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만족 지연 능력과 주의 조절

Title
만족 지연 능력과 주의 조절
Other Titles
A Study of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and Attention Control :Intellectual Ability, Attachment Security and Strategies for Attention Deployment
Authors
서고운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는 만 4세 1개월에서 만 6세 2개월(만 29개월에서 72개월)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과 지능 수준, 애착 안정성 사이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지능의 측정은 지능의 여러 하위 영역(주의 저절 능력 포함)들을 측정하는 소검사들로 구성되어진 지능 검사 도구인 K-WPPSI를 이용하였다. 이는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이 전반적인 지능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만족 지연 패러다임 기저에 있는 주의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애착 안정성은 애착 Q-se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에게 주의 분산 전략을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하는 것이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즉 주의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는 외적인 주의 분산 전략 제공이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지를 검증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만족 지연 패러다임 기저에 있는 주의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주의 분산 전략을 제공하는 것(즐거운 생각 제안)과 만족 지연 능력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지능 수준과 애착 안정성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만족 지연을 위해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적인 도움과 아동 내적인 능력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종합해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들과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이 지능 수준,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주의 분산 전략을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하는 것이 만족 지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셋째, 주의 분산 전략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과 만족 지연 능력과의 관계에서 지능 수준, 애착 안정성의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과 어머니 54쌍으로, 아동의 연령은 만 4세 1개월에서 만 6세 2개월(만49개월에서 72개월)이었다.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은 만족 지연 실험(선우현정, 2009; Mischel, Shoda & Rodriguez, 1989; Mischel, Ebbese n& Zeiss, 1972)을 통하여 평정하였고, 지능은 지능의 여러 하위 영역들을 세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검사들을 포함하고 있는 K-WPPS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애착 안정성은 Q-se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들은 통제 집단(주의 분산 전략 제공 받지 않은 집단)과 실험 집단(즐거운 생각을 할 수도 있다는 주의 분산 전략 제공 받은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과 지능 수준,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은 만족 지연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아동의 지능 수준은 만족 지연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즉 아동의 지능 수준이 높을수록 만족 지연을 더 오래하였다. 특히 지능을 측정한 K-WPPSI의 소검사들 중에서 주의 조절 능력과 관련 있는 토막짜기와 산수 소검사의 점수가 높은 아동이 만족 지연을 더 잘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 수준과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 사이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둘째, 주의 분산 전략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이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만족 지연 시간 동안 즐거운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하는 주의 분산 전략을 제공하는 것은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경향성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의 분산 전략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과 만족 지연 능력과의 관계에서 지능 수준, 애착 안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주의 분산 전략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과 만족 지연 능력 사이에서 아동의 지능 수준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애착 안정성의 조절 효과는 검증되었다. 즉,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연구자가 제안한 주의 분산 전략(즐거운 생각 제안)을 더 잘 받아들여 본인의 만족 지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첫째,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은 아동의 지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의 조절 능력을 측정하는 소검사들과 만족 지연 능력 사이에 관련성이 높았던 것으로 보아, 아동의 지적 변인 중에서도 주의 조절 능력이 만족 지연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져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버지의 학력과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 사이에서도 관련성이 나타났다. 둘째, 주의 분산 전략을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하는 것은 아동의 만족 지연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경향성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그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주의 분산 전략 제공(즐거운 생각 제안)과 만족 지연 능력 사이에서 애착 안정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 안정적으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일수록 외부에서 제공 되어지는 주의 분산 전략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여 만족 지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i)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and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ii)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during the delay period on their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and (iii) to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and intellectual ability and between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and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54 children who lived in Seoul and they were 49 to 72 months. The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as assessed by delay gratification experiment(Sunwoo, 2009; Mischel, Shoda & Rodriguez, 1989; Mischel, Ebbesen & Zeiss, 1972),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was evaluated by Attachment Q-set(Waters, 1987) and intellectual ability was assessed by K-WPPSI. Subject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which was not offered the strategy to distract their attention during the delay period) and experimental group(which was offered the strategy to distract their attention during the delay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and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and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s intellectual ability and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That is, children with high intellectual ability have longer waiting time. Specially, children who achieved high scores on block design and arithmetic had longer waiting time(Block design and arithmetic are subtests of K-WPPSI and they are related with ability of attention control). Moreover, father's academic background was related with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Second, the effect of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on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f 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on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and intellectual ability and between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and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were examined.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and intellectual ability,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and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This means that children with high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mother could improve their ablity to delay gratification by accepting the offered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 more than children with low attachment security. Consequently, the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as related with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Special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ability to control attention among intellectual variables was related with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Father's academic background was also related with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The effect of offering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on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when the strategy to distract attention(suggestion to think 'fun things') was offered, children with high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had longer waiting time than children with low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