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evelopment Strategies for Domestic Design Education Program of the General Adults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현대 사회의 도래로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는 현상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디자인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미와 역할이 그 시대의 상황과 함께 작용한다. 디자인 영역이 국내에 유입 되었을 시점에서 디자인은 하나의 경제적 발판이였을 뿐이었고, 디자인 가치 증대에 대한 인식과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판단을 통해 실시된 ‘디자인 서울 올림픽’, ‘세계 디자인 수도 서울’등 디자인 대중화 방안이 우리의 삶 속에서 시작 된지도 얼마 되지 않는다. 이제 디자인 분야가 21세기 사회를 특정 하는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되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 동안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 비즈니스 성장에 근거하여 전문가 양성 교육 중심에 치우쳐져 있어 대중에게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확장을 위해 명문화된 방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디자인이란 디자인 전문가들이 좋은 디자인을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한다 해도 그것이 소비자의 감각에 적합하지 않다면 아무리 좋은 디자인이라 하더라도 소외 당할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이제 대중이 소비의 주체가 되었으며 디자인의 탈전문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21세기 디자인의 시대에 좋은 문화와 디자인을 대중 모두가 영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중이 디자인 분야가 정신적, 물질적인 욕구를 조화 있게 충족 시켜 삶의 질을 고양시킨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디자인 교육은 전 국민의 문화의식과 미적 안목을 높여 준다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며, 좋은 디자인을 생산하고 고르고 소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춘 대중이 중심이 되는 교육이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의 집단을 이끄는 주체자, 즉 대중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현상을 알고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해 제안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진행 방법과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의미와 역할을 재조명해 보았다. -대중에게 디자인의 역할이 확대 되었으며, 디자인 대중화를 위해서 새로운 교육 방안이 필요함이 대두되고 있다. 둘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사례 분석해 보았다.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 성인 대상층을 특정 직업군(경영자, 교사등)과 일반인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셋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목적,전달 유형, 행동 방법 별로 분석하여 특징을 알아보았다. -국내·외 디자인 프로그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해 보면서 디자인 교육의 현 상황을 알게 되었다. 넷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비교하여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 되어있는 대상층을 학습자의 상황에 따라 분류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을 통해 대중의 디자인 의식을 함양하고 디자인이 생활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더 나아가 대중은 삶의 특별함을 느끼고 안목을 향상시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어 더 가치 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디자인 분야가 더욱 발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임을 기대한다.;As the modern society has come, the phenomenon is increasing noticeably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to apply designs to various fields such a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ecause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our daily life, its meaning and role are working along with situations at the time according to change in social environments. When the realm of design was introduced into our country, design was just a economic foothold only and it is still quite new that some plans for popularization of design such as ‘Design Seoul Olympic’, ‘World Design Capital Seoul 2010’ started in our life, which had been executed through judgment of that efforts should be made for awareness and popularization of design value increase. Now, it changes as the field of design has formed as a new realm to specify the society of the 21st century. So far, design education was one-sided to professional training-oriented education based on design business growth so that it has not given clearly stipulated direction to the public for expansion of their awareness of design. Saying about design, even though design professionals make tremendous efforts to make a good design, there should be no way but to be neglected no matter how the design is good unless it is not proper to the sense of consumer, Because the public has become the subject of consumption now and there appeared the phenomenon of deprofessionalism of design. Making it possible to run good culture and good design by all the public in this time of design of the 21st century, it needs to educate the public to have the awareness of that the field of design can satisfy the mental, physical needs harmoniously and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Design education should approach in the aspect to raise the cultural conception and aesthetic discrimination of the whole people and it should be the public-oriented education focused on the direction to produce, select and consume good designs. In this study, it reviews the present state of design education program of the public as the host leading social groups, and proposes the direction for domestic design education program to make progress. The concrete process and alternatives are presented by this study as in the followings: First, it sheds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role of design according to change towards the modern society. - The role of design has expanded to the public and it is emerging the necessity of new education plans for the popularization of design. Second, case analysis was made of domestic and foreign design education programs of adults. - As per the construction of program, the object of adults could be classified into specific occupational group(manager, teacher, etc.) and the general public. Third, it extracted domestic and foreign design education programs of the general adults and analyzed it as per the purpose, delivery types, ways of behavio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 I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and foreign design education programs, it came to know the present situation of design education. Fourth, in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and foreign design education programs, it intended to examine the direction by which domestic design education programs must make progress. - It classified the generalized target group of domestic design education programs as per situations of the learners and proposed that education appropriate for each stage can be effective. This study expects to promote the public's sense of design through design education and to perceive that design is a part of life, and furthermore, it intends the public to lead more valuable life by feeling the special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discrimination, and expects, at the national level, that the field of design can be a driving force to develop much m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