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4 Download: 0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Title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Authors
전인숙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문실
Abstract
혈액투석 신규간호사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상태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고 갈 책임이 있다. 이에 신규간호사가 새로운 환경에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많은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교육이 단편적이며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 신규간호사의 교육요구에 부응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시간적, 공간적 접근이 용이하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한 웹기반으로 구현해 시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은 정인성(1997)의 웹기반 교수-학습체계설계의 분석, 설계, 제작, 운영, 평가의 절차적 모형을 적용하여 설계, 구현하였다. 1. 분석단계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의 분석단계에서는 요구분석,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기술 및 환경분석이 이루어졌다. 요구분석은 전인숙(2006)이 혈액투석 간호사를 초보자단계(입사 후-1년), 상급초보자단계(2-3년), 유능한 단계(4-6년), 숙련단계(7년 이상)로 나누어 경력단계별로 요구를 분석한 결과와 서울 소재 10개 종합병원에서 실시하는 신규간호사 교육 컨텐츠를 통해실시되었다. 요구분석 결과 혈액투석에 관한 기본원리, 혈관관리, 혈액투석기계의 구조와 작동법, 혈액투석기의 종류와 구조 등에서 신규간호사의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교육을 실제 10개 종합병원에서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내용분석에서는 요구분석 결과를 통해 연구자가 학습주제를 정하여 투석간호분야회 임원이면서 인공신장실 수간호사 20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총 16차시의 주제 및 학습목표를 결정하였다. 학습자 분석을 위해 학습자 선정은 프로그램 개발 후 실제 운영과 평가가 실시될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자 분석은 임의 추출한 서울소재 3개 종합병원 신장내과병동과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3년 이상인 간호사 중 임의 추출한 3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컴퓨터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연령이 평균 31.1세이며 임상총경력은 8.83년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 특성은 대부분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웹기반 교육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및 환경 분석과정에서 내용전문가로 내용분석에서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구성된 투석간호분야회 임원이면서 인공신장실 수간호사 20인 중 프로그램 참여를 동의한 16명을 위촉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전반에 걸쳐 협력하게 될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1인을 확보하였으며, 교수설계과정에서의 협력을 위해 교육프로그램개발 연구원 2인을 확보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html로 작성하여 제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컨텐츠 운영체제는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이용하고 있는 Window XP로 하였으며 브라우저 역시 Internet Explorer 6.0 낮은 버전을 선택하여 운영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2. 설계단계 정보설계 과정에서는 먼저 병원간호사회 사이버강의실에 접속하여 초기화면을 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초기화면의"혈액투석 환자간호"를 클릭하면 학습초기화면에 접속할 수 있고 차시별로 링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메인화면에서는 학습자들이 학습해야 할 정보를 동영상과 text로 구분하고 학습자료방에 한글파일로 작성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학습절차는 병원간호사회 사이버강의실에 접속 → 회원가입 → 로그인 → 교육과정안내 메뉴에서 '혈액투석 환자간호' → 학습초기화면 → 학습메인화면 → 교육시행 → 평가 순으로 진행되도록 설계하였다. 상호작용설계는 학습자와 교수자간 상호작용을 위해서 학습메인화면에 '강사소개' 와 'Q&A'의 방을 따로 설계하였으며 학습자와 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학습자가 학습진행 사항을 알 수 있도록 MAP를 설계하였다. 동기설계에서는 학습초기에 강의 맛보기와 학습 내용 중에는 효과음이나 다양한 사진과 이미지를 첨부하여 다이내믹하게 보이도록 처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지루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평가설계는 현재 병원간호사회 사이버 강의실 평가시스템인 LMS에 맞게 평가도구를 작성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평가설계 과정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습효과 평가를 구분하여 설계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는 한국학술정보원이 제시한 교육내용 영역, 교수설계 영역, 교육환경 영역 총 32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습효과 평가는 지식정도,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을 이용해 측정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지식정도 평가는 내용전문가에게 의뢰하여 교육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학습목표당 2-3문제 출제하도록 하여 문제뱅크에 저장에 두었다가, 이후 학습자가 학습을 마친 후 평가에 응시할 경우 임의로 20문제가 추출되어 학습자의 지식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식정도 이외에도 학습자의 교육 후 자기효능감와 문제해결능력을 웹기반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기효능감 평가는 양길모(1999)가 개발한 병동에 대한 적응 정도, 새로운 일에 대한 도전 등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로 실시되도록 설계하였다. 문제해결능력 인식정도 평가는 전석균(1994)이 번안한 자가보고식 질문지로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접근회피양식, 개인적 통제력 총 32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로 실시되도록 설계하였다. 간호수행능력은 혈액투석 환자 사례를 제시하고 올바른 간호진단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간호수행을 기술하도록 설계하였다. 3. 제작단계 제작단계에서는 화면설계에 따라 기술 및 환경분석에서 구성된 내용전문가와 프로그램개발자, 교수설계자의 회의를 통해 학습초기화면과 학습메인화면의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였다. 제작은 스토리보드에 따라 미리 한차시의 초안을 작성하여 혈액투석 간호사 46명을 대상으로 초안평가를 시행한 결과 선택된 초안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웹페이지에 삽입될 음성파일은 기술 및 환경분석에서 구성된 내용전문가 16명이 실제 녹음하였다. 내용전문가가 작성한 파워포인트 학습내용을 음성파일에 맞추어 수정하였으며 말을 더듬은 부분과 표와 그림이 제시될 부분은 파워포인트에 맞추어 녹음을 편집하고, 효과음을 추가하였다. 제작된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의 형성평가를 위해 내용전문가 16인에게 일차 완성된 교육프로그램의 검토를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 지적된 철자 오류 등을 수정하였다. 이외에도 효과음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해준 부분에 효과음을 삽입하고 재녹음이 필요한 부분은 녹음을 다시 실시하였다. 4. 운영단계 제작된 프로그램을 2009년 10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2주 동안 시범사이트를 통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운영하였다. 5. 평가단계 가. 프로그램 평가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원에서 제시한 교육용웹사이트 평가도구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학습자 분석에서 선정된 학습자 32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교육 후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교육내용 영역이 3.02± .40점, 교육설계 영역이 2.76±.50점, 교육환경 영역이 2.98±.36점으로 나타났다. 나. 학습효과 평가 1) 지식정도 평가 지식정도 평가는 학습자 분석에서 선정된 학습자 32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교육 전·후에 실시되었다. '혈액투석 환자간호' 웹기반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ㆍ후에 지식정도를 검증한 결과 20점 만점에 웹교육 전 점수(12.25·2.19점)보다 웹교육 후 점수(15.56±2.18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t=-6.045, p=.000) 연구 가설이 지지되었다. 2) 자기효능감 평가 자기효능감 평가 대상자는 학습자분석에서 선정된 간호사 32명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병상수, 근무환경, 의료인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동일하게 서울소재 3개 종합병원을 선정한 후 신장내과병동과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3년 이상인 간호사 중 임의 추출한 3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웹교육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2.94±.24)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대조군(2.51±.21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두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7.254, p=.000)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3) 문제해결능력 평가 (1) 문제해결능력 인식정도 평가 문제해결능력 인식정도 평가 대상자는 자기효능감 평가시 선정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하였다. 웹교육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의 문제해결능력 인식정도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2.77±.22점)의 문제해결능력 인식정도는 대조군(2.69±.24)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t=-1.313, p=.194)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 (2) 간호수행능력 평가 간호수행능력 평가 대상자는 자기효능감 평가시 선정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하였다. 웹교육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의 간호수행능력을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간호진단 정답률(78.10%)이 대조군의 정답률(70.0%) 보다 높게 나타났고 간호수행 정도는 실험군(4.03±1.65)이 대조군(3.50 ±1.52)보다 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나,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t=-1.311, p=.195) 연구가설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혈액투석 환자간호"웹기반 교육프로그램은 지식정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함에 따라 혈액투석 신규간호사가 혈액투석실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혈액투석실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웹기반 교육의 효과검증을 위한 반복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satisfy the demand of educating junior nurses provide hemodialysis care. The web-based program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was designed by applying Jeong’s (1997) plan, production, management, and analysis model for an web-based professor-education system. 1. Analysis In preparation for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we first analyzed requests, contents, technology, and environments for future learners. To find out the demand of educating junior nurses developed by Chun(2006), we divided hemodialysis nurses into four classes based on clinical experiences: junior class (0-1 year ), upper junior class (2 - 3 years), competent class (4 - 6 years), and expert class (more than seven years). From the analysis of requests, we found that the demand of educating junior hemodialysis n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xperienced nurses for basic principle of hemodialysis, blood vessel management and ofucture, and operation and types of hemodialysis machine. and we looked through the outcome of education demand of junior hemodialysis nurses, while examining contents validity and education contents of junior nurses in ten general hospitals in Seoul. For content analysis, we decided themes and education purposes for sixteen segmen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e explor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mputer-related characteristics of 32 nurses in nephrology departments and ICU.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is 31.1 years with an average of 8.8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Participants were familiar with web-based education, which is run in virtual spaces. For technic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we organized meetings with 20 expert executives from the Hemodialysis Nurses Association, one professional program developer, two program development researchers, and a design instructor.The program development was made in html fine to allow people to manufacture it easily. The operating system for education contents is chosen to be the Windows XP version, which is the system that learners are generally using. Also, to avoid any problems in the operation, we chose the Internet Explorer 6.0, which is the lower version. 2. Design In the information design process, we planned to make learners to connect to see the start page as they connect to cyber lecture room from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mepage. When they click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on the idle page, they will be connected to the education start page, and it has links for each times. The education start page separates information that learners should study into two sections: video clip and text, and learners can download contents file in the education material section, which is made with Hangul software. The procedure to study was designed to be connect to the cyber lecture room from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mepage-> member registration-> log in-> click on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from the education process information menu-> education start page-> education main page-> learning->analysis. For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we designed to have "About lecturers" and "Q&A" sections in the main screen, and to have effectiv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learners and educations contents, we made a MAP, which will allow learners to know about their progress. To promote motivations, we will provide teaser clips of lectures in the earlier period of education and for later stages, we will include sound effects, various pictures and images to make it more dynamic so learners would not be bored about the system. The analysis program is designed to have analysis tools that will fit the LMS, which is the analysis program of cyber lectures in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mepage. The web-based education analysis is arranged to inspect the program, knowledge level,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self-efficacy. 3. Produc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e made a storyboard of education start page and main page according to the screen planning, and recorded voice files that will be included in the webpage in a recording studio with sixteen content experts. We edited Power Point contents made by these experts in accordance with their recorded files and edited or added sound effects, where they stumbled or when tables and pictures will be introduced in the PowerPoint. In the main screen, we will have sections including "About Lecturers," "Purpose of education," "Education progress," "Summary," "Progress," "Memo," "Q&A," and "MAP." To review the internet-based education program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we opened trial website to twenty content experts. We then corrected errors in typing, inserted sound effects in necessary parts and re-recorded parts, where we need to record again. 4. Implementation We operated a trial site of the program for two weeks from October 26 until November 6, 2009, to learners. 5. Evaluation A. Program To evaluate the designed program, we used an evaluation tool of education websites that is provided by the 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tool has 32 questions in three areas: Education Content areas including presentation of education materials, feasibility of contents and reliability; Professor Design areas including usability, technology, design, and interactions; and Education environment areas including safety, functions, ethics, and policies. Randomly chosen 32 nurses from nephrology departments and ICU of three hospitals in Seoul used this tool to test the program for this study. Education Contents areas received 3.02±.40, Program design areas 2.76±.50, and Education Environment areas 2.98±.36 point all out of 4 points. B. Learning Effect 1. Knowledge Evaluation of knowledge was conducted by randomly choosing twenty questions developed by content experts with 32 nurses from nephrology departments and ICU of three hospitals in Seou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knowledge before and after taking internet-based education program (Mean = 12.25 vs 15.56, t=-6.045,p<.001). 2. Self-efficacy We decided that there may be possibilities that experimental group nurses and control group nurses recruited from same hospitals have been exposed to same educational materials. We used a 14-item measure of self-efficacy developed by Yang (1999) including challenges for new responsibilities on a 4-point scale. We found that the level of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o received the internet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Mean = 2.94 vs 2.51, t=-7.254,p<.001) 3. Ability to Solve Problems 1) Problem Solving Competence Problem solving compet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assessed using 32 questions adapted by Jeon (1994), involving 11 questions of self-confidence to solve problems, 15 questions of approach-avoidance models, and 5 questions for individual controls on a 4-point sca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pet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nurses who received the internet education and the control nurses. 2) Nursing Performance Abilities Evaluation of nursing performance abilities involved case scenarios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providing diagnosis and treatment recommen- dations. The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both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control group, but these differenc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the web-based education program, "Nursing Hemodialysis Patients," is promising in helping novice hemodialysis nurses adapt to hemodialysis care by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Large scale research studies are warran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educational programs for junior hemodialysis nurse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