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고전소설의 환상성과 초·중등 교육의 체계화

Title
고전소설의 환상성과 초·중등 교육의 체계화
Other Titles
Fantasy of classical novels and systematiz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 Focusing on Shim-Cheong-Jeon
Authors
한경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나은진
Abstract
Fantasy is based on the imagination of human being and it has been steadily dealt with in a fence of the literature. This fantastic factor show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classical novels and they should be actively accepted as an object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the fantasy has and to find the way it can be systematized. In the classical novels, the fantasy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aspect that the fantasy is expressed. Considering educational situations, it is re-conceptualization of the concept of the fantasy in a field of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e first one is that by separating and overlapping the real and fantastic space, literary works interferingly interact as keep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and the ideal world. A contrast of the two spaces increases a tension of the novels and it can expand the scope of thinking from the real time-space to free imagination space. The second, the fantasy concept is considered as a change of characters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fantasy. Through the fantasy as a medium, suppressed and concealed desires are relieved and expressed. With this, the characters in novels get power to overcome the reality. Also, they get power to actively solve problems by surpassing the reality. Based on the concept of fantasy, the literatur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the fantasy of classical novels has is considered in ways of the maximization of imagination and the formation of an identity. Moreover, for suggesting a specific education method of classical novels, is used as an object. has been continuously included in textbooks as curriculums have been changed. Also, it has an instructive theme, 'filial piety', and it suggest a palace of sea kings as a fantastic paradise. Moreover, it shows transcendental atmosphere over the real world by suggesting a fantastic method to overcome hardships. In the next step, as a way, in a curriculum, to realize the fantasy of classical novels, a specific goal was set and a class model was made based on fantasy. Those are made up of intuitive acception, searching a structure of fantasy, comparative analysis and expanding acception. Applying the steps above, the class model is made so that it can be systematized and educated i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It is to expand the scope of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and to make students accept works through fantasy of classical novels. By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characters and space with a comparative analysis perspective, the model made it possible to deeply understand the text itself. Furthermore, this deeply understanding helps to find a beauty and a value of the literary works by finding aesthetic factors about the whole text. This study suggests that a fantasy-oriented educational method helps to deeply understand about classical novels and to increases the educational effect. Also, one can find the significance that fantasy of classical novels is accepted as a important factor and it suggest the systematically educational way, when making an education method of classical novels.;환상은 인간의 상상력의 바탕이 되는 것으로 문학의 울타리 안에서 꾸준히 다루어져 온 부분이다. 이러한 환상적 요소는 고전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특질을 드러내고 있으며 교육의 대상으로 적극 수용되어야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소설의 환상성이 지닌 교육적 의의를 확인하고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체계화될 수 있는지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고전소설에서 환상성이 표출되는 양상에 따라 그 유형을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것은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 환상성의 개념을 교육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재개념화한 것이다. 첫째는 현실 공간과 환상 공간의 분리와 중첩으로 문학작품은 현실 속 세계와 이상의 세계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호 간섭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환상 공간과 현실 공간의 대비는 글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며 현실의 시·공간을 벗어난 자유로운 상상 공간으로 사고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둘째는 고전소설의 환상성 개념을 환상성 경험 이전과 이후의 인물 변화로 보고자 하였다. 환상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현실에서 억압되고 은폐되었던 욕망이 해소되고 표출되게 된다. 이로써 작품 속 인물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고 현실을 뛰어넘어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환상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고전소설의 환상성이 가지고 있는 문학교육적 의의는 상상력의 극대화와 문화적 정체성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소설 교육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는데 있어서 <심청전>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심청전>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지속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되었으며 ‘효’라는 교훈적인 주제를 담고 있으면서 환상적 낙원으로써 용궁의 제시, 고난의 환상적인 해결방식을 제안하여 현실의 세계를 넘어선 초월적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고전문학의 환상성을 교육과정 안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환상성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그 단계는 직관적 수용하기, 환상의 구조 탐색하기, 비교·분석하기, 수용 확대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적용하여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체계화하여 교육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이 수업 모형은 고전소설의 환상성이라는 요소를 통해 작품 이해의 폭을 넓히고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인물과 공간의 개념을 비교·분석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도록 하여 텍스트 자체에 대한 심화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심화된 이해는 텍스트 전체에 대한 새로운 미적 요소를 찾게 하여 작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본 연구는 환상성을 지향한 고전소설 교육 방안이 고전소설 작품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고전소설 교육의 방법을 구안하는데 있어 고전소설의 환상성이 중요한 요소로써 수용되고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