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학습자의 언어인식 고양을 통한 한글 맞춤법 교육 방안

Title
학습자의 언어인식 고양을 통한 한글 맞춤법 교육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 Korean Orthography through Language Awareness Raising
Authors
김보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국어교육학계에서 문법교육은 기능 신장과 국어문화 그리고 문법으로 인한 사회의 발전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의 필요성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문법교육의 외연을 확장해나가는 입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처럼 문법교육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문법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을 흡수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문법교육은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것과 더불어 학습자가 국어 환경의 가치를 인식하여 주체적으로 언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시각에서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중요성으로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실제 문법교육 현장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한글 맞춤법 교육에 주목하였다. 한글 맞춤법은 국어규범을 대표하는 규정으로 실제 생활에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문법 지식이 망라되어 있다. 즉, 한글 맞춤법 교육은 이해와 수행의 요소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적 가능성이 열려 있는 대상이다. 또한 한글 맞춤법은 국어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요구되는 국어 능력의 개념이므로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적 역할이 크다. 그러므로 교육 현장에서 한글 맞춤법은 학습자가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언어 생활에서 장기적으로 활용하면서 그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문법의 개념으로 다가가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글 맞춤법 교육은 명제적 지식의 차원으로 학습자에게 암기의 대상으로 제공되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맞춤법에 반영된 문법 지식의 난이도와 학습자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탈 맥락화된 교육 내용 구성의 문제적 현상에서 본고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글 맞춤법 교육에서 언어인식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언어인식은 인식적인 앎과 정의적인 깨달음의 경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한글 맞춤법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그 운용 원리를 체득하여 활용하는 적극적인 능력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보다 다양한 교육 방향이 제시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장기적인 내면화의 과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언어인식의 고양을 통한 한글 맞춤법 교육은 규칙의 원리와 특성을 학습자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내용과 학습 활동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가 맞춤법 규정의 형태에 대한 주목과 판단의 인식적 작용을 통해 운용 원리를 발견하고 이를 다시 적용하고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 맞춤법에 대한 언어적 민감성을 고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또한 언어 분석력을 증진시키고, 규칙의 근본적인 원리 이해를 중심으로 하며 규범의 가치에 대하여 교육한다는 측면에서 언어인식 접근법의 이점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III장에서는 언어인식 고양을 통한 한글 맞춤법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우선 한글 맞춤법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인 한글 맞춤법의 활용 능력 함양’과 ‘언어 주목과 분석 능력의 증진을 통한 문법 능력의 신장’이라는 원리 중심 교육, 그리고 ‘국어규범의 가치 인식의 체득’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육 방향의 전제를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원리 이해 중심’ 그리고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는 ‘국어 인식 활동 중심’으로 선정하여 원리와 활동 중심의 교육 방안을 추구하였다. 원리 중심과 인식 활동은 한글 맞춤법 교육을 문범 탐구 활동으로 인식하고 실제 적극적인 앎의 수행 능력을 포함한 내면화를 추구하기에 본 연구의 기본 전제로 선정하였다. 이어서 교육 내용 구성에 있어서 우선, 한글 맞춤법 중에서 형태에 관한 것을 기본 조항으로 삼았다. 학습자가 맞춤법을 인식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주목할 수 있는 요소가 ‘형태’이며, 이는 시각적인 인지 학습을 기반으로 점차 대상의 문법적 의미와 기능의 분석으로 탐구의 범주를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한글 맞춤법은 지식의 유형과 더불어 언어인식의 단계인 ‘맞춤법에 대한 인식(기본단계)’과 ‘맞춤법 활동에 대한 인식(심화단계)’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안 설계를 중심으로 IV장에서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언어인식 고양의 기본 과정의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기본 활동인 직관적 활동, 분석적 활동, 규범적 활동, 비판적 활동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였다. 실제 교육 방안은 형태에 관한 조항의 표기 방식을 중심으로 교육의 예시를 제시하고 본 논의를 마감하였다.;The purposes of grammar education are to improve the learner’s ability to use the language as well as to help the learner understand the value of the language environment and use grammar in their linguistic life independently. Against this backdrop, this thesis has paid attention to how to teach Korean orthography. Education of Korean orthography includes both comprehension and performance, which means a lot of educational possibilities. Korean orthography should be taught like grammar so that the learner can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Korean orthography, use it in their linguistic life over time, and finally recognize the value of it. In this thesis, I introduced the concept of language awareness to the education of Korean orthography. Language awareness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knowledge of the language as such and language experiences through which the learner becomes aware of the language. So language awareness in teaching Korean orthography includes a process where based on their knowledge of Korean orthography, the learner learn the principles underlying Korean orthography by experience and use them actively. In addition, the learner can improve their linguistic sensitivity to orthography by applying and reviewing the principles, which is worthwhile educationally. In Chapter III, I designed a way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based on raising language awareness. First, I set up goals in the education of Korean orthography: developing the ability to use Korean orthography effectively, improving grammar ability by increasing the ability to take note of and analyze the language, and learning the value of the standard rules of the Korean language by experience. I sought to make a way of teaching focusing on both principles and activities by putting emphasis on both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Korean orthography and performing activities to recognize the Korean language. This kind of education based on both principles and recognizing activities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in which the education of Korean orthography is regarded as an activity to explore Korean grammar and active learning process is pursued.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orthography, first of all, things about the “form” became the key elements. When the learner recognizes orthography, they take note of the form first. This is because based on the visual recognition of the form they can explore its grammatical meaning and function. When constructing the way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I considered both contents and activities. The teaching steps followed the steps in raising language awareness. In Chapter IV, I presented a practice for the education of Korean orthography. In the practice, I presented activities for teaching Korean orthography by incorporating step by step the key activities required in each step of the basic course of language awareness raising, including intuitive activities, analysis activities, rule activities, and critical activities. And I finalized this thesis by giving an educational example of how to write the stem and the en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