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간호사의 입원환자 자살 체험

Title
간호사의 입원환자 자살 체험
Other Titles
Nurses' Experience of the Suicide of Inpatients
Authors
조혜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Suicide in the hospital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setinel events. If an inpatient commits a suicide, all the related persons get greatly shocked. However, institutions in fact have concentrated on prevention of the suicide of inpatients overlooking the adverse effects on health and emotion of nurses in charge, the direct eyewitnesses of the suicide accidents. So this study,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s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to attempt to find the fundamental meaning of nurses' experience of suicide of inpatients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s: “what nurses experience when an inpatient commits a suicide, what the essence of nurses' psychological experience is, what meaning such an experience has on them?”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were total 17 persons. The term of data collection was from February 2008 to August 2009,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dividual interviews.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was transcribed and then was drawn out subdivided into essential subjects through a thinking process of reflection. Through the subjects drawn out, I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of experience, existential examina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Until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is done, I tried to see through and understand nurses' experiences through a study of etymology and idiomatic expressions, literature and works of art. The fundamental subjects of the experiences of nurses about the suicide of inpatients found in the participants turned out as follows: ① ‘the occurrence of what has been worried about’, ② ‘instant occurrence’, ③ ‘receives of great shock’, ④ ‘doing their best’, ⑤ ‘blaming themselves and blame another person’, ⑥ ‘being treated as criminal as if they killed the patients’, ⑦ ‘becoming skeptical bout their profession’, ⑧ ‘mental disease becoming bodily one’, ⑨ ‘the feeling of needed help’, ⑩ 'standing up again overcoming the hard reality’ After the suicide accidents, the participants thought safety issues that have been pointed out repeatedly and poor working condition finally caused the accidents and also felt the wall in the reality in which nurses' opinions are not accepted. The suicide accidents that occur within a short time utterly discouraged the participants making them suffered in vain though they have worked hard and made efforts. Witnessing the suicide site becomes a great shock causing physical and emotionally adverse effects on their everyday life. However before coping with their own shock, they quickly take post-accident actions to prevent other inpatients from being agitated. Thanks to such efforts, the wards become soon stabilized. They stuck to expediency with all their might in spite of knowing the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d were hopeless, and desperately hoped they would be able to be resuscitated. After all, they blamed themselves for not having been able to prevent the suicide and had sinful mind as if they put an end to a life. And they reproached the patient who brought about the situation or a variety of conditions and systems of the hospital. In the process of post-accident measures, they got greatly stressed as they met the police officers and prosecutors, and in addition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getting worse, they were wounded by their coworkers, guardians and the hospital persons. These wounds led them to their skepticism about their profession. In case of not being able to overcome these painful experiences, some nurses even quitted the job. Also, they came to experience the helplessness and limitations about the prevention of suicide. Their experience, consequently brought physical diseases to them and most of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somatization symptoms however there was no system for managing and counseling their symptoms with them. And yet, their actions that they took doing their best to resuscitate the suicide patients in emergency became a support for them to comfort themselves, and both the nurses and the wards after the accidents made efforts to change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data through which one can understand nurses who can be classified into sufferers after suicide accidents in the hospital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nurses' experience of inpatients' suici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nurses in charge's psychological trauma caused by the suicide of inpatients was proven to be serious, to cope with phys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the nurses more actively, the development of a hospital-level system and program to protect the individuals in the hospital and a management system for solving problems fundamentally are necessary. In addition, a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or medical service providers who are skeptical about the prevention of suicide are urgent.;자살은 병원 내에서 일어나는 감시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사고 중 하나이다. 병원 내에서 일어나는 자살 사고는 직접 일하고 있는 의료진에게 영향을 준다. 하지만 기관들은 자살사고 이후 피해자로 분류될 수 있는 자살사고의 직접적 목격자인 담당간호사의 건강상·정서상 역기능을 간과하며 입원환자의 자살예방에만 주력해온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van Manen 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입원환자가 자살을 수행했을 때 간호사는 무엇을 경험하는지, 이에 대한 간호사의 심리적 체험의 본질은 무엇이며, 그러한 체험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통해 입원환자 자살에 관한 간호사의 체험이 어떠한 본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 발견해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총 17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이며, 면대면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참여자의 동의하에 수집된 면담자료는 필사된 후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해 본질적 주제로 세분되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를 통해 체험의 본질에 집중하는 과정을 거쳤고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의 과정을 거쳤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을 이루기까지 어원과 관용어구 조사, 문학과 예술작품을 통해 간호사의 체험에 관해 통찰과 이해를 더하고자 노력하였다. 참여자들에게서 도출된 입원환자 자살에 관한 간호사의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①‘우려했던 일이 벌어짐’, ②‘눈 깜짝할 사이 일이 벌어짐’, ③‘커다란 충격이 됨’, ④‘최선을 다함’, ⑤‘자책하고 원망함’, ⑥‘죄인 취급 받음’, ⑦‘직업에 회의가 생김’, ⑧‘마음의 병이 몸의 병이 됨’, ⑨‘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낌’, ⑩ ‘다시 일어섬’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자살사고 이후, 누누이 지적해온 안전문제와 열악한 근무환경이 결국 사고를 불렀다고 생각했으며 간호사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에 장벽을 느끼기도 했다. 열심히 일하고 노력했건만 고생한 보람도 없이 잠깐 사이에 발생하는 자살사고는 참여자들을 허탈하게 만들었다. 자살현장을 목격함이 커다란 충격이 되어 일상생활 중에 신체적·정서적 역기능을 초래했다. 하지만 자신의 충격을 수습하기에 앞서 다른 입원환자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사후조치를 신속하게 해나갔다. 그러한 노력 덕분에 병동은 쉽게 안정되었다. 그들은 자살시도 환자가 가망이 없음을 알고도 혼신의 힘으로 응급처치에 매달렸으며, 제발 환자가 다시 살아나주길 간절히 바랐다. 결국 죽음을 막지 못한 자신을 자책 하게 되고 나로 인해 한 생명이 끝난 것 같아 죄스러운 마음을 가졌다. 그리고 이런 상황을 몰고 온 환자나 여러 가지 병원 환경, 시스템을 원망했다. 사후조치 과정에서 경찰과 검찰을 만나며 큰 스트레스를 받았고, 상사와의 관계 악화와 더불어 동료와 보호자에게, 병원측에게 상처를 받았다. 이러한 상처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회의로 이어졌다. 이러한 고통스러운 경험들을 극복하지 못한 경우 간호사 직업을 그만두는 경우까지 생겼다. 또한 자살예방에 대해 무력감과 한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들의 체험이 결국 몸의 병을 가져왔고 참여자의 대부분이 신체화 증상을 호소했지만 이들의 증상을 관리하고 상담해주는 시스템은 전무했다. 하지만 위급한 상황에서 자살환자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자신의 행동이 스스로를 위로하는 버팀목이 되어주었고, 사고 이후 간호사도 병동도 변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환자 자살을 경험한 간호사의 체험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병원 내 자살 사고 이후, 피해자로 분류될 수 있는 간호사를 이해하는 자료가 되어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입원환자의 자살완수가 가져오는 담당간호사의 신체적·심리적 외상이 심각한 것으로 밝혀진 바, 해당 간호사의 신체적·심리적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병원 인력 개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병원차원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 개발과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자살 예방에 회의적인 의료진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내용상 개선도 시급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