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육실태인식 및 교육방향성에 대한 제고

Title
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육실태인식 및 교육방향성에 대한 제고
Authors
윤숙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secondary-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econdary-school music education and its future directions. The subjects consisted of a total of 61 secondary school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the educational levels.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loaded with 26 multiple-choice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ubjected to simple frequency and percentage with the help of SPSS win 17.0 program. The subjects we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such factors as the end of music education that they consider, the role of school music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ts contribution to students' lives, music curriculum and music-education activities, teachers' knowledge, and measures for the introduction of better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music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part of teaching music in practice, and the fundamental educational objectives of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are ascribed to affective support(67.2%), emotional cultivation(54.1%) and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emotion(50.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54.1 percent of the music teachers responded that school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otional stability(54.1%), thinking that music education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ir students' lives. As for music curriculum and music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bjects acknowledged a need for the music education that reflects the demand and the levels of the students. Also, they turned out to take a positive stance towar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ed music education. Many subjects thought that pleasure taken from students' music activiti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achievement of music purpose, and that the activity area of the curriculum is more important than its comprehension area.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subjects give more weight to the former in actual class. The respondents real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changes in the music teachers'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usic curriculum. Many of them(51.9%) thought that lack of their knowledge is attributable to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The music teachers (47.5%) said that measures for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should be related to an increase in students' emotional comprehension, responding that changes needed in school music education includ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essions(43.5%), the expansion and support of school facilities(35.0%) and the curriculum(13.3%). The subjects said that the future directions of school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cultivation of students' emotion, noting that programs for the students' knowledge of music(47.5%) and programs for their emotional support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focused on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warenes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music edu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music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ubjects paid more attention to students' emotions as far as music education is concerned, which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hat adolescent students should be given emotional support through music education and that music education is the best way to prevent and solve their emotional problems.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music exerts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emotion and that music therapy can play a usefully and meaningfully mediative role in students' emo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ly useful and appropriate music therapy for secondary-school students should be educationally applied and introduced with the help of emotional support based on music.;본 연구는 중등음악교육의 실태와 향후 중등음악교육의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중등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교육의 목적, 학교음악교육의 역할, 학생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음악교육의 학생 삶에 대한 기여도, 음악과 교과과정 및 음악교육활동, 교사의 소양, 향후 학교음악교육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도입방안 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현재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음악교사 총 61명이 참여하였으며, 설문항은 객관식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의 결과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교사들이 생각하는 음악교육의 목적에 대한 질문에서는 현재 중등음악교사로 재직하며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대부분이 학교현장에서 음악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실제 교수활동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및 현재 음악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교육목표로 각각 정서적 지원(67.2%), 정서함양(54.1%), 정서표현능력의 향상(50.8%)이라고 답하였다. 음악교사들은 현재 학교음악교육의 실태에 관련한 질문에서 학교교육이 학생들에게 하고 있는 역할로 정서적 안정(54.1%)이라는 대답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음악교육이 학생들의 삶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은 음악과 교육과정 및 음악교육활동에 대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하는 음악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개별화된 음악교육의 시행가능성에 대하여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교사들이 음악교육에서 학생들의 음악적 목표달성보다 음악을 하는 과정에서의 즐거움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교육과정의 이해영역과 활동영역 중에서 활동영역을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교사가 많았으며, 실제 수업에서도 활동영역에 보다 더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사로서의 소양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본인의 교사로서의 소양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경우에는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51.9%)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음악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심리정서이해력(47.5%)이 필요하다는 대답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학교음악교육에서의 필요한 변화를 묻는 질문에서 수업시수의 증가(43.35%), 학교의 시설 확충 및 지원(35.0%), 교육과정(13.3%)의 순으로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교사들은 앞으로 학교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학생들의 심리정서함양(60.7%)이라고 답하였으며, 앞으로 음악교육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도입으로는 학생의 음악적 소양을 위한 프로그램(47.5%)과 학생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42.6%)이라고 대답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등음악교사들은 음악교육에서 학생들의 정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정서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음악교육이 정서교육을 담당하면서 학생들의 건강한 정서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학교음악교육에서 교육의 대상인 청소년들의 정서를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요구되고 부각됨에 따라 앞으로의 음악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과 정서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적극적이고 전문가적인 개입으로서 청소년의 정서에 유용한 음악치료의 교육적 적용과 도입을 제언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