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발표 담화표지 학습이 학문적 구두 발표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발표 담화표지 학습이 학문적 구두 발표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earning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on Academic Oral Presentation Skills
Authors
김성옥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 for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Korean colleges on their academic oral presentation skills. The students subject to this research are exposed to wide-ranging academic situations while studying in Korea including listening to lectures, writing reports, preparing for tests, and participating in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For such experiences, speaking skills are very important, an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uch situations, they need to become familiar with various forms of speech including formal speech such as making presentations at the college level. This research suggests presentation discourse maker classes as an effective method to foster presentation skills at the college level. Learning various discourse markers needed for presentations will serve as an excellent tool to facilitate efficient presentations. This research experimented with eleven sophomore students studying at the College of Economics and Business at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e research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necessity and goal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views presentations to be important in academic situa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colleges, and specifically suggests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Two categories of existing studies were also reviewed in this chapter, namely, researches on learning and teaching discourse markers, and researches on academic oral presentations. Against the background of existing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investigated are presented. Many education methods may exist for enhancing academic oral presentation skills, bu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to investigate its effect, and have, therefore, set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by conducting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frequency of the utilization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along with the error frequency in the pretests and posttests. The next research question looks into the educational treatment effect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presentation scores in the posttes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using score-sheets for evaluation in the pretests and post-test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examines the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during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and th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such classes. Chapter 2 covers researches on presentation discourses,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and academic oral presentation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research. Chapter 3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 design and process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presented in the first chapter. Chapter 4 reveals the experiment results and discusse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utilizing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after learning about the markers.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by various functions in the pretests and posttests reveals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in the posttests. Based on the prediction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rate of increase in the frequencies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compared to the pretests, such differences were analyzed and there were larger differences in the increase of frequencies in the following order: focus > presenting topics > proposition, refreshing the memory of the audience, completing topics > listing in order >additional explanation. The use of the focus function which considers the audience enhances the quality of presentations, and therefore, the fact that the frequency of this function increased proves the effect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A look at the error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s and posttests shows a decrease in the error frequency in the posttests. A sharp decrease in the error frequency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for the function of presenting topics could be observed in the posttests compared to the pretests. Many errors were also found in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for the function of focus du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utilizing such markers. In particular, the error of excessively using discourse markers could be observed, and this is assessed to be a form of training error triggered by lectur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ertain functions when teaching discourse markers. No errors were found in using discourse markers for the function of refreshing the memory of the audience. Therefore, although the frequency of utilizing discourse markers for the function of refreshing the memory of the audience was not high, they were used accurately. There was a student who did not use any markers. Although the markers themselves may not be difficult expressions, the student in question was not able to easily use markers for they need to be used in the appropriate situation and context. Secondly,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evaluation results before and after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reveals higher posttest scores compared to the pretests. The impact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on academic presentation skills was investigated using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Thirdly, most of the students were affectively satisfied with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opened for this research. The students in the test group had a higher interest for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after the classes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uch markers in making presentations. They viewed the classes to be necessary to international students. They also thought that the appropriate use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w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ir presentations. The fact that the students themselv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s and the actual qualitative changes in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in the posttests makes possible a positive interpretation. As can be seen, this research has contributed to the study of academic oral presentations which has relatively few existing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oving the positive effect of presentation discourse marker classes. Against the backdrop of such results, futur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본 연구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발표 담화표지 교육이 학습자의 학문적 구두 발표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은 교과목 수강, 보고서 작성, 시험 준비, 발표 및 토론 등 다양한 학문적 상황을 경험한다. 이러한 학업을 위해서는 학문적 상황에서의 말하기 기능이 매우 중요한데, 이때 외국인 유학생들이 여러 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법을 익혀야 하며 대학수학 목적의 발표와 같은 공식적인 말하기 경험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대학수학 목적의 발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인 발표 담화표지의 학습을 제안하였으며, 발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발표 담화표지의 학습은 효율적인 발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의 K대학교의 상경계열에 재학하고 있는 2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유학생을 위한 학문적 상황에서의 발표 교육이 중요하다고 보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것으로 발표 담화표지 학습을 제안하였다. 또, 이와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담화표지 학습 및 교수에 대한 연구이고 둘째는 학문적 구두 발표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살펴볼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학문적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에는 여러 가지 교육 방법이 있겠으나 본고에서는 발표 담화표지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그 효과를 보고자 하였으므로 그에 따른 하위 연구문제들을 3가지로 설정하였다. 먼저 연구문제 1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발표 담화표지의 사용빈도와 오류빈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발표 담화표지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교육적 처치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는 연구 문제 2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평가표를 작성하여 평가한 후 사후 검사에서의 발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살펴보는 것이었고, 연구 문제 3은 발표 담화표지 수업에 대한 참여자의 태도와 학습 효과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뒷받침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발표 담화 연구와 발표 담화표지연구, 학문적 구두 발표에 대한 연구들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실험 설계 및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문제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밝혔으며 그에 대한 해석을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 따른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 담화표지 교수 후 발표 담화표지 사용빈도에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후 발표 담화표지의 사용 빈도를 각 기능별로 분석해 본 결과, 사후 검사에서 그 빈도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의 사용 빈도의 상승률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분석해 본 결과 초점기능 > 화제제시 기능 > 내용구분 기능, 청자기억 환기기능, 주제 마무리 기능 > 순서대로 나열 기능 > 부연설명 기능 순으로 사용빈도의 비율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청자에 대한 배려를 고려한 초점 기능의 사용은 발표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 기능의 발표 담화표지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은 발표 담화표지 수업이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해 주는 것이라 해석 할 수 있겠다. 또한 발표 담화표지 사용에 있어서의 오류의 사전․사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사후 검사에서 오류비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화제제시 기능의 발표 담화표지에 대한 오류 빈도가 사전 검사에 비해서 사후 검사에서 많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초점기능에서는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빈도수가 많이 증가한 만큼 오류율도 많이 보였다. 특히 과도하게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교수 시 이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한 일종의 훈련의 오류로 판단된다. 청자 기억 환기기능에서 담화표지 사용 오류빈도는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 청자 기억 환기 기능의 담화표지 사용빈도가 많지 않았지만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을 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학습자도 있었는데 발표 담화표지 자체는 어려운 표현이 아니지만, 상황과 맥락에 맞게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쉽게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발표 평가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볼 때, 사후 시험 결과 그 점수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윌콕슨 대응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발표 담화표지 학습이 학문적 구두 발표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발표 담화표지 교육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의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본 연구를 위해 개설한 발표 담화표지 수업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실험 집단 학습자들은 발표 담화표지 수업 후 발표 담화표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발표에 있어 담화표지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이들은 발표 담화표지 수업이 외국학생들에게 아주 필요한 수업이라고 생각하였고, 발표에서 담화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발표효과가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습자들 스스로가 발표 담화표지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것과 실제로 사후 검사에서 담화표지 사용에 있어 질적인 변화를 보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발표 담화표지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해 보임으로써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연구 결과물이 적었던 학문적 구두 발표와 관련된 연구 분야에 일조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본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