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김지혜-
dc.creator김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39-
dc.description.abstractThe research of this thesis examines the propelling principles for a narrative structure via the patterns of perceiving body in the novels by Inhun Choi, Seungok Kim, and Cheongjun Lee, in the 1960s, with a view to further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n agent (subject) in terms of modernism. Body, a foundation of human existence, is not a closed system, but a space that ceaselessly interacts with the world, wherefore it is a symbol that indicates external suppression, traces of government, and desire and conflict of agents. The desire and conflict that are expressed in the body act as motivation at the head of narration in the modern literature. Body, in the three writers' works, represents the character of a modern agent that was formed in gear with the periodical circumstances of 1960s, which is in turn closely coupled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s. Chapter Ⅱ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disruption and countermeasure of agents in Inhun Choi's novels which attempt to organize the world with a single theory. These characters, who are conceptual intellectuals, feel isolated from the world in which wholeness is at stake, and recognize their bodies as 'dismantled bodies' or 'split bodies.' Male characters, in order to feel the world with a body that they felt only through a 'window,' come out of the closet of books and transfer their desire to others, i.e. women. To them, women's body is an 'epistemophilic object' which arouses the desire of knowledge and an object of love and redemption. To the male characters, who are inclined to conception, love, which is a union of body and heart, can be salvation and self-perfection that should testify the identity of the split agent. This desire to unite with a woman serves as a leading motive in Choi's novels. Most of Choi's novels are based on the desire for the redeeming women. However, the repetition of misunderstandings and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narration delay the focal characters' desire, and end up with skepticism about the redemption of love. This is criticism on the confusing reality in which the rescue with love is impossible, and it is a formal experiment which is to express the world with no prospects. The agents in Choi's novels feel split in the incomprehensible world, which they try to overcome through love. The redemption through love, however, runs aground under the negative reality, and rather intensifies the criticism on the reality of the late 1960s. The subjects in Choi's novels are disharmonious with the world and feel split; however, they are critical agents who never abandon the desire for the macro view and the spirit of resistance. Chapter Ⅲ looks into the desire of Seungok Kim's male characters, who are in discord with capitalist modernization, by means of body. Seungok Kim's focal narrators reveal through their feeble bodies the ambivalent feeling of aspiration and disillusion which they come to have in a capitalized modern city. This feeble body is dualistic in that it is beautified to the extent that it sympathizes with hometown or childhood, and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desire for the vulgarized urban space. The metaphor of pneumonia in Kim's novels is a dysphemism of vulgarization. Pneumonia was romanticized or reminiscent of fear of death in the previous literature, but it is a sign of dysphemistic intention to outlive secularization and bear testimony to the times. The male characters' desire to ride on the modernization leads to alienation of a 'sister's' body, the destruction of which can be seen as a strategy of male subjects who attempt to enter modernization by negating themselves, still under pre-modernization, and their hometowns. However, the 'self world' which they acquired through the defilement of the sister boils down to shame and guilty. Meanwhile, the compassion for the sister and the desire for alienation form a basis for the journey-like construction. The male characters in Kim's works show pity and desire of betrayal on the sister, by repeating leaving and returning to home, or repeating a motive of strolls in a city, which is variation of journey-like structure. After all, the agents in Kim's novels, who are incorporated with modernization by betraying their homes, are disillusioned while they feel ashamed of themselves, not accepting secularized selves. Chapter Ⅳ deals with the desire and dissension reflected on the body of Cheongjun Lee's male characters who feel anxiety and fright in the modernized daily life. Lee's focal narrators feel uneasy about the modern society, in which oppressors get to hide under the micro-level system, and expose a symptom of abnorm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by means of 'disease without an affected part.' They confine their bodies or transform themselves by fasting, in order to avoid the invisible gaze, or the fear of flashlight. They also have a double-valued emotion for women's 'eye,' that is, affection and terror. They feel attached to a female character, and want to be approved through her 'eye.'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characters in Lee's novels have already internalized the modern normalization, whose gaze marks the male characters' affected area and urges the males' incorporation with the symbolized order. Thus women's body acts as a overseeing 'eye' that includes the modern order, and exacerbates the uneasiness of the focal narrators who have not completely entered the modern life. Against this gaze of authority, the male characters put off their decision and turn toward the outside instead, which shows the subjects who reflect on themselves through others. The awareness of 'the seen' and 'the seeing' are also relevant to the structure of inquisition and the format of picture frame. Lee's characters, in particular, probe into the 'things that disappeared,' the quest of which does not aim to prove 'nonexistence,' but rather to prove 'existence' by dint of the traces of 'nonexistence.' Lee shows an open-ended conclusion with a multilevel sight of picture-frame novels. This open-ended conclusion means an arduous course of the search for the truth, and at the same time, implies continuous introspection. Lee's reserved agents do not shun the choice, but they manifest a writer's attitude that is in need of continuous search for the truth. Chapter Ⅴ discusses the literary meaning of 'body' that appears in the novels by Inhun Choi, Seungok Kim, and Cheongjun Lee, of the 1960s. Unlike the notion of body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e one realized in these three writers's works plays a significant role, which can be recapitulated as follows: first, the body in these novels acts as a symbol that expresses an individual's desire, frustration, and conflict, at a spatio-temporal coordinate. Second, the ambition that the focal narrators have on the world (others) promot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novels. Third, body is neither a simple background nor a sign of recognition, but a symbol that the modern subjects disclose countermeasures and strategies toward the world. The examination of the works by the three novelists, Inhun Choi, Seungok Kim, and Cheongjun Lee, in terms of a symbol, body, provides another standpoint to research these three writers' literature and the modern subjects. The 1960s are the times when the society of Korea became modernized in earnest as it entered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individualism in the modern sense grew up on a large scale, undergoing the incidents of 4·19 and 5·16. At this spatio-temporal coordinate, Choi's characters criticize the promiseless Korean society, and Kim's characters, with a disillusioned eye, introspect their own secularizat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Feeling anxious about the modern life, Lee's characters reflect on themselves amid the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others).;본 연구는 1960년대 최인훈, 김승옥, 이청준 소설 속에 나타난 몸 인식 양상을 통해 서사 구조의 추동 원리를 살펴보고 나아가 근대적 주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의 존재 기반인 몸은 닫힌 체계가 아니라 끊임없이 세계와 교섭하는 공간이기에, 외부의 억압과 지배의 흔적, 그리고 주체의 욕망과 갈등을 담지하고 있는 기호이다. 또한 몸에 나타난 욕망과 갈등은 근대 문학에 있어서 서사를 이끌어가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이들 작품의 몸은 60년대라는 시대적 조건과 맞물려 형성된 근대적 주체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소설의 서사 구조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세계를 하나의 이론으로 체계화하고자 하는 최인훈 소설의 주체의 분열과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관념적 지식인인 이들은 총체성이 흔들린 세계에 단절의식을 느끼고 자신의 몸을 ‘해체된 몸’이나 ‘분열된 몸’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남성인물들은 ‘창(窓)’으로만 느끼던 세계를 몸으로 느끼기 위해 책의 밀실(密室)에서 나와 타자인 여성에게 자신의 욕망을 전이시킨다. 이들에게 여성의 몸은 앎의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지식애적(epistemophilic) 대상’이자 사랑과 구원의 대상이다. 관념에만 치우친 남성 인물들에게 몸과 마음의 합일인 사랑은 분열된 주체의 자기동일성을 증명해줄 구원이자 자기완성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과의 합일 욕망은 최인훈 소설을 이끌어 가는 하나의 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최인훈 소설은 구원의 여성에 대한 욕망을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타자에 의한 오인 구조의 반복과 전통적 서사의 해체는 초점화자의 욕망을 지연시키고, 사랑의 구원에 대한 회의(懷疑)를 드러낸다. 이는 사랑을 통한 구원이 불가능한 혼란스러운 현실에 대한 비판이며, 전망 부재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형식적 실험이다. 최인훈 소설의 주체는 불가해한 세계에서 분열을 느끼지만, 사랑을 통해 그 분열을 극복하려 한다. 그러나 사랑을 통한 구원은 부정적 현실에서 좌초하고, 60년대 중반 이후 현실 비판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최인훈 소설의 주체는 세계와 불화하고 분열을 느끼지만, 그 거시적 안목에 대한 욕망과 저항 정신을 버리지 않는 비판적 주체의 모습을 보인다. Ⅲ장에서는 자본주의적 근대화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갈등을 느끼고 있는 김승옥의 남성인물들의 욕망을 몸을 통해 살펴보았다. 김승옥의 초점화자는 자본주의화된 근대적 도시에서 느끼는 동경(憧憬)과 환멸(幻滅)이라는 양가적 감정을 허약한 몸을 통해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허약한 몸은 미적으로 묘사되어 고향 세계 혹은 유년 세계에 대한 심정적 동조를 나타내기도 하고, 속화된 도시 공간에 대한 욕망을 나타내기도 하는 이중성을 띤다. 그리고 김승옥 소설에서는 폐병의 은유를 통해 속물화되는 위악성을 보여준다. 이전의 문학에서 낭만화되거나 죽음의 공포 등을 환기시키던 폐병은 김승옥 소설에서 속물화되더라도 살아남아 시대를 증명하겠다는 위악적 의지의 표지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근대 편입 욕망은 ‘누이’의 몸을 타자화하는 것으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누이 훼손은 전근대 상태에 있는 자신과 고향 세계를 부정함으로써 근대에 편입하려는 남성 주체의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누이의 훼손을 통해 얻어진 ‘자기 세계’는 부끄러움과 죄의식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누이에 대한 연민과 타자화 욕망은 여로형 구조의 기저를 형성한다. 김승옥의 남성인물들은 이향(離鄕)과 귀향(歸鄕)을 반복하거나 여로의 변이형인 도시 산책 모티프를 반복함으로써 누이에 대한 연민과 배신 욕망을 드러내는 것이다. 결국 고향의 세계를 배신함으로써 근대에 편입한 김승옥 소설의 주체는 속화된 자신을 용인하지 못하고 부끄러워하는 환멸적 주체인 것이다. Ⅳ장에서는 근대적 일상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는 이청준의 남성인물들의 몸에 새겨진 욕망과 갈등을 고찰해 보았다. 이청준의 초점화자들은 뚜렷한 억압의 대상이 미시적 권력체계로 숨어버린 근대 사회에서 불안을 느끼고, ‘환부(患部) 없는 질병’를 통해 세계와 자아 관계의 이상 징후를 보인다. 그리고 이들은 보이지 않는 시선, 전짓불의 공포를 피하기 위해 스스로 몸을 유폐시키거나 단식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바꾸어 나가기도 한다. 또한 소설 속 남성인물들은 여성의 ‘눈’에 애정과 공포라는 양가적 감정을 갖고 있다. 이들은 여성인물에게서 애정을 느끼고 여성의 ‘눈’을 통해 자신을 승인받고 싶어한다. 그러나 이청준의 여성인물들은 근대적 규율화를 내면화한 인물들로, 여성의 응시는 남성인물의 환부를 유표화(有表化)하고 상징계적 질서에 편입될 것을 촉구한다. 여성의 몸은 근대적 질서를 담지하고 있는 감시의 ‘시선’으로 작용하며 근대적 일상에 완전히 편입되지 못한 초점화자의 불안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력의 시선에 이청준의 인물들은 선택을 유보한 채 자신의 시선을 외부로 돌리고 있는데, 이는 타자를 통해 자신의 성찰하는 주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보여지는 것’과 ‘보는 것’에 대한 의식은 탐색 구조와 액자 소설의 형식과도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이청준의 인물들은 사라진 것에 대한 탐색을 해 나가는데, 이러한 ‘없음’에 대한 탐색은 ‘없음’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없음’의 흔적을 통해 ‘있음’을 반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는 액자 소설의 다층적 시선을 통해 열린 결말을 보여준다. 이러한 열린 결말은 진실 찾기의 힘든 노정을 의미하는 동시에, 그것이 끊임없이 반성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즉 이청준의 유보적 주체는 선택을 회피하는 주체가 아니라 꾸준히 진실을 모색해야 하는 소설가의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다. Ⅴ장에서는 1960년대 최인훈, 김승옥,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몸’의 문학적 의의에 대해 규명하였다. 이들 세 작가의 작품에 형상화된 몸은 이전 문학사에서의 몸과는 달리 서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 소설에 형상화된 몸은 시대적·공간적 좌표에 놓인 개인의 욕망과 좌절, 그리고 그에 따른 갈등을 표출하는 기호로 작용한다. 둘째, 초점화된 화자가 세계(타자)에 대해 갖고 있는 욕망은 소설의 서사 구조를 추동하고 있다. 셋째, 몸은 단순한 배경이나 인식의 표지가 아니라 근대적 주체의 세계에 대한 대응 양상 및 전략을 드러내는 기호가 되고 있다. 최인훈, 김승옥, 이청준 소설을 몸이라는 기호를 통해 살펴보는 것은 세 작가의 작품 세계와 근대적 주체를 연구하는 또 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60년대는 한국 사회가 국제적 질서 속에 편입되면서 본격적인 근대화로 접어드는 시기이자 4·19와 5·16을 거치며 근대적 개인의 의식이 크게 성장한 시기이다. 이러한 시공간적 좌표에서 최인훈의 주체는 전망이 부재한 한국 사회를 비판하고 있으며, 김승옥의 주체는 근대에 편입되며 속물화된 자신을 환멸어린 시선으로 반성한다. 그리고 이청준의 주체는 근대의 일상에서 불안을 느끼며 세계(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성찰해 가는 주체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9 Ⅱ. 저항으로서의 몸과 자기 극복의 서사 - 최인훈 = 14 A. 단절된 근대화와 해체된 몸 = 15 1. 세계와의 불화와 단절의식 = 15 2. 남성 주체의 공포와 분열된 몸 = 26 B. 원시적 여성의 몸과 남성의 구원 희구 = 37 1. 지식애적 여성의 몸과 분열적 경험 = 37 2. 원시적 여성의 몸과 구원 욕망 = 42 C. 반복 구조와 전통적 서사의 해체 = 53 1. 원시적 여성상과 반복의 서사 = 53 2. 타자 오인 구조와 해체의 서사 = 63 D. 비판적 주체의 단절 의식과 고고학적 진리 탐구 = 71 Ⅲ. 위악(僞惡)으로서의 몸과 자기 연민의 서사 -김승옥 = 75 A. 자본주의화와 병약한 몸 = 76 1. 자본주의적 근대화와 도시 공간 = 76 2. 남성 주체의 허약한 몸과 폐병의 은유 = 86 B. 물화된 여성의 몸과 남성의 근대 편입 욕망 = 100 1. 전근대적 누이의 몸과 양가적 욕망 = 100 2. 훼손된 여성의 몸과 근대 편입 = 104 C. 여로 구조와 고백의 형식 = 113 1. 여로 구조의 반복과 변이형 = 113 2. 고백의 서사 기법 = 122 D. 환멸적 주체의 속죄 의식 = 129 Ⅳ. 각성으로서의 몸과 자기해명의 서사-이청준 = 132 A. 권력의 일상화와 증후적 몸 = 133 1. 근대적 일상과 권력의 시선 = 133 2. 남성 주체의 질병과 응축적인 몸 = 147 B. 반영적 여성의 몸과 남성의 해명 의지 = 162 1. 금지된 여성의 몸과 합일 욕망 = 162 2. 응시하는 여성의 '눈'과 환부 찾기 = 168 C. 탐색 구조와 액자 소설의 형식 = 177 1. '없음'에 대한 탐색의 형식 = 177 2. 액자 소설의 다층적 시선과 열린 결말 = 185 D. 유보적 주체의 관계적 진실 모색 = 191 Ⅴ. 1960년대 최인훈, 김승옥,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몸'의 문학적 의미 = 194 Ⅵ. 결론 = 199 참고문헌 = 204 ABSTRACT = 2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95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최인훈, 김승옥, 이청준 소설의 몸 인식과 서사 구조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rception of body and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novels by Inhun Choi, Seungok Kim, and Cheongjun Lee-
dc.creator.othernameKim, JiHye-
dc.format.pageⅶ, 21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