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공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SR Activ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 of Public Enterprise
Authors
송주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숙연
Abstract
As it changes the surroundings of public sector into reinforcing competition, the public enterprise needs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growing. Under the contex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SR activity done by public enterpris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its members. Through the various empirical researches from last decades,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proved as an significant variable which a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rivate companies. Despite the fact that it is more important for public enterprises pursuing the public interests to take social responsibility, only few studies on CSR of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s the influence of CS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enterprise. Focused on CSR which was investigated by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Korea which has developed CSR index for public enterprise.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en and Meyer(1990)'s concept which consists of attra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is used. The theoretical model is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543 employees in 21 public companies of korea. For data analysis, SPSS 16.0 for windows is used, and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ed that the more employees age and their business career is, the stronger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omes. Als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s is higher than females. Specifically, attra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re higher in male employee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re is no sex differences in continuance commitment. With this, it can be considered that females’ numerical inferiority in an organization produces a male dominant and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relations between labor and capital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re proven to influence positively on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etail, relations between labor and capital CSR for local society, will for CSR of CEO are positively related to attractive commitment and CSR for International society is negatively related. The relations between labor and capital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CSR Implication are positively effect on normative commitment.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it is proved that CS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Through the rapid changes of the circumstances, an organization should endeavor to lead their employees to be more organizationally committed as carrying out CSR at the corporate level. Diverse fields of CSR can be utilized for human resources strategy. Second, it is demonstrated that fema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comparatively lower than males’ in an organization.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will be more improved providing an organization succeeds in deri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fast increasing female employees through a relevant corporate policy.;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기업은 사회와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사회 속에서 관계를 맺고, 또 그 요구를 충족시키며 생존해 나가는 존재가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최근 기업들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의무적 관점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전략적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 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민간기업 뿐 아니라 공기업 등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많은 공기업들이 사회적 책임활동을 보이고 있다. 공익추구가 목표인 공기업의 특성상, 별도로 사회적 책임활동을 한다는 것은 많은 예산가 노력과 시간을 들여서 한다 하더라도 정작 조직구성원들이 이에 대해 공감하지 못하거나 직무 스트레스로 받아들이게 되면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공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인해 얻는 조직 내부적인 효과성이 반증된다면, 공기업은 CSR활동을 내부구성원의 인적자원 관리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공익을 도모하는 공기업의 본연의 목적을 더욱 잘 실천함으로서 이에 따른 사회적인 인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의 CSR활동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21개의 공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네 가지 주요 연구문제는 1) 윤리경영 및 시스템에 대한 공기업의 CSR활동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임직원에 대한 공기업의 CSR활동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고객에 대한 공기업의 CSR활동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지역사회 및 환경에 대한 공기업의 CSR활동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와 더불어 공기업의 인구통계적 변수들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각 21개의 공기업에 각 30부씩 배포되었으며,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는 2010년 5월 12일에서 5월 25일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90.5%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6.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관성 검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CSR의 각 하위차원들이 각각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 각 요인들이 조직몰입 전반과 각 하위차원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대부분 조직몰입 전체와 정서적 조직몰입, 규범적 조직몰입에서 나타난다. 조직몰입 전체에 있어서는 노사관계와 환경보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정서적 몰입에 있어서는 노사관계, 지역사회, 최고경영자의 의지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국제사회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지속적 몰입에서는 고객보호가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속적 몰입의 회귀분석에서는 모형의 설명력이 떨어지며(5%), 통계적 유의성도 크게 높지 않아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규범적 몰입에서는 노사관계와 환경보호, CSR의 이행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이 다소 떨어지는 지속적 몰입을 제외하고, 조직몰입 전체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모두에서 노사관계가 통계적 유의성이 높게 나옴으로서 조직몰입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사관계 중에서 고용안정성, 조직구성원들의 의사결정참여 민주적인 노사파트너십, 노사협의회의 운영 등의 요소들이 조직몰입을 증가시켜 조직생산성을 높인다고 밝히고 있는 많은 선행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나이와 근속기간과 성별이었다. 본 연구에서 근속기간과 조직몰입 사이에 정(+)의 관계가 밝혀진 것은 근속기간이 길어지면 조직에 지속적으로 투자한 시간과 노력에 따라 조직에 감정적인 애착을 키워나가게 되어 더 높은 조직몰입은 나타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근속기간이 길다는 것은 그만큼 나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나이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성별에 대한 영향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조직몰입 전체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의 성별 차이를 보고자 T-test를 실시하였다. 조직몰입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지지되었다(p<0.000). 이러한 결과를 가사와 육아에 대한 책임과 부담의 영향으로 진단하는 선행연구도 많이 있으며, 공기업의 남성위주의 문화에서 비롯되는 여성들의 조직 내 의사소통의 단절 등이 이러한 결과를 야기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정서적 몰입도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배경으로 공기업 내 여성들은 수적 열세로 인한 남성지배적, 남성위주문화를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조직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은 조직의 다른 이해관계자들과의 신뢰를 향상시키며, 상사와 부하 간의 관계를 좋게 하며, 조직목표 달성 및 안정성에 이바지한다. 특히 갈수록 조직 내에서 변화가 빠르고 변화의 규모가 커지고 있으므로 기업은 조직구성원이 더 높은 몰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이러한 조직몰입 도모를 위한 전략으로 인적자원관리에 다양한 영역의 CSR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성별에 따른 조직몰입의 비교를 통해 봤을 때, 대체적으로 여성들의 조직몰입도가 남성들에 비하여 낮을 것을 확인하였다. 여성 직원들이 조직몰입 등의 조직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조직 및 인사관리의 정책이 개발된다면, 빠른 추세로 늘어가는 여성 직원들의 조직몰입을 이끌어내어 더 높은 조직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