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study, seve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randomly chosen and investigated in terms of topics, passage types and the level of difficulties in the reading passages, and reading activities in the main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variety of topics of reading passages, moving from personal topics to more inclusive ones, such as social relations and cultural issues, were presented as the units progress.
2. Regarding the types of reading passages, exposition and narration were found to be the major types used in the textbooks.
3. The study also found wider gaps in the level of difficulty among the textbooks, measured by the vocabulary and readability used in the reading passages.
4. With regard to the reading activities in the main textbooks such as pre-reading, while-reading, post-reading activities and the reading activities in the activity books such as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activities, they have lack of variety and balance in terms of organization.
5. All the invested textbooks satisfied seven reading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revised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ut of eight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extbook writers and implications for textbook development are suggested.;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제작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를 분석하여 읽기 지문의 내용 및 형식의 균형과 다양성, 교과서 간 난이도를 조사하여 개정 교육과정의 반영도를 조사하고 차후에 개발될 교과서 제작을 위한 참고 자료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7종을 임의로 선정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 영역의 읽기 지문과 읽기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읽기 지문은 읽기 소재, 유형, 난이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읽기 활동은 교과서의 읽기 전, 중, 후 활동과 학습활동책의 수준별 읽기 활동을 각 교과서별로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지문의 소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소재 영역을 고루 포함하고 있었다. 개인 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문화관련 소재로 점차 소재의 영역이 넓어지는 형태를 띄며, 다양한 소재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읽기를 할 수 있게 하며, 기존의 배경지식과 학습할 내용의 연계성을 강조하여 읽기 지문의 이해에 기여하였다.
둘째, 읽기 지문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글의 유형 분포가 불균형하고 교과서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7종 교과서 모두 설명문과 이야기에 치중되어 있어 개정 교육과정의 지침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어휘변이(Type-Token Ratio)와 교육과정 기본어휘 검정 프로그램(RANGE32KBE지)을 통한 교과서의 어휘 난이도 분석 결과, 교과서 제작과정에서 교과서 어휘 난이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 단원으로 올라가면서 기존에 학습한 어휘를 바탕으로 기존의 어휘를 반복하며 새로운 어휘는 일정 수준으로 제공해 주어 난이도가 한 단계씩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단원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끊임없는 자극을 주며 학습을 유도하는 어휘의 구성이 요구된다.
넷째, 이독성(readability) 분석 결과, 교과서별로 제시된 읽기 지문이 대체적으로 읽기 지문의 난이도가 충분히 조절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초반부의 단원들과 중반부의 단원들 그리고 후반부의 단원들 간에 이독성의 편차가 크며, 일정하게 난이도가 올라가는 형태가 아니었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인지수준과 학습 발달 과정을 고려하여 단어나 문장의 길이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교재 내에서 읽기 활동의 세 단계, 읽기 전, 중, 후 활동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활동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한, 두 가지의 읽기 활동 유형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읽기 전 활동은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에 대답하기’ 유형이 대부분이며, 읽기 중 활동은 특정정보 관련한 질문에 답하기‘, 읽기 후 활동은 ’세부내용과 관련된 질문에 답하기’와 ‘세부내용 짝짓기’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학습활동책의 수준별 읽기 활동의 분석결과, 대부분의 활동이 사실적 정보이해 확인하는 활동에 치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응용을 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 자신의 배경지식이나 경험과 연결 지어 새로운 정보를 내재화하고 이를 토대로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읽기 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각 수준별로 다양한 활동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수준별로 특정 활동이 많이 제시되어 있었는데, 상 수준에 해당하는 심화 단계에서는 ‘읽고 물음에 답쓰기’ 활동 유형에 집중되어 있으며, 하 수준에 해당하는 기본 단계에서는 ‘4지/5지 선다형’, ‘내용과 그림 연결하기’ 활동 유형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교과서의 경우, 수준별로 다른 활동이 제시되지 않고, 언어 난이도만을 조정하여 보충, 기본, 심화의 3 수준에서 모두 같은 활동이 구성되어 다른 교과서와 차별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각 교과서의 중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기준에 따른 반영도를 조사하였다. 8가지의 성취기준 중 ‘모르는 낱말이나 어구를 사전에서 찾아 의미를 이해한다’는 성취기준을 직접적으로 만족시킬 활동을 제시한 교과서는 없었다. 사전에서 직접 단어를 찾는 활동은 없었으나, 모르는 낱말이나 어구를 활용한 활동 제시는 많이 있어, 성취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다른 7가지 성취기준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잘 만족시키고 있었다. B와 F교과서만 ‘일상 생활과 관련된 도표가 포함된 글’의 읽기 지문을 다루지 않았을 뿐 다른 교과서들은 충실히 성취기준을 반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읽기 지문의 소재, 형식, 난이도, 각 읽기 활동에 대한 7종의 교과서의 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수정․보완 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해볼 수 있다.
첫째, 글의 형식에 있어 설명문, 이야기 글 등 특정 형식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형식의 글을 제시하도록 한다.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장르의 글을 포함하여 지문을 제시하여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기준에 알맞도록 한다면 학습자의 형식 스키마를 길러주어 읽기 지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과서의 단원 간에 어휘의 반복 정도나 새로운 어휘의 포함정도가 불균형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가 지문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주므로, 학년 수준에 적절하며, 점진적으로 증강되어 나가도록 난이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셋째, 단원 간 이독성에 있어, 학습자의 인지수준과 이해정도를 고려하여 각 단원별로 적절한 수준의 차이를 두어 읽기 교과서를 좀 더 체계적으로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읽기 지문에 대한 이해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하여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단계별 읽기 활동이 좀 더 다양하게 제시되어 학습자들이 보다 능동적으로 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습활동책에 제시된 수준별 읽기 활동 역시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수준별 난이도 차이를 읽기 활동 유형에 두는 것이 아니라 언어 난이도를 조절하여 학습자들이 다양한 유형의 활동을 접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들이 읽기 기술과 전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