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TV 예능프로그램 자막에서 찾아본 만화 표현기호 활용 연구

Title
TV 예능프로그램 자막에서 찾아본 만화 표현기호 활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age of Cartoon Pictorial Symbols in Graphical Captions of TV Variety Show Programs
Authors
조수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만화는 한정된 공간 안에 메시지들을 글과 그림으로 담기 위해 여러 가지 요소를 압축적으로 표현한 기호들을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하며 이 코드들은 대중적인 커뮤니케이션 기호로 자리 잡았다. 한편 일본 TV에서 영향을 받아 사용하기 시작한 예능프로그램의 방송자막은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점차 다양한 시각적 효과와 함께 만화를 비롯한 여러 매체의 특징을 받아들여 응용하며 활용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이에 만화기호가 예능프로그램의 자막에 활발하게 쓰이는 추세이다. 그러나 TV방송은 대중의 보편적인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므로 만화의 표현기호가 자막에 그대로 활용가능한지, 실제로 쓰이는 방송자막에서 연령대 등 시청자의 타깃에 따라 자막이 어떤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은 우선 첫 번째로, 현재 예능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방송자막의 만화기호 활용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예능프로그램들의 연령별 시청률 순위를 바탕으로 연령별 타깃에 따라 선호하는 예능프로그램을 분류해내었다. 선정한 예능프로그램의 방송화면을 캡처하여 자막의 횟수와 평균 체류시간 등을 파악하고, 형태와 의미에 따라 자막의 유형을 분류하여 만화기호와 비교하여 실제 만화기호와의 사용방식의 유사점과 새로운 기능, 경향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만화기호를 사용하는 방송자막들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고 실제 시청자들의 만화기호 이해도가 방송자막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두 번째 연구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령과 만화의 노출도에 따라 만화기호의 이해도와 방송자막의 이해도, 선호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연구에서 청소년과 청년층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장년과 노년층이 선호하는 예능 프로그램에 비해 총 등장 자막수가 많았으며, 선호하는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등장 자막의 횟수가 많아지고 한 자막의 체류시간도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만화기호의 그래픽을 활용한 자막의 횟수가 많았고 활용 방법도 더욱 다양하였다. 방송자막 사용이 제일 많은 예능프로그램 둘을 골라서 유형별로 분류하여 실제 만화기호와 비교한 결과, 자막들의 유형이 만화기호와 비슷한 형태와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한 기호가 한 방송 내에서 다른 기능으로 동시에 사용되거나, 프로그램마다 각자 다른 형태의 기호로 동일한 기능의 자막을 만들거나, 방송 연출자가 임의로 정한 의미의 기호를 자막에 활용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시청자의 연령이 낮아지거나 시청자가 만화에 많이 노출될수록, 만화기호의 이해도가 높아졌다. 만화기호의 이해도가 높은 시청자들은 만화기호가 활용된 방송자막의 이해도도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방송자막의 이해도가 높은 시청자들은 자막을 많이 활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호감도가 높았다. 그러나 전체 TV 시청시간은 방송자막의 이해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유형별 기호의 이해도를 보면, 글씨와 함께 하는 만화기호의 의미는 정답률이 높았으나, 그래픽만 주어지는 경우에는 오답률이 많았다. 프로그램 내에서 고유하게 의미를 지정하여 쓰는 만화기호의 경우에는 이 프로그램의 애청자들은 평균에 비해 정답률이 높았다. 만화의 노출도와 시청자의 나이가 만화기호의 이해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는 방송자막의 이해도와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다. 현재 연출자에 의해 직관적이고 임의대로 사용되고 있는 만화기호가 오남용 되지 않고 바르게 쓰일 수 있도록 일관된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보다 구체적 연구들을 통해 앞으로도 TV 방송자막에 만화기호의 참신한 아이디어들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A cartoon has many visual message-symbols to communicate with readers. Recently these cartoon pictorial symbols have been being widely used in graphical captions for TV variety show programs. It is mainly due to the recent trend in visual design of TV screen frame for which the show program directors utilize computer graphics and caption titles much more frequently than ev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is trend, and the resulting problems, of usage of cartoon symbols in TV variety show programs and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s to the cartoon symbols of their target audiences. To fulfill this aim, two different research methods are used. The first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cartoon symbols in the pictorial captions of TV show programs in order to verify what kind of symbols are currently used and in what purposes. Some most representative TV variety show programs now being broadcasted are therefore selected for samples and a large number of screen-shots are captured. The cartoon symbols shown in the screen-shots are then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types and the meanings, and they a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symbols actually used in cartoons so that both original usage patterns and misuse examples shown in TV show programs can be screened. The second method consists in a survey of the audiences' responses to the use of cartoon symbols in TV show program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or the preference to the pictorial symbols used in TV show programs and the recognition of the cartoon symbols of target audiences. The result of the first part of research shows that the younger the target audience of a TV show program is, the more frequently cartoon symbols are used. It also shows that the usage patterns and the types of cartoon symbols in such a TV program tend to be more diverse compared to the programs that have older audiences. Several originally developed usage patterns as well as some examples of misuse can also be noticed. In the second part of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the younger the target audiences are and the more they have opportunities to read cartoons, the better they recognized cartoon symbols.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also show that the recognition of cartoon symbols is very positively correlated both with the recognition of and with the preference to the pictorial symbols of TV show programs. However, the respondents' degree of recogn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artoon symbol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eference of audiences to the TV variety show programs is affected by the frequence and patterns of cartoon symbol usag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raw up some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correct use of cartoon symbols in the production of TV show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