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상위 및 하위 영어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언어적 특성 연구

Title
상위 및 하위 영어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언어적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ask Type on the Interactions and Linguistic Features between High Level Students and Low Level Students
Authors
정소운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These days, interactive learning procedur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especially when people start to realize that language cannot be learned properly through one-way input. In order to successfully teach a language, small group approach has been claimed to be most effective to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y. To prove the credibility in this claim, this researcher conducted an experiment in a group of high-school students; this group was formed with both those who are comfortable in communicating in English and the ones with basic communicative skills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interactions and the linguistic features between the students with different oral abilities. They have participated in two types of task; convergent task and divergent task which reveal the following analysis. First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high level students and low level students participating in both type of task were analyzed in two categories, which include negotiation of meaning, characteristics of locution. Secondly, linguistic features were analyzed in four aspects, which are total number of words, turn-taking, AS-units, self-correction. Those features are classified with the task type and the level of the students. Thirdly, the effect of communicating in English regarding the learner's affective domain which is defined as interests and self-confidence in English. In this way, more detailed analysis can be informed such a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bout the type of tasks and small group activity through the open questions and the interview.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20 and they ar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2nd grade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members by two different level in each group, two of them are high level students and the rest of them are low level students. Those students were selected by the speaking test in advance. The experiment was done over about two-month period. For the first third week,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orientation. The orientation includes dividing groups on the basis of English speaking test and filling in a questionnaries. From then on, small group activities took place for two and three weeks on two kinds of task types which were included convergent task and divergent task. The subcategories of the tasks were chosen in terms of the party planning and discussion the wearing of unifor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oth quantatives and qualitative methods.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ly, according to the strategies of negotiation meaning by Ellis(2003), the mean percentage of clarification request was used more than any other strategies in the convergent task. Otherwise, when students participate in the divergent task, they used a lot of the comprehension checks. Secondly, more multi-clauses were found in the high level students joining in the divergent tasks. In the case of divergent task, it wa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use more logical thinking and expression in order to persuade and make people understand while it is much easier and simple word and phrase when they say with the convergent task. Thirdly, the linguistic feature has been presented as following. The divergent tasks were composed of more total number of words among students than the convergent task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urn-taking were much more in the convergent tasks because students used shorter sentences than those in the divergent tasks. In addition, the convergent task show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S-units of the students because they used more complex sentence in the divergent tasks while they talked in a short sentences or phrase with more fluency. Fourthly, the high level students showed reasonable number of self-error correction. However, most of the low level students failed to discover and realize their error. As a result, they couldn't find and correct their error by themselves. Moreover, high level and low level students were less interested in the correction and feedback of the syntax and lexis of speaking. They tended to focus on content more rather than the form of language. Unless there is any problem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they commonly didn't care about the error correction. Last but not least, the finding suggested most participants showed higher confidence and interest of speaking compared to the questionnaries before the study. Most students think the small activities have the positive aspect to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y and they commented various kinds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bout convergent and divergent task. In conclusion, the experiment showed some important pattern of interactions and different linguistic features between high level and low level students. Also, they were affected by the different types of tasks which was convergent and divergent task.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small group speaking in English will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factors to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realize the difference of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speaking ability as well as the implement the small group activities effectively for the low level students to participate more in English education. Knowing these actual practice patterns and differences on the task type would be important for teachers to encourage the lower level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more effective way that meets their students' needs and wants. Finally it will allow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y as well.;요즘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진 영어 말하기 수업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학습의 주체자를 학습자로 생각하여 서로의 상호관계를 통해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수업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는 구성주의 신념에서 볼 때,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경험, 지식, 흥미를 토대로 이루어 진다는 기본 개념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 교육 역시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 습득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rown(2001)은 또한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의미 협상 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어떻게 말할 것인가, 언제 말할 것인가, 무엇을 말할 것인가와 같은 담화 규칙을 익힐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부에서도 이런 추세와 필요성에 따라 실제 생활과 연관된 상황 맥락 속에서의 영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 7차 교육 과정에 학생 중심 활동과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소집단 학습, 과업 중심, 논리력, 사고력 및 창의력을 많이 권장하고 있다(교육부, 1997). 하지만, 한국의 고등학교 수업 과정에서 말하기 수업에 적합한 소집단의 구성 변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부족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적절한 주제 선정에 대한 확실한 방침 역시 부족한 편이다. 게다가, 과업 유형 중심의 학습과 일반 학습을 비교하여 결과적인 점수 차이를 비교하거나 과업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의 정도를 수치화 하는 것에 그치고 더 나아가 학습자들이 소집단의 구성원들과 과업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학습을 진행하고 또는 언어적인 측면에서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활동의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소집단 구성원으로써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가 섞여 있는 이질 소집단을 구성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체로 상위 학습자, 중위 학습자 그리고 하위 학습자들을 수준별로 구성하여 동질 집단을 형성한 후, 언어 능력 향상의 차이점을 비교한 결과, 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은 언어 능력 향상이나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하위 학습자들끼리 소집단을 구성하는 것은 큰 효과가 없다는 다른 연구를 바탕으로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가 섞여 있는 이질 소집단을 구성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상호작용의 분석 방법으로 과업의 유형에 따른 의미협상 전략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가 서로 의사소통을 할 때 나타나는 발화의 양상을 알아본다. 그리고 상호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의사소통 참여수와 발화 단어 수 그리고 복잡성과 유창성을 파악할 수 있는 AS-unit 수를 분석하여 실제로 두 가지의 다른 과업 즉, 수렴적 과업과 발산적 과업을 수행했을 때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의 차이점을 수준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소집단과 과업 유형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정리하여 수준별로 선호하는 과업의 유형과 소집단 활동과 과업에 대한 장점과 단점들을 심도 있게 살펴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한국 고등학생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약 두달 동안 사전 평가와 과업 시행 그리고 과업 완성 후의 설문조사 기간을 거쳐 관찰하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로 구성된 이질 소집단 내에서 의사소통 활동을 한 결과 수렴적 과업과 발산적 과업을 수행했을 때의 의미협상 전략 차이가 나타났다. 수렴적 과업을 수행할 때는 명료화 요청(clarification request)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발산적 과업을 수행할 때는 이해점검(comprehension check)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과업의 특징이 분명히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의미협상이 이루어지는 방식도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발산적 과업을 수행할 경우 교복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토론을 하기 때문에 종속절이나 등위절이 포함된 복잡한 문장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수렴적인 과업일 경우 파티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논리적으로 설득하기 보다는 단순히 질문하거나 단답형으로 대답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복잡한 문장은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과업별 언어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수렴적 과업을 수행할 경우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차례수가 빨리 돌아갔고 하위 학습자의 참여수가 발산적 과업을 수행할 때보다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발산적 과업의 특성상 자신의 의견을 개인적 경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설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에 발화 시간이 길다는 것이다. 그만큼 하위 학습자들은 발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하지만 총 단어수를 분석한 결과 발산적 과업을 할 때 하위 학습자와 상위 학습자 모두 수렴적 과업을 수행할 때보다 총 단어수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차례는 적게 돌아오더라도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는 데 좀 더 시간을 많이 쓸 수 있으므로 말하기를 권장하는 과업으로는 발산적 과업의 형태가 하위 학습자들에게 필요하다고 보인다. 또한 AS-unit 수를 분석한 결과, 수렴적 과업을 수행할 때의 AS-unit 수가 더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발산적 과업을 수행할 때 등위절이나 종속절이 포함된 복잡한 문장을 쓰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짧고 쉬운 문장으로 자기 차례가 많이 돌아오는 수렴적 과업의 AS-unit 수가 더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국어의 사용에 있어서 하위 학습자의 경우 대화중에 모르는 어휘나 표현 때문에 자주 말을 머뭇거리거나 상위 학습자들에게 그 대답을 유도하는 질문으로 모국어를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따라서 과업을 시행하기 전에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필수 어휘나 표현들을 미리 익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기 수정 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위 학습자들은 발화 도중에 어휘나 문장 구성이 잘 못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바로 수정할 수 있었지만, 하위 학습자들은 잘못된 어법을 사용하여도 그냥 고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위 학습자들은 이러한 오류에 대한 교정을 잘 안 해 주었으며 동료 간에 교정을 해 주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틀려도 내용 전달에 무리가 없으면 그냥 대화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집단 활동에 대한 설문을 통해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소집단 활동을 한 후에 영어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늘어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과업의 유형 중에서 어떤 것을 더 선호하느냐는 질문에 상위 학습자들은 교복 찬성과 반대를 토론하는 발산적 과업 형태를 더 선호하는 반면에 하위 학습자들은 파티 계획을 만들어 하나의 의견으로 수렴하는 수렴적 과업 형태를 상대적으로 더 쉽고 재미있게 생각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과업의 유형에 따라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고 이질 소집단 활동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간단히 정리하면, 이질 소집단 활동의 장점은 서로 여러 가지 의견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 좋고, 어휘나 표현력을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므로 영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한 반면에 단점으로는 하위 학습자들이 상위 학습자들에 의해서 심리적으로 부담을 느끼고 대화가 중간에 끊길 경우 주로 상위 학습자들의 유도에 의해서 대화가 이어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해 대부분 최소한의 역할을 주문하였으며 학습자들이 골고루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다양한 표현력을 발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이질 소집단 구성의 특징과 양상 그리고 과업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언어적 특징과 정의적 태도를 분석하면서, 향후 교실 수업에서의 학습자 참여를 돕기 위한 영어 말하기 학습 유형과 구체적인 말하기 주제에 대하여 좀 더 관심 있게 연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